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심판대 윤석열, LA 산불에 손 내밀다..진심일까, 노림수일까?
2025-01-13 11:00
13일 윤 대통령은 SNS를 통해 "LA 대형 산불로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는 소식에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며 "불의의 피해를 입으신 분들과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미국은 대한민국이 가장 어려웠던 시절, 흔들림 없이 우리의 손을 잡아주었던 소중한 동맹"이라고 강조하며 "LA는 전 세계에서 우리 교민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며 미국과 LA 지역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드러냈다.
이어 "강한 돌풍으로 인해 진화에 어려움을 겪으며 피해가 계속해서 확산되고 있다고 하니 더욱 마음이 아프다"며 "미국 국민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하며, 하루속히 산불이 진화되고 피해가 복구되어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현지에 계신 우리 교민 여러분의 안전 확보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하며 "외교부와 LA 총영사관은 우리 교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는 비록 자신이 탄핵소추로 인해 직무가 정지된 상태이지만, 동맹국 미국 국민의 아픔을 외면하지 않고 진심으로 위로와 지지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필요한 경우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윤 대통령이 탄핵소추 이후 SNS에 글을 올린 것은 지난달 29일 제주항공 추락 사고에 대한 애도 메시지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탄핵 정국 속에서 국내 현안뿐 아니라 국제적인 재난 상황에도 관심을 기울이며 국제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를 두고 "탄핵 정국에서 국민의 동정 여론에 호소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려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이재명 대통령 부부가 지난 추석 연휴 기간 JTBC 인기 예능 프로그램 '냉장고를 부탁해'에 출연한 것에 대해 국민 다수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것으로..
진을 기록하며 심상치 않은 열기를 뿜어내고 있다. 특히 18일 전주시립국악단과 25일 서울시국악관현악단 공연은 티켓 오픈과 동시에 순식간에 동이 나버렸다. K팝 애니메이션의 인기로 한국적 리듬의 힘이 증명된 지금, 'K-사운드'의 원류로 평가받는 국악이 세련된 오케스트라 사운드를 입고 대중의 심장을 정조준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번 축제는 국악이 더 이상 고리타분한 옛것이 아닌, 가장 현대적이고 '힙한' 음악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 장면이 되고 있다.그 화려한 신호탄은 지난 15일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가 쏘아 올렸다. 김성진 지휘자가 이끈 개막 무대는 그야말로 파격과 신선함 그 자체였다. 국악 공연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클래식 기타와 하프가 전면에 나섰고, 여기에 우리 전통 악기인 가야금이 어우러지며 지금껏 들어본 적 없는 사운드를 빚어냈다. 기타리스트 김우재, 하피스트 황세희, 가야금 연주자 유숙경은 마치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세 사람이 음악으로 대화를 나누듯,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었다. 관객들은 숨을 죽인 채 이 낯설고도 아름다운 조화에 빠져들었다. '국악은 지루하다'는 편견이 완전히 깨지는 순간이었다.공연장을 나서는 관객들의 얼굴에는 놀라움과 흥분이 가득했다. 30대 관객 이모 씨는 "하프와 기타가 어우러진 예상치 못한 무대였다"며 "서양 악기와 국악기가 대화하는 듯한 순간이 정말 인상 깊었다"고 감탄했다. 국악을 처음 접했다는 10대 관객 정모 씨 역시 "전혀 낯설지 않고 오히려 너무 흥미로웠다. 완전히 새로운 음악 세계를 경험한 기분"이라며 벅찬 소감을 전했다. 이는 이번 축제가 노리는 지점이기도 하다. 황병기를 오마주한 '깊은 밤', 하프 협주곡 '달하노피곰' 등 실험적인 레퍼토리는 국악이 가진 즉흥성과 서정성을 극대화하며 K팝을 넘어 한국의 깊은 정서를 전달할 새로운 언어가 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개막 공연의 열기는 이제 시작일 뿐이다. 16일 KBS국악관현악단과 바이올리니스트의 만남을 시작으로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전주, 강원, 서울 등 전국의 실력파 국악관현악단 10개가 차례로 무대에 올라 저마다의 색깔을 뽐낼 예정이다. 세종문화회관 안호상 사장은 "이번 축제는 국악관현악이 나아갈 미래를 보여줄 것"이라고 자신했다. K팝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국악의 화려한 반란이 시작됐다. 이번 축제가 과연 국악관현악을 대중음악의 중심으로 끌어올리는 기폭제가 될 수 있을지, 모두의 이목이 세종문화회관으로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