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만의 귀환, '한류 여왕' 이영애, 연극 무대에서 '헤다 가블러'로 부활
2025-01-08 12:28
배우 이영애가 21년 만에 연극 무대로 돌아온다. 엘지아트센터는 8일 이영애가 오는 5월 7일부터 6월 8일까지 공연되는 연극 '헤다 가블러' 주연으로 캐스팅됐다고 밝혔다. 1993년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개관 기념작 '짜장면'(김상수 작·연출) 이후 오랜만의 연극 무대 복귀다.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봄날은 간다', '친절한 금자씨' 등 스크린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발휘하며 '충무로의 여왕'으로 군림했던 이영애. 드라마 '대장금'으로 '한류 열풍'을 이끌었고, '마에스트라'를 통해 또 한 번의 연기 변신에 성공하며 저력을 보여준 그가 선택한 차기작은 바로 연극 '헤다 가블러'다.
이영애가 연기할 '헤다 가블러'는 노르웨이 극작가 헨리크 입센(1828~1906)의 대표작 중 하나로, 19세기 말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억압된 삶을 사는 여성의 비극적인 운명을 그린 작품이다. 뛰어난 미모와 명석한 두뇌, 부유한 집안까지 모든 것을 갖춘 헤다 가블러. 하지만 그녀는 자신에게 주어진 삶에 끊임없이 갑갑함과 좌절감을 느끼며, 결국 파멸의 길을 선택하게 된다.
이번 공연은 지난해 배우 전도연, 박해수 주연의 연극 '벚꽃 동산'을 성공적으로 선보였던 엘지아트센터가 직접 제작을 맡아 더욱 기대를 모은다. 연출은 '지상의 여자들', '키리에' 등을 통해 섬세하고 감각적인 연출 세계를 인정받은 전인철이 맡아 이영애와 함께 새로운 '헤다 가블러'를 만들어낼 예정이다.

이로써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두 명의 여배우, 이영애와 이혜영이 같은 작품, 같은 역할로 다른 무대에서 관객들을 만나게 되었다. 20년이 넘는 나이 차이만큼이나 다른 매력을 지닌 두 배우가 그려낼 '헤다 가블러'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섬세한 감정 연기와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력으로 사랑받는 두 배우의 연기 대결에 벌써부터 연극계 안팎의 기대가 뜨겁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세계랭킹 1위 '배드민턴 여제' 안세영(23·삼성생명)이 2025 BWF 슈퍼 500 호주오픈 여자 단식 정상에 오르며 올 시즌 월드투어 10번째 우승..


으로 기획한 이번 전시는 '이슬람 미술, 찬란한 빛의 여정'이라는 이름 아래, 초기 쿠란 필사본을 포함한 83점의 엄선된 유물을 선보인다. 국내 거주 무슬림 인구가 30만 명에 육박하는 등 우리 사회에 가까워진 이슬람 문화를 폭넓게 이해하고 포용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기획된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이 2019년부터 추진해온 세계문화관 조성 사업의 다섯 번째 결과물이다. 종교적 교리를 넘어 다양성과 포용력을 바탕으로 발전해 온 이슬람 문화의 진수를 국내에서 상설 전시로 만날 수 있게 된 것이다.전시는 총 세 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이슬람 미술의 흐름을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1부 '이슬람 세계의 종교미술'에서는 신앙과 예술이 결합된 이슬람 문화의 본질을 탐구한다. 양피지에 쓰인 초기 쿠란부터 티무르 제국의 거대한 필사본에 이르기까지, 서예가 신성한 예술의 경지에 오른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스크를 장식했던 미흐랍(벽감) 석판과 램프, 아라베스크와 기하학 무늬로 채워진 타일 등은 신성한 공간에 예술성을 더한 이슬람 장인들의 미감을 보여준다. 특히 전시 공간을 돔 지붕과 팔각형 구조로 연출해 관람객이 마치 모스크에 들어선 듯한 몰입감을 느끼게 했다.2부 '이슬람 문화의 포용과 확장'에서는 아라비아반도에서 시작된 이슬람 문화가 여러 지역과 교류하며 역동적으로 발전한 과정을 보여준다. 천문 관측 기구였던 천구의와 아스트롤라베는 당대의 뛰어난 과학 기술과 학문적 탐구 정신을 상징하며, 동서양의 기술이 융합된 유리, 도자기, 금속공예품들은 이슬람 문화의 개방성과 포용성을 증명한다. 3부 '이슬람 궁정 문화와 필사본'은 오스만, 사파비, 무굴 등 강대했던 제국의 화려한 궁정 예술에 주목한다.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정교한 카펫과 직물, 장신구는 물론, 페르시아 대서사시 '샤나메(왕들의 책)'와 같이 왕실의 후원으로 제작된 최고 수준의 필사본들은 예술과 학문이 어우러진 이슬람 문화유산의 정점을 보여준다.이번 전시는 단순한 유물 나열을 넘어 관람객의 체험과 이해를 돕는 다채로운 장치를 마련했다. 도하 이슬람예술박물관의 명물인 '다마스쿠스 귀족의 응접실'을 미디어 아트로 재현한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며 당시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아하! 배움공간'에서는 촉각 체험 자료를 직접 만져보고, 이슬람 기하학 무늬를 조합해 자신만의 패턴을 만들어보는 디지털 체험을 통해 낯선 이슬람 미술을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전시는 예술이라는 보편적 언어를 통해 문화적 대화의 장을 열고, 인류 문화의 다양성과 공존의 가치를 되새기는 뜻깊은 자리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