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9·9절 '당·정부 간부' 금수산궁전 참배..김정은 언급 없어
2024-09-09 11:34
북한은 정권 수립 76주년(9.9절)을 하루 앞둔 8일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대규모 경축집회와 야회를 열고 당과 정부의 고위 간부들이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9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로동신문은 김덕훈 내각 총리와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비롯한 고위 간부들이 주석단에 참석해 북한 정권 창건을 기념하는 공식 행사에 자리했다고 보도했다.
김덕훈 내각 총리는 경축 연설에서 "공화국 정부는 앞으로도 당의 인민대중제일주의를 변함없는 정책 기조로 삼고, 인민의 생명안전과 권익을 철저히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문명하고 부강한 사회주의 강국 건설을 위한 과제를 해결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이번 행사에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축하단을 비롯한 해외 동포와 평양 주재 외교관들도 초청되어 북한의 정권 수립 기념일을 함께 기념했다.
또한 로동신문은 김덕훈 총리와 최룡해 위원장을 비롯한 고위 간부들이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위원장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전했다. 이들 간부는 공화국 창건 76주년을 맞아 북한의 최고 성지를 찾았으며 이는 북한 정권에 대한 충성심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행사로 해석된다.
다만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배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김 위원장은 과거 2012년, 2018년, 2021년 9.9절에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한 바 있지만 올해는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북
한편 북한은 1948년 9월 9일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일로 기념하며 정권 수립 기념일로 삼아 매년 성대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이재명 대통령이 첫 국빈 방문국인 아랍에미리트(UAE)에서 파격적인 환대를 받으며 양국 관계의 깊이를 확인했다. UAE 측은 하늘길부터 정상회담장까지 ..


역전시 활성화 사업’이 바로 그것으로, 서울 유수의 미술관과 갤러리에서 기획되어 시장의 인정을 받은 우수 전시 콘텐츠를 전국 각지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경남 거제도의 복합문화공간 ‘아그네스파크’에서는 서울 토탈미술관이 기획한 ‘더 쇼 머스트 고 온’ 전시가 열리고, 한강 너머 북한 땅이 보이는 김포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에서는 멸종위기 동식물을 주제로 한 ‘자연의 영토 함께’ 전시가 관람객을 맞이하는 등, 이제는 먼 길을 나서지 않아도 지역의 일상 공간에서 수준 높은 예술을 만나는 것이 가능해졌다.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수도권에 극심하게 편중된 미술계의 불균형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3년 미술시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미술관 278곳 중 서울의 비중은 16.5%(46곳)에 불과하지만, 연간 미술관별 평균 관람객 수는 서울이 12만 2,133명으로 서울 외 지방(4만 3,715명)의 세 배에 육박했다. 화랑은 전국 895개 중 절반이 훌쩍 넘는 513개(57.3%)가, 경매회사는 12곳 중 10곳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2023년에 열린 아트페어 82개 중 35개(42.7%)가 서울에서 개최되는 등 인프라와 콘텐츠의 쏠림 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다. 이는 곧 지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가 원천적으로 제약받고 있음을 의미한다.정부와 유관 기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전시 활성화 사업’의 규모를 대폭 확대하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24년 30억 원의 예산으로 19개 전시를 지원하며 시작된 이 사업은 올해 46억 원(56곳)을 거쳐 내년에는 76억 원으로 예산이 증액될 예정으로, 불과 2년 만에 예산 규모가 2.5배 이상 성장했다. 사업은 크게 세 갈래로 나뉜다. 주요 미술관의 소장품을 순회 전시하는 ‘미술관 콘텐츠 활용’, 인구감소 지역을 직접 찾아가는 ‘지역 특화전시’, 그리고 우수 콘텐츠와 지역 공간을 연결하는 ‘매칭 지원’을 통해 전국 곳곳의 미술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실제로 ‘피카소와 동시대 화가’ 전시는 충남 서천에서, 사비나미술관의 ‘조던매터’ 사진전은 부산에서 열리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지역전시 활성화 사업’은 단순히 서울의 전시를 지방으로 옮겨 놓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예술가에게는 새로운 활동 무대를, 지역 전시 공간에는 양질의 콘텐츠 확보 기회를, 그리고 지역민에게는 수준 높은 문화 향유의 장을 제공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전북 군산의 한 전시에 참여한 작가는 “지역 전시 공간과 협력하고 다른 작가들과 교류할 기회가 생겨 뜻깊었다”고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이처럼 서울의 우수한 전시 콘텐츠가 지역으로 확산되는 선순환 구조는 지역의 사립미술관, 화랑, 기획사들이 자체적인 기획 및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고 한 단계 더 성장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