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계의 힙스터' 에드워드 리, 첫 요리책 발간
2025-01-09 13:00
에드워드 리 셰프는 음식과 글쓰기에서 영감을 받고, 그 두 예술 분야에서 깊은 감동을 느끼며 살아온 인물이다. 30년 넘는 요리 경력을 자랑하는 그는 끊임없이 새로운 요리를 창조하고 있으며, 최근 요리책 겸 에세이인 ‘스모크&피클스(Smoke&Pickles)’를 8일 한국에서 출간했다. 이 책은 에드워드 리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그의 정체성과 요리에 대한 철학을 풀어내고 있다.‘스모크&피클스’는 에드워드 리 셰프의 어린 시절 기억과 요리에 대한 애정을 담고 있다. 그가 미국 남부로 이민을 오며 겪은 문화적 차이와 한국 음식에 대한 그리움이 녹아 있다. 그는 “미국 남부와 한국 음식은 그 방식은 다르지만 본질적으로는 비슷하다”라며, 둘 다 고기, 채소, 피클 등을 함께 먹는 전통을 공유한다고 설명한다. 특히, 할머니가 해주시던 ‘냄비밥’과 된장찌개, 김치, 나물 등을 그의 요리 철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밝히며, 그때의 기억을 오늘날의 요리에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그는 요리를 단순한 작업이 아니라 자신을 표현하는 예술로 보고 있다. "음식은 제 정체성이에요. 제가 성장하면 음식도 바뀝니다. 저는 영원히 새로운 요리를 만들고 싶어요"라고 말하는 그의 철학은, 오랜 시간 동안 변하지 않는 추구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 에드워드 리는 현재도 오미자를 활용한 요리 개발에 몰두하고 있으며, 매일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며 끊임없이 요리를 발전시키고 있다.
그의 작품 세계는 요리에만 그치지 않는다. 에드워드 리는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이라는 넷플릭스 시리즈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이 프로그램에서 그는 준우승을 차지하며 대중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이 출연을 계기로 한국에서도 많은 팬을 얻었으며, 팬들과의 소통에 대해 “사진을 요청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매우 따뜻하게 느껴진다”며 고마움을 표현했다. 그러나 그는 현재 한국에 식당을 열 계획은 없으며, 미래에 한국에 식당을 연다면 직접 요리하는 셰프로서 한국 손님들을 맞이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또한, 에드워드 리는 두 번째 요리책 『버터밀크 그래피티』와 세 번째 책 『버번 랜드』를 차례로 출간할 예정이다. 『버터밀크 그래피티』는 이민자로서의 삶을 담은 에세이로, 그의 요리 세계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이야기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또 다른 책인 『버번 랜드』는 위스키에 대한 사랑을 풀어내며, 그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취향과 인생관을 더욱 깊이 있게 탐구하고자 한다.
에드워드 리의 요리 철학은 단순히 요리를 만드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그는 요리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세계와 소통하고자 한다. 그의 책들과 방송 활동을 통해 우리는 그가 단순한 셰프가 아니라, 문화적 가교 역할을 하는 예술가임을 알 수 있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청각장애라는 한계를 넘어 음악에 대한 순수한 열정으로 가득 찬 특별한 무대가 펼쳐졌다. 청각장애 유소년들로 구성된 ‘사랑의달팽이 클라리넷앙상블’이 우리..


미래재단의 후원 아래 스무 번째 정기연주회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허무는 감동의 선율을 선사했다. 지난 22일 여의도 KBS홀에서 열린 이번 연주회는 ‘히스토리(History)’라는 주제에 걸맞게 앙상블의 지난 20년 역사를 대표하는 다채로운 곡들로 채워졌다. 관객들은 청각장애가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만큼 완벽한 하모니를 만들어내는 단원들의 모습에 찬사를 아끼지 않았으며, 이들의 연주는 장애가 결코 꿈을 가로막는 장벽이 될 수 없음을 증명하는 감동적인 순간이었다.이번 무대에서 35명의 청각장애 유소년 단원들은 아스토르 피아졸라의 ‘리베르탱고’, 드보르자크의 ‘신세계 교향곡 9번’과 같은 고난도의 클래식 명곡을 완벽하게 소화하며 음악적 재능을 뽐냈다. 보청기와 인공달팽이관을 통해 소리를 듣고, 수많은 재활 치료를 거쳐 세상과 소통하는 이들이 만들어내는 깊고 풍부한 클라리넷 소리는 그 자체로 하나의 울림이었다. 여기에 사랑의달팽이 홍보대사인 뮤지컬 배우 배다해와 가수 김태우가 게스트로 참여해 무대를 더욱 빛냈다. 특히 김태우는 앙상블 단원들과 함께 자신의 히트곡 ‘사랑비’와 ‘촛불하나’를 협연하며, 어려움을 겪는 모든 이들에게 희망과 응원의 메시지를 전했다. 방송인 안현모의 사회를 포함한 이들의 참여는 모두 재능 기부로 이루어져 그 의미를 더했다.관객들은 클래식부터 대중가요까지 폭넓은 장르를 아우르는 단원들의 연주 실력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다른 연주자와 호흡을 맞춰야 하는 앙상블의 특성상 청각장애인에게는 더욱 큰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예상을 완전히 뒤엎는, 빈틈없는 최고의 연주였다는 평가가 쏟아졌다. 이러한 완벽한 무대 뒤에는 학생이라는 본분에도 불구하고 주말과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연습에 매달린 단원들의 피나는 노력이 있었다. 또한, 2023년부터 ‘우리루키(Look&Hear) 프로젝트’를 통해 저소득층 청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을 지원해 온 우리금융미래재단의 든든한 후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재단은 지난 2년간 335명에게 수술 및 치료를 지원하고 앙상블 운영을 도우며 아이들의 꿈을 응원해왔다.사랑의달팽이 이행희 회장은 “20년 전 앙상블을 처음 창단할 때만 해도 음악을 연주하는 청각장애인을 상상하는 이는 많지 않았다”고 회고하며, “수천 명의 관객에게 음악으로 한계를 넘을 수 있음을 보여준 단원들이 자랑스럽다”는 소감을 밝혔다. 그는 앞으로도 앙상블 활동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에 대한 편견 없이 소통하고 화합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덧붙였다. 불가능에 가까워 보였던 도전을 현실로 만들어낸 청각장애 유소년들의 기적 같은 연주, 그 스무 번째 이야기는 우리 사회에 깊은 감동과 함께 편견 없는 세상을 향한 희망의 메시지를 던졌다. 연주회 전체 영상은 다음 달 사랑의달팽이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시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