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사 회원국 총출동 '한반도 자유와 평화 지킨다'.. 北에 강력 경고!

2024-09-11 11:06

 '제2회 한국·유엔군사령부 회원국 국방장관회의'에서 한국과 유엔사 회원국들이 한반도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한 협력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 회의에서는 북한의 불법적인 핵 개발과 최근 북·러 간 군사 협력에 대한 대응 방안이 주요 의제로 다루어졌다.

 

10일 김용현 국방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유엔군사령부가 대한민국 안보를 지키는 3대 핵심축 중 하나로, '우리 군의 압도적 국방태세'와 '한미 동맹'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회의가 북한에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가치 공유국들 간의 견고한 연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김 장관은 북·러 군사 협력을 겨냥해 국제질서와 규범을 훼손하고 전 세계를 위험에 빠뜨리는 무모한 행동이라고 비판하며 자유와 민주주의 같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이 강력한 연대를 구축해 함께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6·25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아 처음 개최된 이후 두 번째로 열린 회의로 한국과 캐나다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회의에는 미국, 호주, 프랑스, 그리스, 이탈리아 등 18개 유엔사 회원국의 국방 장·차관과 대표들이 참석했으며, 폴 러캐머라 유엔군사령관도 함께했다.

 

본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되었으며, '한반도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하나의 깃발, 하나의 정신 아래 함께 싸운다'는 주제 아래 유엔군사령부의 역할과 한반도 전쟁 억제 및 평화 유지 방안이 논의되었다. 또한 한국과 유엔사 회원국 간의 협력과 연대를 강화하는 방안이 중점적으로 다뤄졌으며, 참석국들은 북·러 간 무기 거래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아재들 음악 아니었어? K팝 다음 주자로 떠오른 국악의 충격적인 배신

진을 기록하며 심상치 않은 열기를 뿜어내고 있다. 특히 18일 전주시립국악단과 25일 서울시국악관현악단 공연은 티켓 오픈과 동시에 순식간에 동이 나버렸다. K팝 애니메이션의 인기로 한국적 리듬의 힘이 증명된 지금, 'K-사운드'의 원류로 평가받는 국악이 세련된 오케스트라 사운드를 입고 대중의 심장을 정조준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번 축제는 국악이 더 이상 고리타분한 옛것이 아닌, 가장 현대적이고 '힙한' 음악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 장면이 되고 있다.그 화려한 신호탄은 지난 15일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가 쏘아 올렸다. 김성진 지휘자가 이끈 개막 무대는 그야말로 파격과 신선함 그 자체였다. 국악 공연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클래식 기타와 하프가 전면에 나섰고, 여기에 우리 전통 악기인 가야금이 어우러지며 지금껏 들어본 적 없는 사운드를 빚어냈다. 기타리스트 김우재, 하피스트 황세희, 가야금 연주자 유숙경은 마치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세 사람이 음악으로 대화를 나누듯,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었다. 관객들은 숨을 죽인 채 이 낯설고도 아름다운 조화에 빠져들었다. '국악은 지루하다'는 편견이 완전히 깨지는 순간이었다.공연장을 나서는 관객들의 얼굴에는 놀라움과 흥분이 가득했다. 30대 관객 이모 씨는 "하프와 기타가 어우러진 예상치 못한 무대였다"며 "서양 악기와 국악기가 대화하는 듯한 순간이 정말 인상 깊었다"고 감탄했다. 국악을 처음 접했다는 10대 관객 정모 씨 역시 "전혀 낯설지 않고 오히려 너무 흥미로웠다. 완전히 새로운 음악 세계를 경험한 기분"이라며 벅찬 소감을 전했다. 이는 이번 축제가 노리는 지점이기도 하다. 황병기를 오마주한 '깊은 밤', 하프 협주곡 '달하노피곰' 등 실험적인 레퍼토리는 국악이 가진 즉흥성과 서정성을 극대화하며 K팝을 넘어 한국의 깊은 정서를 전달할 새로운 언어가 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개막 공연의 열기는 이제 시작일 뿐이다. 16일 KBS국악관현악단과 바이올리니스트의 만남을 시작으로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전주, 강원, 서울 등 전국의 실력파 국악관현악단 10개가 차례로 무대에 올라 저마다의 색깔을 뽐낼 예정이다. 세종문화회관 안호상 사장은 "이번 축제는 국악관현악이 나아갈 미래를 보여줄 것"이라고 자신했다. K팝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국악의 화려한 반란이 시작됐다. 이번 축제가 과연 국악관현악을 대중음악의 중심으로 끌어올리는 기폭제가 될 수 있을지, 모두의 이목이 세종문화회관으로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