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펜실베이니아 유세 중 총기 피습, 온라인 음모론 휩싸여

2024-07-16 11:12

 미국에서 발생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펜실베이니아 주 유세현장 총기 피습 사건이 각종 음모론을 일으키고 있다. 

 

13일(현지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유세 중 자신을 향해 총기가 발사되된 것에 관해 온라인 상에서는 다양한 음모론이 퍼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자작극' 음모론이 주목받고 있다.

 

사건 직후 트럼프 전 대통령과 백악관 비밀경호국 요원들이 활짝 웃고 있는 사진이 온라인에 돌아다니면서 음모론에 기름을 붓고 있다. 그러나 AP 통신 사진작가에 의해 확인된 원본 사진에선 트럼프 전 대통령과 요원들이 굳은 표정으로 현장을 빠져나왔음이 확인되었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사건을 수사 중이며, 사건의 주요 용의자인 토머스 매슈 크룩스의 신상 정보와 동기에 대해 자세히 조사 중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FBI는 현재까지 용의자가 단독 행동이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사건 배후에 대한 추가적인 징후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와 별개로 '딥스테이트'라 불리는 국가 실세 집단에 의한 암살 음모론도 확산되고 있다. 딥스테이트 음모론자들은 딥스테이트의 계획에 의해 미리 예고된 것이라고 주장하며, 사건과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인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사진이나 영상은 실제 방영되지 않았으며, 해당 음모론은 사실과 다른 가짜 정보임이 밝혀졌다.

 

팽민찬 기자 fang-min0615@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존폐 기로에서 역대 최대로…'예산 0원'의 굴욕 딛고 일어선 서울독립영화제

지도 모른다는 존폐 기로에 섰지만, 영화인들의 끈질긴 노력과 외침 끝에 극적으로 예산이 복원되면서 오히려 역대 최대 규모로 관객을 맞이하게 되는 파란만장한 서사를 쓰게 됐다. 영화제 집행위원회는 지난 4년간의 평균 출품작 수를 훌쩍 뛰어넘는 역대 최다인 1805편이 접수되었고, 상영작 또한 127편으로 역대 가장 많다고 밝히며 한국 독립영화의 뜨거운 현재와 밝은 미래를 조망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 자신했다.이처럼 출품작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배경에는 역설적으로 침체를 거듭하는 상업영화 시장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상업영화의 투자와 제작이 위축되면서 갈 곳을 잃은 창작 인력들이 독립영화계로 대거 유입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독립영화의 스펙트럼을 한층 더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개인의 내밀한 서사부터 사회의 거대 담론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이야기들이 쏟아져 나온 것이다. 올해 개막작으로 선정된 ‘무관한 당신들에게’는 이러한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한국 최초의 여성 감독 박남옥의 유실된 영화 필름을 각기 다른 네 감독이 자신만의 상상력으로 복원해 엮어낸 이 실험적인 시도는 독립영화만이 보여줄 수 있는 창의성과 도전 정신을 고스란히 드러낸다.하지만 이처럼 풍성한 결실의 이면에는 영화제를 송두리째 흔들었던 ‘예산 제로’ 사태라는 깊은 상처가 자리하고 있다. 서울독립영화제는 영화진흥위원회와 공동 주최하는 민관 협력의 성격을 지닌 행사로, 매년 영화발전기금을 통해 3~4억 원의 안정적인 정부 지원을 받아왔다. 그러나 작년 말, 정부가 해당 지원 사업 자체를 폐지하면서 예산이 전면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를 맞았다. 영화계는 이를 ‘독립영화 탄압’으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반발하며 예산 복원을 촉구했고, 기나긴 싸움 끝에 올해 7월이 되어서야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해 4억 원의 예산을 확보할 수 있었다.이처럼 늦게나마 예산이 정상화되면서 영화제는 가까스로 궤도에 올랐지만, 그 후유증은 고스란히 남았다. 예산 문제로 영화제 준비에 심각한 차질을 겪으면서, 숨은 인재를 발굴하는 본연의 기능을 넘어 이들을 투자 및 제작 시장과 연결하는 산업적 가교 역할을 수행할 프로그램들이 대폭 축소되는 등 다양성 측면에서 아쉬움을 남겼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제 측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프로그램을 확장하고, 나아가 아시아 독립영화인들과의 교류를 추진하는 등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굳은 의지를 내비치고 있어 앞으로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