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25년 전망도 먹구름.."4분기 실적 참담해"
2025-01-09 13:45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 잠정 영업이익 6조5000억 원을 기록하며 증권업계 예상치인 8조5000억 원을 크게 밑돌았다. 이는 지난해 8월만 해도 예상됐던 12조 원에서 점차 하향 조정된 수치마저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매출은 75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5% 증가했으나, 전 분기 대비 5.18% 감소했다.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가전 등 주요 사업부문 모두 부진했다. 특히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은 영업이익 3조6000억 원을 기록했으나, 파운드리 및 시스템LSI 사업부의 2조 원대 적자가 성과를 깎아먹었다. 메모리 사업에서는 HBM과 서버용 DDR5의 수요가 안정적이었으나 PC 및 모바일 중심의 범용 메모리 수요가 부진하며 전체 실적이 악화됐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가격 하락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D램 가격은 지난해 연초 대비 약 25% 하락했고, 낸드플래시 가격은 반토막 수준으로 급락했다. 특히 4분기 들어 고객사의 재고 조정이 가속화되며 비트그로스(출하량 증가율)는 감소하고, 평균 판매가격(ASP)도 하락세를 보였다. 디스플레이 부문 역시 경쟁 심화와 고정비 증가로 영업이익이 전 분기 대비 33% 감소한 약 1조 원에 머물렀다.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MX부문은 영업이익 약 2조 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북미 시장에서는 애플의 공세에 점유율이 하락하고, 인도 등 신흥시장에서 중국 제조업체와의 경쟁이 치열해지며 전년 동기 대비 약 20% 감소했다. 계절적 비수기와 폴더블 신제품 출시 효과 소멸도 실적 부진에 영향을 미쳤다. 가전사업을 담당하는 DA부문은 주요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로 영업이익이 약 5000억~6000억 원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3분기 실적과 비교하면 4분기 성적은 더욱 아쉬운 수준이다. 3분기 삼성전자는 영업이익 10조8500억 원을 기록하며 안정적 흐름을 보였으나, 4분기 들어 실적이 29.19% 급감했다. 3분기에는 메모리 가격 안정과 성수기 효과가 일부 반영됐으나, 4분기에는 전반적인 시장 침체가 가시화됐다.
전문가들은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의 실적 전망에 대해 엇갈린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일부 분석가들은 반도체 부문에서의 출혈이 지속될 가능성을 우려하며 상반기 내내 부진한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중국의 구형 D램 시장 공급량이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범용 메모리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 심화가 예상된다.
다만, 차세대 메모리 제품과 파운드리 사업에서의 개선 가능성은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D램 시장은 유통 재고가 점차 정리되며 2분기부터 실적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며 "HBM3E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하며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파운드리 사업도 엑시노스와 이미지 센서(CIS) 가동률이 상승하며 적자 축소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디스플레이 사업의 경우 애플향 OLED 패널 공급 경쟁 심화로 실적 압박이 예상된다. 이수림 DS투자증권 연구원은 "디스플레이 부문 영업이익이 매출 감소와 함께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낸드 시장의 가격 방어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낸드플래시와 기업용 SSD(eSSD)의 가격 하락은 삼성전자의 수익성에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4분기 실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으나 반도체 부문에서 연구개발(R&D)과 기술 경쟁력 강화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진 점을 감안해야 한다"며 "매출액은 연간 기준으로 300조 원에 근접해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시장에서의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회복을 도모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하반기에는 메모리 가격의 안정과 차세대 제품 수요 증가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가 글로벌 경쟁 속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황이준 기자 yijun_i@trendnewsreaders.com

소속사 어도어가 그룹 뉴진스를 향한 무분별한 악성 게시물에 칼을 빼 들었다. 어도어는 17일 공식 SNS를 통해, 데뷔 이후부터 국내외 온라인 커뮤니티..


20일 체코 프라하에서 공식 순회공연을 열고 현지 관객들과 만난다. 이번 공연은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스메타나와 같은 유럽의 전설적인 작곡가들의 음악과 함께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의 작품을 한 무대에 올리는 특별한 구성으로 기획되었다. 클래식의 본고장에서 유럽 음악의 전통과 한국 현대음악의 독창성을 조화롭게 선보이며, K-클래식이 지닌 다채로운 정체성과 예술적 확장성을 널리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이번 순회공연이 더욱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은 앙상블의 단원이자 바이올리니스트 유현석(20)이 전해온 낭보 때문이다. 그는 최근 130년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 최정상급 오케스트라인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산하 아카데미에 최종 합격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에 따라 그는 내년 1월부터 약 1년 6개월간 뮌헨 필하모닉의 정기공연에 참여하는 것은 물론, 세계적인 거장들로부터 직접 가르침을 받는 등 세계적인 연주자로 성장하기 위한 최고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이번 유럽 순회공연은 유현석 단원이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일원으로 발탁된 직후 가지는 첫 공식 무대라는 점에서 한국 클래식계의 밝은 미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무대가 될 전망이다.2005년생인 유현석은 어린 시절부터 '음악 영재'의 길을 걸어온 연주자다. 한국예술영재교육원과 서울예술고등학교를 거쳐 불과 17세의 나이로 독일 뮌헨국립음악대학 학사과정에 조기 입학하며 일찌감치 재능을 인정받았다. 현재 4학년에 재학 중인 그는 국내외 유수의 콩쿠르에서 실력을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실내악과 오케스트라 등 다양한 무대 경험을 쌓으며 연주자로서의 스펙트럼을 넓혀왔다. 2024년부터 아르코 앙상블 단원으로 활동하며 독일, 오스트리아 등 유럽 주요 도시에서 꾸준히 연주 활동을 이어오던 중 거둔 이번 성과는 그의 끊임없는 노력과 재능이 만들어낸 값진 결과라 할 수 있다.'아르코 앙상블'은 해외에서 유학하거나 활동 중인 만 34세 이하의 젊은 한국 음악가들을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아르코가 운영하는 청년예술가 국제활동 지원 프로그램이다. 정병국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유럽 순회공연이 한국 청년 음악가들의 뛰어난 역량을 세계 무대에 널리 알리는 뜻깊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히며, "특히 유현석 단원이 20세의 나이로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아카데미에 선발된 것은 K-클래식의 위상을 높인 자랑스러운 성과"라고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이번 공연은 재능 있는 젊은 연주자들의 성장을 돕고 K-클래식의 영토를 넓히려는 노력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