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만의 귀환, '한류 여왕' 이영애, 연극 무대에서 '헤다 가블러'로 부활
2025-01-08 12:28
배우 이영애가 21년 만에 연극 무대로 돌아온다. 엘지아트센터는 8일 이영애가 오는 5월 7일부터 6월 8일까지 공연되는 연극 '헤다 가블러' 주연으로 캐스팅됐다고 밝혔다. 1993년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개관 기념작 '짜장면'(김상수 작·연출) 이후 오랜만의 연극 무대 복귀다.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봄날은 간다', '친절한 금자씨' 등 스크린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발휘하며 '충무로의 여왕'으로 군림했던 이영애. 드라마 '대장금'으로 '한류 열풍'을 이끌었고, '마에스트라'를 통해 또 한 번의 연기 변신에 성공하며 저력을 보여준 그가 선택한 차기작은 바로 연극 '헤다 가블러'다.
이영애가 연기할 '헤다 가블러'는 노르웨이 극작가 헨리크 입센(1828~1906)의 대표작 중 하나로, 19세기 말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억압된 삶을 사는 여성의 비극적인 운명을 그린 작품이다. 뛰어난 미모와 명석한 두뇌, 부유한 집안까지 모든 것을 갖춘 헤다 가블러. 하지만 그녀는 자신에게 주어진 삶에 끊임없이 갑갑함과 좌절감을 느끼며, 결국 파멸의 길을 선택하게 된다.
이번 공연은 지난해 배우 전도연, 박해수 주연의 연극 '벚꽃 동산'을 성공적으로 선보였던 엘지아트센터가 직접 제작을 맡아 더욱 기대를 모은다. 연출은 '지상의 여자들', '키리에' 등을 통해 섬세하고 감각적인 연출 세계를 인정받은 전인철이 맡아 이영애와 함께 새로운 '헤다 가블러'를 만들어낼 예정이다.

이로써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두 명의 여배우, 이영애와 이혜영이 같은 작품, 같은 역할로 다른 무대에서 관객들을 만나게 되었다. 20년이 넘는 나이 차이만큼이나 다른 매력을 지닌 두 배우가 그려낼 '헤다 가블러'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섬세한 감정 연기와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력으로 사랑받는 두 배우의 연기 대결에 벌써부터 연극계 안팎의 기대가 뜨겁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18년간 '베어스'의 상징과도 같았던 거포 김재환이 정든 유니폼을 벗고 시장에 나왔다. 두산 베어스는 26일, 김재환을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하며 사실..


IV'는 고전주의의 틀 안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던 청년 베토벤의 음악적 야심과 내면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무대로 꾸며진다. 임연실은 이번 독주회에서 베토벤의 초기 작품 중에서도 각기 다른 개성과 의미를 지닌 세 개의 소나타를 선정, 작품에 담긴 서정성과 실험 정신, 그리고 극적인 드라마를 그녀만의 섬세하고도 힘 있는 해석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관객들은 이번 공연을 통해 익숙한 명곡의 새로운 면모는 물론, 베토벤이 피아노라는 악기를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거대한 음악적 비전을 생생하게 마주하게 될 것이다.이번 공연의 포문은 베토벤의 초기 소나타 중에서도 정제된 서정성이 돋보이는 소나타 9번 E장조로 연다. 이 곡은 내면의 균형감과 함께 피아노의 음향적 가능성을 탐구하던 베토벤의 실험적 면모가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어지는 무대는 베토벤 스스로 '큰 소나타(Grande Sonata)'라고 명명했을 만큼 거대한 규모와 구성을 자랑하는 소나타 4번 E-flat장조가 장식한다. 약 28분에 달하는 연주 시간, 폭넓은 음역대와 다채로운 화성은 당시 통상적인 소나타의 규격을 뛰어넘는 것으로, 피아노 소나타를 교향곡에 버금가는 대규모 예술 형식으로 격상시키려 했던 베토벤의 의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고전적 형식미 속에 낭만주의적 감성의 싹을 틔운 초기 대작으로 평가받는 이 곡을 통해 관객들은 청년 베토벤의 뜨거운 열정과 야심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연주회의 대미는 대중에게 '비창(Pathétique)'이라는 이름으로 너무나도 유명한 피아노 소나타 8번 c단조가 장식한다. 이 곡은 베토벤이 직접 '비장하고 감정을 강하게 일으키는 대 소나타'라는 의미의 표제를 붙인 최초의 피아노 소나타로, 그의 초기 작품 세계에서 가장 극적인 서사와 강렬한 에너지를 분출하는 걸작이다. 폭풍우처럼 몰아치는 격정과 비극적인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이 작품은 고전주의 시대의 종언과 낭만주의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과도 같은 곡으로 평가받는다. 임연실은 이 곡을 통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감정의 소용돌이와 그것을 아우르는 견고한 구조적 완성도를 동시에 선보이며 베토벤 음악의 정수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처럼 다채로운 베토벤의 초기 세계를 그려낼 피아니스트 임연실은 이화여대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브레멘 국립예술대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최고성적으로 마치며 탄탄한 실력을 인정받은 정통파 연주자다. 현재 명지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객원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는 그는, 이번 연주회에서 학구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한 깊이 있는 해석과 탁월한 연주력을 통해 베토벤의 음악 세계를 더욱 풍부하고 입체적으로 전달할 것이다. 그의 손끝에서 재탄생할 베토벤의 초기 걸작들이 쌀쌀한 겨울밤, 관객들의 마음에 깊은 울림과 뜨거운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