"은행이 '검은돈' 세탁소?"…캄보디아 범죄조직에 뚫린 대만 금융 시스템

2025-11-13 18:03

 캄보디아를 거점으로 온라인 금융 사기와 인신매매 등 끔찍한 범죄를 저질러 온 초국가적 범죄 조직 '프린스그룹'. 이들의 검은돈이 대만 금융 시스템의 허점을 파고들어 자유롭게 유통됐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나면서 대만 사회가 발칵 뒤집혔다. 미국 재무부가 프린스그룹을 국제 범죄조직으로 지정하고 강력한 제재를 가한 직후, 대만 금융 당국이 부랴부랴 조사에 착수했지만 이미 상당량의 자금이 세탁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금융권의 허술한 자금세탁 방지 시스템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금융 비리를 넘어, 대만 금융 시스템의 신뢰도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히고 국가 안보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비화하고 있다.

 

대만 금융감독위원회(FSC)는 지난 12일, 입법원 재정위원회에 출석해 프린스그룹 관련 의혹에 대한 조사 현황을 보고했다. 펑진룽 FSC 위원장은 미국이 제재를 발표한 바로 다음 날, 검사국 인력을 긴급 투입해 프린스그룹 명의로 개설된 시중은행 10곳의 계좌 60개를 동결하고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은행국 직원들을 각 시중은행에 파견하여 의심스러운 현금 흐름에 대한 전수 조사를 진행하는 등 전방위적인 압박에 나섰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러한 금융 당국의 발 빠른 대처에도 불구하고, 이미 수년간에 걸쳐 조직적인 자금세탁이 이루어졌을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뒷북 대응'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해당 은행들이 지난 7년간 무려 52건의 비정상적인 거래를 인지하고도 이를 제대로 막지 못했다는 점이다. 금융권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은행들은 의심 거래를 당국에 보고하는 수준에 그쳤을 뿐,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아 사실상 범죄 조직의 자금세탁을 방조한 셈이 됐다. 특히, 자본금이 1억 4천만 원에 불과한 프린스그룹의 대만 현지 법인이 무려 94억 원에 달하는 거액을 대출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대출 심사 과정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대만 금융권의 고객확인의무(CDD)와 강화된 고객확인제도(EDD)가 전혀 작동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이며, 범죄 조직에게는 마음껏 활보할 수 있는 '금융 놀이터'를 제공한 것이나 다름없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만 금융 시스템의 민낯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 야당 의원은 "은행들이 의심 거래 보고 의무는 이행했지만, 결국 범죄 조직의 자금세탁을 막지 못했다"고 지적하며, "이는 대만 금융권의 자금세탁 방지 체계가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타이베이 지방검찰은 국가안보 사건을 담당하는 기관들과 합동 수사팀을 꾸려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피의자 25명을 체포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이미 깊숙이 파고든 범죄의 뿌리를 완전히 뽑아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이번 사태가 대만 사회에 남긴 상처와 불신은 쉽게 아물지 않을 전망이다.

 

팽민찬 기자 fang-min0615@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결국 K-콘텐츠가 해냈다… 디즈니가 글로벌 전략의 ‘중심’을 한국으로 옮긴 진짜 이유

디즈니+의 오리지널 콘텐츠 전략 전면에 한국 작품들을 내세우며, 이를 단순한 지역 흥행작이 아닌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장기적인 성장축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비단 디즈니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며, 세계적인 OTT 플랫폼들이 공통적으로 한국 콘텐츠의 무한한 확장성에 주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한국 특유의 스토리텔링이 이제는 아시아를 넘어 세계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핵심 변수로 떠오른 것이다.디즈니의 이러한 전략적 선택은 지난 13일 홍콩에서 열린 ‘디즈니+ 오리지널 프리뷰 2025’ 행사에서 더욱 명확해졌다. 이 자리에서 루크 강 월트디즈니컴퍼니 아태지역 총괄 사장은 한국 창작자들과의 협업이 낳은 결과물들이 전 세계적으로 깊은 공감과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것이 ‘위대한 이야기가 살아 숨 쉬는 플랫폼’을 지향하는 디즈니+의 정체성과 완벽하게 부합한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웹툰, 음악 등 다양한 한국의 지적재산(IP)에서 영감을 받아 세계 무대에서 통할 수 있는 로컬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제작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는 한국의 창의적인 생태계가 디즈니의 미래 전략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하는 대목이다.디즈니의 자신감은 2025년을 겨냥한 압도적인 신작 라인업에서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날 공개된 작품 목록에는 ‘조각도시’, ‘메이드 인 코리아’, ‘21세기 대군부인’, ‘골드랜드’, ‘재혼황후’, ‘킬러들의 쇼핑몰 시즌2’ 등 블록버스터급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가 대거 포함되었다. 지창욱, 도경수, 정우성, 현빈, 박보영, 신민아, 주지훈, 이동욱 등 이름만으로도 기대를 모으는 대한민국 톱배우들이 총출동하여 아태 지역 미디어의 스포트라이트를 한 몸에 받았다. 이는 단순한 콘텐츠 수급을 넘어, 한국의 스타 파워와 제작 역량을 디즈니+의 핵심 경쟁력으로 활용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명으로 해석된다.특히 하반기 최고 기대작으로 꼽히는 ‘메이드 인 코리아’는 공개 전부터 시즌2 제작을 확정하며 작품에 대한 디즈니의 확신을 증명했다. 1970년대 격동의 한국을 배경으로 인간의 극단적인 욕망을 파고드는 이 작품에 대해 주연 배우 정우성은 "역사적 사실 기반 위에 인간 내면의 깊은 욕망을 담아낸 흥미로운 이야기가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연출을 맡은 우민호 감독 역시 전작 ‘내부자들’, ‘남산의 부장들’의 계보를 잇는, 뒤틀린 욕망과 신념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될 것이라고 밝혀 기대감을 증폭시켰다. 이처럼 제작 단계부터 세계 시장을 겨냥하고, 과감한 투자와 기획을 통해 완성될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들이 디즈니의 새로운 성공 신화를 쓸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