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겁게 더 뜨겁게 '록 열대야' 속으로..

2024-08-02 13:37

 인천 송도달빛축제공원에서 '인천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이 개막하며, 록 음악 팬들을 맞이했다. 

 

2일 '인천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은 19회를 맞이하며, 'K-록의 본고장'이라는 주제로 사흘간 열린다. 

 

올해 축제에는 세계적인 기타리스트 잭 화이트를 비롯해 다양한 국내외 밴드들이 참여한다. 

 

잭 화이트는 미국 출신으로 12회 그래미를 수상한 바 있으며, 그의 밴드 화이트 스트라입스의 유명 곡 '세븐 네이션 아미'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축제 이틀째 헤드라이너로 출연할 예정이며 중독적인 기타 리프 덕분에 팬들의 기대를 모은다.

 

미국의 펑크 밴드 턴스타일, 대만의 국민 밴드 파이어 이엑스,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오리사카 유타 등 세계 각국의 유명 아티스트들도 한국을 찾아 무대를 빛낸다. 특히, 브라질의 메탈 밴드 세풀투라는 이번 축제에서 고별 투어의 일환으로 마지막 공연을 펼친다.

 

축제의 마지막 날인 4일에는 한국 밴드 잔나비가 헤드라이너로 나선다. 잔나비는 2014년 신인 발굴 프로그램 '슈퍼루키'를 통해 처음 펜타포트에 출연했으며 10년 만에 다시 헤드라이너로 돌아오는 이번 무대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실리카겔, 라쿠나, 새소년, QWER, 아마도이자람밴드 등 다양한 한국 밴드들이 참여해 풍성한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번 펜타포트를 글로벌 축제로 선정하고, 해외 관광객 유치와 음악 교류를 지원하기 위해 향후 3년간 국비 2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축제 기간 동안 아시아 축제산업 관계자와 해외 음악산업 관계자들을 초청해 '펜타포트 쇼케이스'를 추진하며, 국제적인 음악 교류를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외신과 해외 콘텐츠 창작자들이 축제 현장을 취재하고 알릴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고 있으며, 내년부터는 해외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여행 상품도 출시할 예정이다. 인천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은 이제 단순한 음악 축제를 넘어 국제적인 음악 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소리 없는 세상’에서 울려 퍼진 기적…세상에서 가장 특별했던 ‘촛불하나’ 협연 무대

미래재단의 후원 아래 스무 번째 정기연주회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허무는 감동의 선율을 선사했다. 지난 22일 여의도 KBS홀에서 열린 이번 연주회는 ‘히스토리(History)’라는 주제에 걸맞게 앙상블의 지난 20년 역사를 대표하는 다채로운 곡들로 채워졌다. 관객들은 청각장애가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만큼 완벽한 하모니를 만들어내는 단원들의 모습에 찬사를 아끼지 않았으며, 이들의 연주는 장애가 결코 꿈을 가로막는 장벽이 될 수 없음을 증명하는 감동적인 순간이었다.이번 무대에서 35명의 청각장애 유소년 단원들은 아스토르 피아졸라의 ‘리베르탱고’, 드보르자크의 ‘신세계 교향곡 9번’과 같은 고난도의 클래식 명곡을 완벽하게 소화하며 음악적 재능을 뽐냈다. 보청기와 인공달팽이관을 통해 소리를 듣고, 수많은 재활 치료를 거쳐 세상과 소통하는 이들이 만들어내는 깊고 풍부한 클라리넷 소리는 그 자체로 하나의 울림이었다. 여기에 사랑의달팽이 홍보대사인 뮤지컬 배우 배다해와 가수 김태우가 게스트로 참여해 무대를 더욱 빛냈다. 특히 김태우는 앙상블 단원들과 함께 자신의 히트곡 ‘사랑비’와 ‘촛불하나’를 협연하며, 어려움을 겪는 모든 이들에게 희망과 응원의 메시지를 전했다. 방송인 안현모의 사회를 포함한 이들의 참여는 모두 재능 기부로 이루어져 그 의미를 더했다.관객들은 클래식부터 대중가요까지 폭넓은 장르를 아우르는 단원들의 연주 실력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다른 연주자와 호흡을 맞춰야 하는 앙상블의 특성상 청각장애인에게는 더욱 큰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예상을 완전히 뒤엎는, 빈틈없는 최고의 연주였다는 평가가 쏟아졌다. 이러한 완벽한 무대 뒤에는 학생이라는 본분에도 불구하고 주말과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연습에 매달린 단원들의 피나는 노력이 있었다. 또한, 2023년부터 ‘우리루키(Look&Hear) 프로젝트’를 통해 저소득층 청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을 지원해 온 우리금융미래재단의 든든한 후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재단은 지난 2년간 335명에게 수술 및 치료를 지원하고 앙상블 운영을 도우며 아이들의 꿈을 응원해왔다.사랑의달팽이 이행희 회장은 “20년 전 앙상블을 처음 창단할 때만 해도 음악을 연주하는 청각장애인을 상상하는 이는 많지 않았다”고 회고하며, “수천 명의 관객에게 음악으로 한계를 넘을 수 있음을 보여준 단원들이 자랑스럽다”는 소감을 밝혔다. 그는 앞으로도 앙상블 활동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에 대한 편견 없이 소통하고 화합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덧붙였다. 불가능에 가까워 보였던 도전을 현실로 만들어낸 청각장애 유소년들의 기적 같은 연주, 그 스무 번째 이야기는 우리 사회에 깊은 감동과 함께 편견 없는 세상을 향한 희망의 메시지를 던졌다. 연주회 전체 영상은 다음 달 사랑의달팽이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시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