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25년 전망도 먹구름.."4분기 실적 참담해"

2025-01-09 13:45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 잠정 영업이익 6조5000억 원을 기록하며 증권업계 예상치인 8조5000억 원을 크게 밑돌았다. 이는 지난해 8월만 해도 예상됐던 12조 원에서 점차 하향 조정된 수치마저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매출은 75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5% 증가했으나, 전 분기 대비 5.18% 감소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가전 등 주요 사업부문 모두 부진했다. 특히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은 영업이익 3조6000억 원을 기록했으나, 파운드리 및 시스템LSI 사업부의 2조 원대 적자가 성과를 깎아먹었다. 메모리 사업에서는 HBM과 서버용 DDR5의 수요가 안정적이었으나 PC 및 모바일 중심의 범용 메모리 수요가 부진하며 전체 실적이 악화됐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가격 하락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D램 가격은 지난해 연초 대비 약 25% 하락했고, 낸드플래시 가격은 반토막 수준으로 급락했다. 특히 4분기 들어 고객사의 재고 조정이 가속화되며 비트그로스(출하량 증가율)는 감소하고, 평균 판매가격(ASP)도 하락세를 보였다. 디스플레이 부문 역시 경쟁 심화와 고정비 증가로 영업이익이 전 분기 대비 33% 감소한 약 1조 원에 머물렀다.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MX부문은 영업이익 약 2조 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북미 시장에서는 애플의 공세에 점유율이 하락하고, 인도 등 신흥시장에서 중국 제조업체와의 경쟁이 치열해지며 전년 동기 대비 약 20% 감소했다. 계절적 비수기와 폴더블 신제품 출시 효과 소멸도 실적 부진에 영향을 미쳤다. 가전사업을 담당하는 DA부문은 주요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로 영업이익이 약 5000억~6000억 원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3분기 실적과 비교하면 4분기 성적은 더욱 아쉬운 수준이다. 3분기 삼성전자는 영업이익 10조8500억 원을 기록하며 안정적 흐름을 보였으나, 4분기 들어 실적이 29.19% 급감했다. 3분기에는 메모리 가격 안정과 성수기 효과가 일부 반영됐으나, 4분기에는 전반적인 시장 침체가 가시화됐다.

 

 

 

전문가들은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의 실적 전망에 대해 엇갈린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일부 분석가들은 반도체 부문에서의 출혈이 지속될 가능성을 우려하며 상반기 내내 부진한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중국의 구형 D램 시장 공급량이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범용 메모리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 심화가 예상된다.

 

다만, 차세대 메모리 제품과 파운드리 사업에서의 개선 가능성은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D램 시장은 유통 재고가 점차 정리되며 2분기부터 실적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며 "HBM3E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하며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파운드리 사업도 엑시노스와 이미지 센서(CIS) 가동률이 상승하며 적자 축소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디스플레이 사업의 경우 애플향 OLED 패널 공급 경쟁 심화로 실적 압박이 예상된다. 이수림 DS투자증권 연구원은 "디스플레이 부문 영업이익이 매출 감소와 함께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낸드 시장의 가격 방어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낸드플래시와 기업용 SSD(eSSD)의 가격 하락은 삼성전자의 수익성에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4분기 실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으나 반도체 부문에서 연구개발(R&D)과 기술 경쟁력 강화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진 점을 감안해야 한다"며 "매출액은 연간 기준으로 300조 원에 근접해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시장에서의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회복을 도모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하반기에는 메모리 가격의 안정과 차세대 제품 수요 증가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가 글로벌 경쟁 속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황이준 기자 yijun_i@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정제된 서정성 vs 폭풍 같은 격정…피아니스트 임연실, 베토벤의 두 얼굴을 한 무대에 올린다

IV'는 고전주의의 틀 안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던 청년 베토벤의 음악적 야심과 내면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무대로 꾸며진다. 임연실은 이번 독주회에서 베토벤의 초기 작품 중에서도 각기 다른 개성과 의미를 지닌 세 개의 소나타를 선정, 작품에 담긴 서정성과 실험 정신, 그리고 극적인 드라마를 그녀만의 섬세하고도 힘 있는 해석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관객들은 이번 공연을 통해 익숙한 명곡의 새로운 면모는 물론, 베토벤이 피아노라는 악기를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거대한 음악적 비전을 생생하게 마주하게 될 것이다.이번 공연의 포문은 베토벤의 초기 소나타 중에서도 정제된 서정성이 돋보이는 소나타 9번 E장조로 연다. 이 곡은 내면의 균형감과 함께 피아노의 음향적 가능성을 탐구하던 베토벤의 실험적 면모가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어지는 무대는 베토벤 스스로 '큰 소나타(Grande Sonata)'라고 명명했을 만큼 거대한 규모와 구성을 자랑하는 소나타 4번 E-flat장조가 장식한다. 약 28분에 달하는 연주 시간, 폭넓은 음역대와 다채로운 화성은 당시 통상적인 소나타의 규격을 뛰어넘는 것으로, 피아노 소나타를 교향곡에 버금가는 대규모 예술 형식으로 격상시키려 했던 베토벤의 의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고전적 형식미 속에 낭만주의적 감성의 싹을 틔운 초기 대작으로 평가받는 이 곡을 통해 관객들은 청년 베토벤의 뜨거운 열정과 야심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연주회의 대미는 대중에게 '비창(Pathétique)'이라는 이름으로 너무나도 유명한 피아노 소나타 8번 c단조가 장식한다. 이 곡은 베토벤이 직접 '비장하고 감정을 강하게 일으키는 대 소나타'라는 의미의 표제를 붙인 최초의 피아노 소나타로, 그의 초기 작품 세계에서 가장 극적인 서사와 강렬한 에너지를 분출하는 걸작이다. 폭풍우처럼 몰아치는 격정과 비극적인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이 작품은 고전주의 시대의 종언과 낭만주의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과도 같은 곡으로 평가받는다. 임연실은 이 곡을 통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감정의 소용돌이와 그것을 아우르는 견고한 구조적 완성도를 동시에 선보이며 베토벤 음악의 정수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처럼 다채로운 베토벤의 초기 세계를 그려낼 피아니스트 임연실은 이화여대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브레멘 국립예술대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최고성적으로 마치며 탄탄한 실력을 인정받은 정통파 연주자다. 현재 명지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객원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는 그는, 이번 연주회에서 학구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한 깊이 있는 해석과 탁월한 연주력을 통해 베토벤의 음악 세계를 더욱 풍부하고 입체적으로 전달할 것이다. 그의 손끝에서 재탄생할 베토벤의 초기 걸작들이 쌀쌀한 겨울밤, 관객들의 마음에 깊은 울림과 뜨거운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