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의 갈라파고스를 찾아서..울릉도와 독도의 특별한 전시

2024-07-15 14:30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 지하 2층 독도체험관 기획전시실에서 오는 16일부터 열리는 '동해의 갈라파고스, 울릉도와 독도' 전시는 울릉도와 독도의 특별한 자연 생태계를 실물 표본을 통해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다. 전시는 동아시아와 대양주를 잇는 철새들의 이동 경로로서 울릉도와 독도가 갖는 중요성에 초점을 맞췄다. 

 

전시의 첫 번째 주제는 '하늘의 주인, 새'이다. 독도의 상징인 괭이갈매기부터 멸종 위기에 처한 흑비둘기, 새매 등 다양한 새의 표본을 통해 이 지역의 생태적 중요성을 알리며, 철새들의 다양한 이동 경로와 그 의미를 탐구한다. 

 

또 울릉도와 독도의 토착 식물과 곤충들도 만날 수 있다. 육지와 연결되지 않아 독특한 생태계가 형성되어 온 독도, 울릉에서 자생하는 섬개야광나무, 섬괴불나무, 섬현삼 등의 고유 식물을 만날 수 있다. 울릉도에서 처음 발견된 울도하늘소, 울릉범부전나비 등의 곤충들도 전시된다. 

 

이 전시는 고유의 생태계와 문화적 가치를 소개함으로써 울릉도와 독도가 '동해의 갈라파고스'라 불리는 이유를 명확히한다. 관람객들은 12월 8일까지 전시를 통해 이 특별한 지역의 다채로운 생물 상을 탐험할 수 있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지휘자 국적 때문에…'전쟁' 터진 클래식계, 대체 무슨 일이?

연이 예정일(18일)을 코앞에 두고 돌연 취소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표면적인 이유는 단 하나, 지휘봉을 잡기로 한 라하브 샤니(36)가 이스라엘 태생이라는 점이었다. 차세대 거장으로 주목받으며 2026년부터 뮌헨 필하모닉의 상임지휘자로 부임할 예정인 샤니는 현재 로테르담 필하모닉 상임지휘자이자 이스라엘 필하모닉 음악감독을 겸하고 있는, 클래식계의 가장 뜨거운 인물 중 한 명이다.이번 공연을 주최한 플란더스 페스티벌 측은 성명을 통해 취소의 명분을 밝혔다. 그들은 샤니가 여러 차례 평화를 지지하는 발언을 해왔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그가 이스라엘 필하모닉의 음악감독이라는 직책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페스티벌 측은 샤니의 태도가 이스라엘 정권이 자행한 '집단 학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한 예술가의 국적과 그가 맡은 직책이 그의 예술 활동 전체를 옭아매는 족쇄가 된 순간이었다.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곧바로 거센 역풍에 직면했다. 뮌헨 시와 뮌헨 필하모닉은 즉각 공동 성명을 내고 "출신이나 종교를 이유로 예술가를 배제하는 행위는 유럽의 핵심 가치와 민주주의의 근본에 대한 공격"이라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샤니가 상임지휘자로 있는 로테르담 필하모닉 역시 "음악은 분열이 아닌 연결을 위한 것"이라는 원칙을 천명하며, "우리는 국적과 배경으로 예술가를 평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단호한 입장을 발표하며 샤니에 대한 굳건한 지지를 보냈다.논란은 기관 간의 대립을 넘어 음악계 전체의 연대 움직임으로 번져나갔다. 피아니스트 마르타 아르헤리치, 안드라스 쉬프,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 바이올리니스트 르노 카퓌송 등 이름만으로도 클래식 팬들을 설레게 하는 거장들이 대거 샤니 지지 의사를 밝혔고, 수백 명의 체임버 뮤지션과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온라인 청원 플랫폼을 통해 페스티벌 측의 공연 취소 결정을 철회하라는 서명 운동에 동참했다. 한 예술가에 대한 정치적 잣대가 오히려 전 세계 음악인들의 분노와 연대를 촉발시킨 셈이다. 이번 사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와 소프라노 안나 네트렙코가 '푸틴의 친구'라는 이유로 서방 무대에서 퇴출당했던 씁쓸한 선례를 떠올리게 한다. 전쟁의 포화가 멈추지 않는 한, 예술과 정치의 경계에서 벌어지는 이 위험한 줄타기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