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 파격 인사, 교황청 역사상 첫 여성 장관 임명!
2025-01-08 12:17
프란치스코 교황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임을 2주 앞두고 과거 트럼프 행정부의 반이민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던 로버트 매컬로이 추기경을 워싱턴의 차기 대주교로 임명했다. 이를 두고 교황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 기조에 대한 견제구를 날린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6일(현지시간) 교황청은 매컬로이 추기경을 워싱턴 대주교로 임명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매컬로이 추기경은 미국 가톨릭계에서 대표적인 진보 성향 인사로 꼽힌다. 특히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반이민 정책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며 "가톨릭 신자들은 트럼프 반이민 정책의 방해자가 되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발언해 주목을 받았다.
이번 인사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화당 대선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상황에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더욱 눈길을 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강경한 반이민 정책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어, 매컬로이 추기경과의 충돌은 불가피해 보인다.
미국 가톨릭 전문 매체 CNA는 "매컬로이 추기경은 미국 추기경 중 가장 진보적인 성향으로 평가받는다"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화된 반이민 정책에 정면으로 맞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브람빌라 수녀의 임명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추진해 온 가톨릭교회 내 여성의 역할 확대 기조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된다.
교황은 2021년 교회법을 개정해 여성도 전례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으며, 2022년에는 바티칸 헌법을 개정해 여성에게도 바티칸시국 내 여러 부서의 장관직을 맡을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인사는 보수적인 가톨릭 교계 분위기 속에서 여성의 지위 향상과 교회 내 역할 확대를 위한 교황의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
팽민찬 기자 fang-min0615@trendnewsreaders.com

2034년 FIFA 월드컵 개최를 앞둔 사우디아라비아가 전례 없는 '하늘 축구장' 계획을 공개하며 전 세계 축구 팬들을 놀라게 했다. 최근 소..


이의 신화'를 썼던 연출 손진책, 작곡 박범훈, 안무 국수호, 연희감독 김성녀 등 원조 제작진이 다시 뭉쳤다는 사실만으로도 기대를 모으는 '홍길동이 온다'는 과거의 영광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했던" 서자의 설움이라는 고전 서사를 오늘날 청년들이 겪는 취업난, 사회적 단절, 그리고 만연한 불평등 문제와 정면으로 교차시킨다. 1993년 초연 당시 부패한 권력과 위선을 통렬하게 꼬집었던 파격은 그대로 유지하되, 그 칼끝이 향하는 방향을 동시대의 모순으로 옮겨와 시대를 관통하는 묵직한 메시지를 던진다.이번 공연의 가장 파격적인 변화는 주인공 홍길동을 당대 최고의 여성 소리꾼들이 연기하는 '젠더 프리' 캐스팅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과거 '원조 홍길동'으로 전설적인 무대를 선보였던 김성녀의 뒤를 이어, 국립창극단의 간판스타 이소연과 국악그룹 '우리소리 바라지'의 김율희가 더블 캐스팅되어 각기 다른 매력의 K-히어로를 선보인다. 이는 정형화된 남성 영웅 서사를 탈피하는 신선한 시도이자, 두 소리꾼의 섬세하면서도 호쾌한 에너지가 지금 시대가 마주한 답답함을 어떻게 풀어낼지에 대한 기대를 높인다. '원조' 김성녀 연희감독은 "강직한 리더십의 이소연표 홍길동과 자유롭고 당찬 김율희표 홍길동을 비교하며 보는 재미가 있을 것"이라며 후배들에 대한 강한 신뢰를 드러내, 세대교체를 통해 더욱 풍성해질 홍길동의 새로운 모습를 예고했다.2025년의 홍길동은 혼자가 아니다. 원작에는 없던 여성 활빈당원 '삼충'이라는 새로운 캐릭터가 등장해 극에 유쾌한 활력을 불어넣고, 30여 년간 국립창극단을 지킨 김학용을 비롯한 실력파 배우들이 무대를 가득 채운다. 특히 이번 공연은 마당놀이의 전통적인 틀을 넘어선 화려한 볼거리로 관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을 예정이다. 공중을 나는 플라잉 액션, 관객의 눈앞에서 펼쳐지는 마술, 아크로바틱과 롤러스케이트 퍼포먼스까지, 50여 명의 출연진이 쉴 틈 없이 무대를 누비며 홍길동의 신묘한 활약상을 역동적으로 구현한다. 여기에 작곡가 김성국이 새롭게 합류하여 기존 음악에 현대적 감각을 덧입힌 세련된 음악은 극의 완성도를 한층 끌어올린다.이 모든 새로움 속에서도 마당놀이의 핵심인 '신명과 소통'의 가치는 변치 않는다. 공연 시작 전 엿을 나누어 먹는 소박한 정부터, 돼지머리에 복돈을 꽂으며 새해의 안녕을 비는 고사, 공연 내내 터져 나오는 관객들의 추임새와 마지막을 장식하는 뒤풀이 춤판까지, '홍길동이 온다'는 관객과 배우가 함께 호흡하며 완성하는 축제의 장을 펼친다. 웃음과 해학으로 묵은해의 부정적인 것들을 털어내고, 마음속에 희망을 심어주는 한국형 송구영신(送舊迎新) 공연으로서, 연말연시 관객들에게 잊지 못할 웃음과 속 시원한 카타르시스를 선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