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총격 사건 효과로 비트코인 급등, 가상화폐 시장의 새로운 동향
2024-07-16 11:56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총격 사건을 계기로 미 대선에서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로 인해 비트코인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5일 기준 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5.50% 상승한 6만4257달러(8902만 원)에 거래되었다. 이는 지난 5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공화당 내에서 가상화폐를 지지하는 입장을 취해왔고, 최근 총격 사건 이후 비트코인 가격은 약 10% 급등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우호적인 입장은 가상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향후 미 대선에서의 승리 가능성을 배경으로 한 금융 시장의 긴장이 완화되고 있다.
또한, 이더리움 ETF가 오는 23일부터 거래될 예정이라는 소식도 비트코인의 상승을 촉진하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 이어 시가총액이 높은 두 번째 가상화폐로, 이 ETF의 출시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도널드 트럼프와 가상화폐 시장의 관련성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변동성과 함께 시장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황이준 기자 yijun_i@trendnewsreaders.com

MZ세대에게 큰 인기를 끌었던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6세 청년 정효원 씨의 사망을 둘러싼 '과로사' 의혹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지난 7월, 인..


오케스트라 최초로 카네기홀의 정식 기획공연 시리즈에 초청받아 뉴요커들 앞에 섰다. 지휘자 얍 판 츠베덴의 손끝에서 시작된 첫 곡은 '지옥(Inferno)'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그 시작부터 압도적이었다. 심장을 옥죄는 듯한 팀파니의 묵직한 울림이 팽팽한 긴장감을 자아내더니, 이내 모든 악기가 광기 어린 질주를 시작하며 객석을 숨죽이게 만들었다. 스스로 만들어낸 지옥의 풍경을 음표로 그려낸 이 곡은 K콘텐츠의 위상을 드높인 영화 '기생충'과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정재일 음악감독의 신작으로, 그의 명성다운 파격과 흡인력으로 뉴욕의 밤을 강렬하게 열어젖혔다.정재일 감독은 이탈로 칼비노의 소설 '보이지 않는 도시들'에서 영감을 받아,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어둠과 불꽃 속에서도 계속 살아가야 하는 인간의 고뇌를 음악에 담아냈다고 밝혔다. 그의 철학이 담긴 강렬한 무대가 끝나고, K클래식의 또 다른 자부심인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가 무대에 올라 분위기를 일순간에 바꾸었다. 서울시향과의 협연으로 선보인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은 낭만주의 음악의 정수로, 김봄소리는 특유의 섬세하면서도 따뜻한 선율로 곡이 가진 서정미를 극대화하며 뉴욕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그녀의 활 끝에서 펼쳐지는 아름다운 연주가 끝나자, 객석에서는 뜨거운 기립박수가 터져 나오며 K클래식의 위상을 다시 한번 실감케 했다.이날 공연의 대미는 러시아 낭만주의 교향곡의 걸작으로 꼽히는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이 장식했다. 특히 비단결처럼 부드럽고 서정적인 3악장이 연주될 때, 2,800석을 가득 메운 관객들은 숨소리 하나 내지 않고 선율에 온전히 빠져드는 경이로운 풍경을 연출했다. 이윽고 숨 막히는 정적이 끝나고 화려하고 장엄한 4악장이 폭풍처럼 휘몰아치며 대서사의 막을 내리자, 객석 곳곳에서 환호와 함께 기립박수가 터져 나왔다.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일어선 관객들이 보내는 우레와 같은 박수갈채는 한동안 연주홀을 가득 채우며 식을 줄 몰랐고, 이는 서울시향이 뉴욕의 심장부에서 거둔 역사적인 성공을 증명하는 순간이었다.카네기홀을 성공적으로 정복한 서울시향의 여정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이들은 오는 29일부터 11월 1일까지 오클라호마 맥나이트센터로 무대를 옮겨 K클래식의 감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번 뉴욕 공연은 단순히 한 오케스트라의 성공적인 연주를 넘어, 세계 클래식 음악계의 중심에 우뚝 선 한국 클래식의 저력과 가능성을 보여준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정재일의 현대음악부터 멘델스존과 라흐마니노프의 고전까지, 장르를 넘나들며 뉴요커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서울시향의 행보는 K클래식의 새로운 미래를 기대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