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심판대 윤석열, LA 산불에 손 내밀다..진심일까, 노림수일까?
2025-01-13 11:00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된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과 관련해 깊은 애도와 위로의 메시지를 전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13일 윤 대통령은 SNS를 통해 "LA 대형 산불로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는 소식에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며 "불의의 피해를 입으신 분들과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미국은 대한민국이 가장 어려웠던 시절, 흔들림 없이 우리의 손을 잡아주었던 소중한 동맹"이라고 강조하며 "LA는 전 세계에서 우리 교민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며 미국과 LA 지역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드러냈다.
이어 "강한 돌풍으로 인해 진화에 어려움을 겪으며 피해가 계속해서 확산되고 있다고 하니 더욱 마음이 아프다"며 "미국 국민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하며, 하루속히 산불이 진화되고 피해가 복구되어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현지에 계신 우리 교민 여러분의 안전 확보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하며 "외교부와 LA 총영사관은 우리 교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는 비록 자신이 탄핵소추로 인해 직무가 정지된 상태이지만, 동맹국 미국 국민의 아픔을 외면하지 않고 진심으로 위로와 지지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필요한 경우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윤 대통령이 탄핵소추 이후 SNS에 글을 올린 것은 지난달 29일 제주항공 추락 사고에 대한 애도 메시지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탄핵 정국 속에서 국내 현안뿐 아니라 국제적인 재난 상황에도 관심을 기울이며 국제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를 두고 "탄핵 정국에서 국민의 동정 여론에 호소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려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중요임무종사 및 위증 등 혐의로 기소된 사건의 1심 결심공판이 오늘(26일) 열린다. 검..


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한국 관객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지휘자 가렛 키스트가 지휘봉을 잡고, 빈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제1악장인 바이올리니스트 안톤 소로코프가 특별 협연자로 나서 기대를 모은다. 국내외를 오가며 왕성한 활동을 펼치는 카메라타 솔의 예술감독 김응수 역시 직접 바이올린을 들고 무대에 올라 두 명의 비르투오소가 선보일 음악적 시너지에 관심이 집중된다.‘겹의 미학’은 카메라타 솔이 2025년부터 야심 차게 시작한 시리즈 프로젝트다. 과거의 역사와 예술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와 만나는 지점에서 음악의 본질과 마주하겠다는 깊이 있는 목표를 담고 있다. 첫 번째 공연이었던 ‘겹의 미학 I’에서는 바흐의 엄격한 질서, 베토벤의 불굴의 의지, 브람스의 깊은 낭만을 차례로 탐색하며 ‘음악은 어떻게 시대를 넘어 우리에게 이어지는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던져 호평을 받았다. 이들은 단순한 연주를 넘어, 음악 속에 겹겹이 쌓인 시간의 흔적과 인류의 정신을 탐구하는 음악적 고고학자와 같은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이번 두 번째 시리즈는 음악이 어떻게 서로 다른 시대의 정신과 개인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이 되는지에 주목한다. 프로그램은 모순으로 가득 찬 세상 속에서도 희망을 노래한 번스타인의 ‘캔디드’ 서곡으로 유쾌하게 문을 연다. 이어 인간관계와 조화에 대한 고대 철학자의 고뇌를 담은 플라톤의 ‘향연’을 번스타인이 음악으로 재해석한 세레나데가 연주된다. 후반부에서는 작곡가 브루흐의 가장 순수한 낭만성이 빛나는 바이올린 협주곡 1번과, 사랑하는 대상을 향한 애틋한 그리움을 녹여낸 스코틀랜드 환상곡을 통해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감정을 노래하며 깊은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이 특별한 무대를 준비한 ‘카메라타 솔’은 2019년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를 중심으로 창단된 이래, 음악의 가치를 끊임없이 확장하며 독자적인 길을 걸어온 앙상블이다. 팀의 이름인 ‘솔(SOL)’은 바이올린의 네 현 중 가장 낮은 소리를 내는 G선(솔)을 의미한다. 이는 언제나 처음의 마음으로, 가장 낮은 곳에서부터 진심을 다해 관객과 소통하겠다는 그들의 겸손하면서도 단단한 음악적 신념을 보여준다. 이번 공연 역시 그들의 이름에 담긴 뜻처럼, 화려한 기교를 넘어 음악의 가장 깊은 본질을 길어 올려 관객에게 진솔하게 건네는 무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