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여름 휴가서 '하반기 국정 운영' 구상 집중 계획

2024-08-05 11:05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5일부터 여름휴가를 보내며 당면 현안들과 하반기 국정 운영 구상에 집중할 예정이다. 

 

4일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대부분의 휴가를 보내며, 경남 거제시 저도 등의 지역 2~3곳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군 시설 방문과 전통 시장 방문 등을 통해 내수 활성화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도 여러 현안이 휴가 기간에 점검될 예정이다. 주요 사안으로는 8·15 광복절 특사, 김건희 여사를 보좌할 제2부속실 설치, 체코 원전 순방, 티몬·위메프의 미정산 사태에 대한 경과도 보고받을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방송4법', '전 국민 25~35만원 지원법' 등의 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 여부도 숙고할 예정이다. 야당이 5일 본회의에서 단독 통과를 예고한 '노란봉투법'에 대해서는 여당이 거부권 행사를 요청한 상태다.

 

올해 윤 대통령의 여름 휴가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대한민국 정치, 경제, 사회를 쑥대밭으로 만들고 휴가를 떠날 염치가 있나"라며 맹비난 했다. 

 

한편, 윤 대통령의 휴가 기간은 유동적이며, 국정 상황에 따라 조기 복귀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에도 윤 대통령은 휴가 마지막 날 서울로 복귀해 국정 상황을 점검한 바 있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서양 꽃꽂이와는 근본이 다르다\"…우리가 몰랐던 K-꽃꽂이에 담긴 진짜 철학

중문화축전'의 일환으로, 관객 참여형 궁중극 '시간여행'과 노년층 맞춤형 화훼 체험 '동궐 장원서'가 관람객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제공한다. 단순한 관람을 넘어 역사의 현장을 직접 거닐고, 배우와 소통하며 이야기의 일부가 되는 새로운 형태의 궁궐 체험은 관객들에게 신선한 충격과 재미를 안겨주었다. 이번 행사는 역사의 공간이 가진 힘을 극대화하여, 관객이 직접 시간 여행자가 되어 과거와 현재를 잇는 특별한 경험을 하도록 기획되었다.이번 축전의 백미는 단연 120분간 창경궁의 네 공간을 무대로 펼쳐지는 궁중극 '시간여행'이다. 이 극은 관객을 단순한 구경꾼으로 남겨두지 않는다. 명정문 앞에서 관객들은 가뭄과 홍수로 고통받는 영조 시대의 백성이 되어, 임금이 직접 곡식을 나눠주는 구휼 의식 '임문휼민의'에 참여한다. 배우들은 관객에게 직접 말을 걸고 문답을 주고받으며 극의 몰입도를 극대화한다. 특히 외국인 관람객을 위한 통역관 배역을 따로 두어 언어의 장벽을 허문 세심함이 돋보였다. 명정전에서는 성종 시대의 궁중 연회가 재현되고, 경춘전에서는 정조의 탄생 설화가, 통명전에서는 관객이 직접 간택 후보가 되어 왕비가 결정되는 극적인 순간을 체험하게 된다. 이는 역사를 책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온몸으로 느끼고 참여하는 살아있는 경험으로 탈바꿈시킨 파격적인 시도다.궁궐의 또 다른 한편인 대온실에서는 전혀 다른 분위기의 행사가 열렸다. 조선시대 궁궐의 조경과 화훼를 담당하던 '장원서'를 주제로 한 전통 화훼 체험 프로그램은 '60세 미만 참여 불가'라는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어 눈길을 끌었다. 오직 노년층만을 위해 마련된 이 공간에서 참여자들은 '반려화분 만들기'를 통해 궁중 원예 문화를 체험하고,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전통차와 다과를 즐겼다. 특히 한국 꽃꽂이 명인에게 직접 듣는 우리 꽃꽂이의 철학은 프로그램의 깊이를 더했다. 서양이 형태와 이성을 중시하며 플로랄 폼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우리는 하늘과 땅, 인간의 조화를 중시하며 자연 소재를 그대로 활용하는 방식에서 출발했다는 설명은 참여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이날 행사에 참여한 대한노인회 종로구지회 소속 어르신들의 얼굴에는 설렘과 행복이 가득했다. 83세의 한 참여자는 "나이 먹은 사람들을 특별히 초청해 이런 프로그램을 진행해준다는 사실에 오는 내내 설레고 행복했다"며 "앞으로 이런 기회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벅찬 소감을 전했다. 생전 처음으로 이런 문화 체험에 참여해본다는 77세의 또 다른 참여자 역시 신기하고 반가운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이번 창경궁의 가을 축제는 잊혔던 역사를 생생하게 되살리고, 특정 세대를 위한 맞춤형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단순한 행사를 넘어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메시지를 던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