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계의 힙스터' 에드워드 리, 첫 요리책 발간

2025-01-09 13:00

에드워드 리 셰프는 음식과 글쓰기에서 영감을 받고, 그 두 예술 분야에서 깊은 감동을 느끼며 살아온 인물이다. 30년 넘는 요리 경력을 자랑하는 그는 끊임없이 새로운 요리를 창조하고 있으며, 최근 요리책 겸 에세이인 ‘스모크&피클스(Smoke&Pickles)’를 8일 한국에서 출간했다. 이 책은 에드워드 리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그의 정체성과 요리에 대한 철학을 풀어내고 있다.

 

‘스모크&피클스’는 에드워드 리 셰프의 어린 시절 기억과 요리에 대한 애정을 담고 있다. 그가 미국 남부로 이민을 오며 겪은 문화적 차이와 한국 음식에 대한 그리움이 녹아 있다. 그는 “미국 남부와 한국 음식은 그 방식은 다르지만 본질적으로는 비슷하다”라며, 둘 다 고기, 채소, 피클 등을 함께 먹는 전통을 공유한다고 설명한다. 특히, 할머니가 해주시던 ‘냄비밥’과 된장찌개, 김치, 나물 등을 그의 요리 철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밝히며, 그때의 기억을 오늘날의 요리에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그는 요리를 단순한 작업이 아니라 자신을 표현하는 예술로 보고 있다. "음식은 제 정체성이에요. 제가 성장하면 음식도 바뀝니다. 저는 영원히 새로운 요리를 만들고 싶어요"라고 말하는 그의 철학은, 오랜 시간 동안 변하지 않는 추구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 에드워드 리는 현재도 오미자를 활용한 요리 개발에 몰두하고 있으며, 매일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며 끊임없이 요리를 발전시키고 있다.

 

 

 

그의 작품 세계는 요리에만 그치지 않는다. 에드워드 리는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이라는 넷플릭스 시리즈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이 프로그램에서 그는 준우승을 차지하며 대중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이 출연을 계기로 한국에서도 많은 팬을 얻었으며, 팬들과의 소통에 대해 “사진을 요청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매우 따뜻하게 느껴진다”며 고마움을 표현했다. 그러나 그는 현재 한국에 식당을 열 계획은 없으며, 미래에 한국에 식당을 연다면 직접 요리하는 셰프로서 한국 손님들을 맞이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또한, 에드워드 리는 두 번째 요리책 『버터밀크 그래피티』와 세 번째 책 『버번 랜드』를 차례로 출간할 예정이다. 『버터밀크 그래피티』는 이민자로서의 삶을 담은 에세이로, 그의 요리 세계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이야기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또 다른 책인 『버번 랜드』는 위스키에 대한 사랑을 풀어내며, 그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취향과 인생관을 더욱 깊이 있게 탐구하고자 한다.

 

에드워드 리의 요리 철학은 단순히 요리를 만드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그는 요리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세계와 소통하고자 한다. 그의 책들과 방송 활동을 통해 우리는 그가 단순한 셰프가 아니라, 문화적 가교 역할을 하는 예술가임을 알 수 있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서양 꽃꽂이와는 근본이 다르다\"…우리가 몰랐던 K-꽃꽂이에 담긴 진짜 철학

중문화축전'의 일환으로, 관객 참여형 궁중극 '시간여행'과 노년층 맞춤형 화훼 체험 '동궐 장원서'가 관람객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제공한다. 단순한 관람을 넘어 역사의 현장을 직접 거닐고, 배우와 소통하며 이야기의 일부가 되는 새로운 형태의 궁궐 체험은 관객들에게 신선한 충격과 재미를 안겨주었다. 이번 행사는 역사의 공간이 가진 힘을 극대화하여, 관객이 직접 시간 여행자가 되어 과거와 현재를 잇는 특별한 경험을 하도록 기획되었다.이번 축전의 백미는 단연 120분간 창경궁의 네 공간을 무대로 펼쳐지는 궁중극 '시간여행'이다. 이 극은 관객을 단순한 구경꾼으로 남겨두지 않는다. 명정문 앞에서 관객들은 가뭄과 홍수로 고통받는 영조 시대의 백성이 되어, 임금이 직접 곡식을 나눠주는 구휼 의식 '임문휼민의'에 참여한다. 배우들은 관객에게 직접 말을 걸고 문답을 주고받으며 극의 몰입도를 극대화한다. 특히 외국인 관람객을 위한 통역관 배역을 따로 두어 언어의 장벽을 허문 세심함이 돋보였다. 명정전에서는 성종 시대의 궁중 연회가 재현되고, 경춘전에서는 정조의 탄생 설화가, 통명전에서는 관객이 직접 간택 후보가 되어 왕비가 결정되는 극적인 순간을 체험하게 된다. 이는 역사를 책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온몸으로 느끼고 참여하는 살아있는 경험으로 탈바꿈시킨 파격적인 시도다.궁궐의 또 다른 한편인 대온실에서는 전혀 다른 분위기의 행사가 열렸다. 조선시대 궁궐의 조경과 화훼를 담당하던 '장원서'를 주제로 한 전통 화훼 체험 프로그램은 '60세 미만 참여 불가'라는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어 눈길을 끌었다. 오직 노년층만을 위해 마련된 이 공간에서 참여자들은 '반려화분 만들기'를 통해 궁중 원예 문화를 체험하고,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전통차와 다과를 즐겼다. 특히 한국 꽃꽂이 명인에게 직접 듣는 우리 꽃꽂이의 철학은 프로그램의 깊이를 더했다. 서양이 형태와 이성을 중시하며 플로랄 폼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우리는 하늘과 땅, 인간의 조화를 중시하며 자연 소재를 그대로 활용하는 방식에서 출발했다는 설명은 참여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이날 행사에 참여한 대한노인회 종로구지회 소속 어르신들의 얼굴에는 설렘과 행복이 가득했다. 83세의 한 참여자는 "나이 먹은 사람들을 특별히 초청해 이런 프로그램을 진행해준다는 사실에 오는 내내 설레고 행복했다"며 "앞으로 이런 기회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벅찬 소감을 전했다. 생전 처음으로 이런 문화 체험에 참여해본다는 77세의 또 다른 참여자 역시 신기하고 반가운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이번 창경궁의 가을 축제는 잊혔던 역사를 생생하게 되살리고, 특정 세대를 위한 맞춤형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단순한 행사를 넘어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메시지를 던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