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전당대회 출마 준비 본격화
2024-06-14 11:31
13일 국민의힘은 단일지도체제 유지와 여론조사 20% 반영 등을 포함한 전당대회 규칙을 확정했으며, 이는 한 전 위원장에게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평가가 있다.
최근 한 전 위원장은 측근들과 출마 의사를 공유하며 여의도에 전대 준비를 위한 사무실도 곧 마련할 예정이다.
한 전 위원장의 출마 시점은 "다음주를 넘기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그와 함께할 인사로는 장동혁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 김형동 의원, 한지아 의원, 김예지 의원, 박정하 의원, 정성국 의원 등이 거론된다.
국민의힘은 이번 전당대회에서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며, 당대표가 당의 인사, 조직, 예산에 대한 전권을 가지게 된다. 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기록 중인 한 전 위원장이 선호하는 체제로 해석된다.
그러나 최고위원 경선에서 친윤석열계 후보들이 대거 출마해 지도부를 구성할 가능성이 한 전 위원장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선 출마 1년 반 전에 당대표직을 사퇴해야 한다’는 당헌이 유지되어 차기 대선 출마를 염두에 둔 한 전 위원장에게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한 전 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지도 주목받고 있다. 반이재명 전선에 서겠다는 의지는 분명히 했으나, 윤 대통령과의 껄끄러운 관계를 어떻게 풀어갈지는 미지수다.
한편, 나경원 의원과 윤상현 의원 등은 한 전 위원장의 출마를 견제하고 있다. 나경원 의원은 원외 인사의 한계를 지적하며 견제구를 던졌고, 윤상현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한 전 위원장의 출마를 비판했다.
소장파인 김재섭 의원은 당의 개혁이 필요한 상황에서 자신의 역할을 고민 중이라며 전당대회 출마나 다른 후보를 돕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가 되는 '국악'은 연주자 중심의 한계에 갇혀 새로운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위기감 속에서, 그 돌파구로 '작곡가'를 전면에 내세우는 파격적인 선언이 나온 것이다. 이 담대한 변화의 중심에는 올해로 3회째를 맞는 '2025 대한민국국악관현악축제'가 있다. 이 축제는 단순히 기존의 명곡을 재연하는 무대를 넘어, K-컬처가 지속 가능한 인프라를 갖추기 위해선 새로운 곡을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창작의 샘'이 필수적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연주 기량만으로는 더 이상 새로운 관객을 사로잡을 수 없으며, 국악의 미래는 새로운 레퍼토리를 양산할 작곡가들의 손에 달려있다는 것이다.이러한 비전을 증명하듯, 다음 달 15일부터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열리는 이번 축제에는 고(故) 황병기 명인과 같은 거장부터 서양음악 전공자, 아시아 주변국 작곡가, 그리고 20~30대의 젊은 피에 이르기까지 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