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韓 '최초' 노벨 문학상 수상..세계가 주목했다!

2024-10-11 13:13

 소설가 한강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한강은 1970년 광주에서 태어나 1993년 시로 등단한 뒤, 이듬해 소설가로도 데뷔했다. 그녀는 소설 '채식주의자'를 비롯해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국내외에서 큰 사랑을 받았다. 특히 2016년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한강의 가족은 문학계에서 유명한 '문인 가족'으로, 아버지 한승원은 소설가이며, 오빠 한동림과 남동생 한강인도 각각 소설과 만화 창작 활동을 하고 있다. 남편 홍용희는 경희사이버대 미디어문예창작과 교수이자 문학평론가로 활동 중이다.

 

스웨덴 한림원은 한강의 대표작 중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를 언급하며 그녀의 작품 세계를 높이 평가했다. '소년이 온다'는 광주 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한 증인 문학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았고, '작별하지 않는다'는 제주 4·3 사건을 여성의 시각으로 풀어내며 집단적 망각과 트라우마를 다뤘다. 한림원은 한강의 문체를 "간결하면서도 우리의 기대를 넘어서는 독창적인 것"으로 평가했다.

 

한강은 노벨상 수상 후 "매우 놀랐고 정말 영광스럽다"는 소감을 전했으며, 독자에게는 가장 최근작인 '작별하지 않는다'부터 읽기를 권했다. 이 작품은 제주 4·3의 비극을 여성의 시각으로 풀어낸 것이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결국 K-콘텐츠가 해냈다… 디즈니가 글로벌 전략의 ‘중심’을 한국으로 옮긴 진짜 이유

디즈니+의 오리지널 콘텐츠 전략 전면에 한국 작품들을 내세우며, 이를 단순한 지역 흥행작이 아닌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장기적인 성장축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비단 디즈니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며, 세계적인 OTT 플랫폼들이 공통적으로 한국 콘텐츠의 무한한 확장성에 주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한국 특유의 스토리텔링이 이제는 아시아를 넘어 세계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핵심 변수로 떠오른 것이다.디즈니의 이러한 전략적 선택은 지난 13일 홍콩에서 열린 ‘디즈니+ 오리지널 프리뷰 2025’ 행사에서 더욱 명확해졌다. 이 자리에서 루크 강 월트디즈니컴퍼니 아태지역 총괄 사장은 한국 창작자들과의 협업이 낳은 결과물들이 전 세계적으로 깊은 공감과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것이 ‘위대한 이야기가 살아 숨 쉬는 플랫폼’을 지향하는 디즈니+의 정체성과 완벽하게 부합한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웹툰, 음악 등 다양한 한국의 지적재산(IP)에서 영감을 받아 세계 무대에서 통할 수 있는 로컬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제작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는 한국의 창의적인 생태계가 디즈니의 미래 전략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하는 대목이다.디즈니의 자신감은 2025년을 겨냥한 압도적인 신작 라인업에서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날 공개된 작품 목록에는 ‘조각도시’, ‘메이드 인 코리아’, ‘21세기 대군부인’, ‘골드랜드’, ‘재혼황후’, ‘킬러들의 쇼핑몰 시즌2’ 등 블록버스터급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가 대거 포함되었다. 지창욱, 도경수, 정우성, 현빈, 박보영, 신민아, 주지훈, 이동욱 등 이름만으로도 기대를 모으는 대한민국 톱배우들이 총출동하여 아태 지역 미디어의 스포트라이트를 한 몸에 받았다. 이는 단순한 콘텐츠 수급을 넘어, 한국의 스타 파워와 제작 역량을 디즈니+의 핵심 경쟁력으로 활용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명으로 해석된다.특히 하반기 최고 기대작으로 꼽히는 ‘메이드 인 코리아’는 공개 전부터 시즌2 제작을 확정하며 작품에 대한 디즈니의 확신을 증명했다. 1970년대 격동의 한국을 배경으로 인간의 극단적인 욕망을 파고드는 이 작품에 대해 주연 배우 정우성은 "역사적 사실 기반 위에 인간 내면의 깊은 욕망을 담아낸 흥미로운 이야기가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연출을 맡은 우민호 감독 역시 전작 ‘내부자들’, ‘남산의 부장들’의 계보를 잇는, 뒤틀린 욕망과 신념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될 것이라고 밝혀 기대감을 증폭시켰다. 이처럼 제작 단계부터 세계 시장을 겨냥하고, 과감한 투자와 기획을 통해 완성될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들이 디즈니의 새로운 성공 신화를 쓸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