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9·9절 '당·정부 간부' 금수산궁전 참배..김정은 언급 없어

2024-09-09 11:34

 북한은 정권 수립 76주년(9.9절)을 하루 앞둔 8일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대규모 경축집회와 야회를 열고 당과 정부의 고위 간부들이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

 

9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로동신문은 김덕훈 내각 총리와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비롯한 고위 간부들이 주석단에 참석해 북한 정권 창건을 기념하는 공식 행사에 자리했다고 보도했다. 

 

김덕훈 내각 총리는 경축 연설에서 "공화국 정부는 앞으로도 당의 인민대중제일주의를 변함없는 정책 기조로 삼고, 인민의 생명안전과 권익을 철저히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문명하고 부강한 사회주의 강국 건설을 위한 과제를 해결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이번 행사에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축하단을 비롯한 해외 동포와 평양 주재 외교관들도 초청되어 북한의 정권 수립 기념일을 함께 기념했다.

 

또한 로동신문은 김덕훈 총리와 최룡해 위원장을 비롯한 고위 간부들이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위원장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전했다. 이들 간부는 공화국 창건 76주년을 맞아 북한의 최고 성지를 찾았으며 이는 북한 정권에 대한 충성심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행사로 해석된다.

 

다만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배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김 위원장은 과거 2012년, 2018년, 2021년 9.9절에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한 바 있지만 올해는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북

 

한편 북한은 1948년 9월 9일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일로 기념하며 정권 수립 기념일로 삼아 매년 성대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지휘자 국적 때문에…'전쟁' 터진 클래식계, 대체 무슨 일이?

연이 예정일(18일)을 코앞에 두고 돌연 취소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표면적인 이유는 단 하나, 지휘봉을 잡기로 한 라하브 샤니(36)가 이스라엘 태생이라는 점이었다. 차세대 거장으로 주목받으며 2026년부터 뮌헨 필하모닉의 상임지휘자로 부임할 예정인 샤니는 현재 로테르담 필하모닉 상임지휘자이자 이스라엘 필하모닉 음악감독을 겸하고 있는, 클래식계의 가장 뜨거운 인물 중 한 명이다.이번 공연을 주최한 플란더스 페스티벌 측은 성명을 통해 취소의 명분을 밝혔다. 그들은 샤니가 여러 차례 평화를 지지하는 발언을 해왔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그가 이스라엘 필하모닉의 음악감독이라는 직책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페스티벌 측은 샤니의 태도가 이스라엘 정권이 자행한 '집단 학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한 예술가의 국적과 그가 맡은 직책이 그의 예술 활동 전체를 옭아매는 족쇄가 된 순간이었다.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곧바로 거센 역풍에 직면했다. 뮌헨 시와 뮌헨 필하모닉은 즉각 공동 성명을 내고 "출신이나 종교를 이유로 예술가를 배제하는 행위는 유럽의 핵심 가치와 민주주의의 근본에 대한 공격"이라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샤니가 상임지휘자로 있는 로테르담 필하모닉 역시 "음악은 분열이 아닌 연결을 위한 것"이라는 원칙을 천명하며, "우리는 국적과 배경으로 예술가를 평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단호한 입장을 발표하며 샤니에 대한 굳건한 지지를 보냈다.논란은 기관 간의 대립을 넘어 음악계 전체의 연대 움직임으로 번져나갔다. 피아니스트 마르타 아르헤리치, 안드라스 쉬프,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 바이올리니스트 르노 카퓌송 등 이름만으로도 클래식 팬들을 설레게 하는 거장들이 대거 샤니 지지 의사를 밝혔고, 수백 명의 체임버 뮤지션과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온라인 청원 플랫폼을 통해 페스티벌 측의 공연 취소 결정을 철회하라는 서명 운동에 동참했다. 한 예술가에 대한 정치적 잣대가 오히려 전 세계 음악인들의 분노와 연대를 촉발시킨 셈이다. 이번 사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와 소프라노 안나 네트렙코가 '푸틴의 친구'라는 이유로 서방 무대에서 퇴출당했던 씁쓸한 선례를 떠올리게 한다. 전쟁의 포화가 멈추지 않는 한, 예술과 정치의 경계에서 벌어지는 이 위험한 줄타기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