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대통령, 24년 만에 북한 방문..전쟁 속 러·북 군사협력 강화

2024-06-18 11:07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24년 만에 북한을 공식 방문한다. 이번 방문은 우크라이나 전쟁 중인 러시아와 북한 간의 군사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에 기고문을 통해 북한의 지지에 감사를 표하고 양국 관계 발전 의지를 밝힌 바 있다. 또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를 지지하는 데 대해 높이 평가하며, 앞으로도 북한과의 연대와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와 북한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관계가 밀착됐다. 북한은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하고, 러시아는 대가로 첨단 기술을 이전하고 있다. 이번 방북 기간 동안 푸틴 대통령은 무기 공급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뉴욕타임스(NYT)는 북한이 제공하는 군수품이 러시아의 전쟁 수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화성-11' 계열 미사일은 정확도가 높아 전쟁에 유용할 것으로 평가됐다.

 

우리 군은 지난해 북한이 러시아에 다수의 포탄과 무기를 제공한 것으로 추정했다. 올해 초 우크라이나에서 북한산 단거리 탄도미사일이 발견되기도 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북한이 480만 개의 포탄을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 최소 1만 개를 러시아에 보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북한산 무기의 실효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발사한 북한산 SRBM 중 대부분이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주장했고, 마크 밀리 전 미군 합참의장도 북한의 무기 공급이 전황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지휘자 국적 때문에…'전쟁' 터진 클래식계, 대체 무슨 일이?

연이 예정일(18일)을 코앞에 두고 돌연 취소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표면적인 이유는 단 하나, 지휘봉을 잡기로 한 라하브 샤니(36)가 이스라엘 태생이라는 점이었다. 차세대 거장으로 주목받으며 2026년부터 뮌헨 필하모닉의 상임지휘자로 부임할 예정인 샤니는 현재 로테르담 필하모닉 상임지휘자이자 이스라엘 필하모닉 음악감독을 겸하고 있는, 클래식계의 가장 뜨거운 인물 중 한 명이다.이번 공연을 주최한 플란더스 페스티벌 측은 성명을 통해 취소의 명분을 밝혔다. 그들은 샤니가 여러 차례 평화를 지지하는 발언을 해왔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그가 이스라엘 필하모닉의 음악감독이라는 직책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페스티벌 측은 샤니의 태도가 이스라엘 정권이 자행한 '집단 학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한 예술가의 국적과 그가 맡은 직책이 그의 예술 활동 전체를 옭아매는 족쇄가 된 순간이었다.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곧바로 거센 역풍에 직면했다. 뮌헨 시와 뮌헨 필하모닉은 즉각 공동 성명을 내고 "출신이나 종교를 이유로 예술가를 배제하는 행위는 유럽의 핵심 가치와 민주주의의 근본에 대한 공격"이라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샤니가 상임지휘자로 있는 로테르담 필하모닉 역시 "음악은 분열이 아닌 연결을 위한 것"이라는 원칙을 천명하며, "우리는 국적과 배경으로 예술가를 평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단호한 입장을 발표하며 샤니에 대한 굳건한 지지를 보냈다.논란은 기관 간의 대립을 넘어 음악계 전체의 연대 움직임으로 번져나갔다. 피아니스트 마르타 아르헤리치, 안드라스 쉬프,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 바이올리니스트 르노 카퓌송 등 이름만으로도 클래식 팬들을 설레게 하는 거장들이 대거 샤니 지지 의사를 밝혔고, 수백 명의 체임버 뮤지션과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온라인 청원 플랫폼을 통해 페스티벌 측의 공연 취소 결정을 철회하라는 서명 운동에 동참했다. 한 예술가에 대한 정치적 잣대가 오히려 전 세계 음악인들의 분노와 연대를 촉발시킨 셈이다. 이번 사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와 소프라노 안나 네트렙코가 '푸틴의 친구'라는 이유로 서방 무대에서 퇴출당했던 씁쓸한 선례를 떠올리게 한다. 전쟁의 포화가 멈추지 않는 한, 예술과 정치의 경계에서 벌어지는 이 위험한 줄타기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