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덫에서 구출된 여성.."경찰과 점주가 만든 기적

2025-01-13 12:21

대구에서 한 여성이 보이스피싱 범죄에 속아 100만원을 송금하려던 순간, 경찰과 편의점 점주의 기지와 침착한 대처로 범죄를 예방한 사실이 전해졌다. 이 사건은 경찰청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되어 큰 관심을 모았다.

 

지난해 11월 8일 오후 3시 40분경, 대구 서구 원대동에 위치한 한 편의점에 한 여성이 급히 들어왔다. 이 여성은 휴대전화로 통화를 하며 급하게 편의점 점주에게 메모지와 펜을 요청했다. 점주가 메모지와 펜을 건네자, 여성은 긴박하게 무언가를 휘갈겨 썼다. 메모지에는 "딸이 납치됐다"는 내용과 함께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니 경찰에 신고해 달라"는 메시지가 적혀 있었다.

 

여성은 메모를 남기고 급히 편의점 밖으로 나가려 했지만, 통화 중 들려오는 대학생 딸과 비슷한 여성의 울음소리에 당황하며, 결국 보이스피싱범이 요구한 100만원을 송금하려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 여성은 범죄자의 요구를 따르며 송금하기 직전까지 갔다.

 

이때 편의점 점주는 침착하게 상황을 판단하고, 바로 112에 신고 전화를 걸어 경찰에 상황을 알렸다. 점주는 여성의 동선과 이동 경로를 파악하며 경찰의 도착을 기다렸다. 다행히도, 인근을 순찰 중이던 대구 서부경찰서 소속 순경들이 편의점으로 들어왔다. 점주는 경찰들에게 급히 상황을 전했고, 경찰관들은 곧바로 이 사건을 파악하기 시작했다.

 

경찰들은 점주가 전달한 쪽지의 내용을 확인하고, 피해 여성을 찾기 위해 현장을 수색했다. 피해자는 편의점에서 약 50m 떨어진 벤치에서 100만원을 송금하기 직전이었다. 경찰은 피해자에게 딸이 무사하다는 사실을 즉시 확인시켜주었고, 송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막았다. 경찰의 빠른 대응 덕분에 피해 여성은 큰 금전적 피해를 입지 않았다.

 

 

경찰은 사건 직후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를 간발의 차이로 막은 것을 매우 중요한 예방 사례로 삼았다. 피해 여성은 범죄자가 제시한 요구를 따르려 했지만, 편의점 점주의 기지와 경찰의 신속한 대응 덕분에 송금을 멈출 수 있었다. 여성은 경찰이 도착한 후 안도의 눈물을 흘리며 상황이 종료되었고, 범죄에 의한 정신적 충격도 조금씩 치유되기 시작했다.

 

이 사건이 담긴 영상은 경찰청 유튜브에 올라온 후, 네티즌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끌었다. "어머니가 얼마나 노심초사하셨을까. 경찰관들이 나타나서 천만다행" "불철주야 국민을 위해 일하시는 경찰관들 정말 감사하다" "보이스피싱임을 알았어도 그 순간만큼은 너무 놀라셨을 것"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시민들은 경찰과 민간인의 협력이 중요한 순간임을 다시 한번 깨달으며, 이번 사건이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강조했다.

 

대구에서의 이번 보이스피싱 사건은 시민의 침착한 대응과 경찰의 빠른 판단이 결합되어 큰 피해를 예방한 좋은 사례로 남았다. 경찰은 보이스피싱 범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교육과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시민들이 보이스피싱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다. 경찰은 앞으로도 더욱 많은 시민들이 보이스피싱을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며, 경찰과 민간인이 협력하는 사회적 안전망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임시원 기자 Im_Siwon2@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지휘자 국적 때문에…'전쟁' 터진 클래식계, 대체 무슨 일이?

연이 예정일(18일)을 코앞에 두고 돌연 취소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표면적인 이유는 단 하나, 지휘봉을 잡기로 한 라하브 샤니(36)가 이스라엘 태생이라는 점이었다. 차세대 거장으로 주목받으며 2026년부터 뮌헨 필하모닉의 상임지휘자로 부임할 예정인 샤니는 현재 로테르담 필하모닉 상임지휘자이자 이스라엘 필하모닉 음악감독을 겸하고 있는, 클래식계의 가장 뜨거운 인물 중 한 명이다.이번 공연을 주최한 플란더스 페스티벌 측은 성명을 통해 취소의 명분을 밝혔다. 그들은 샤니가 여러 차례 평화를 지지하는 발언을 해왔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그가 이스라엘 필하모닉의 음악감독이라는 직책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페스티벌 측은 샤니의 태도가 이스라엘 정권이 자행한 '집단 학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한 예술가의 국적과 그가 맡은 직책이 그의 예술 활동 전체를 옭아매는 족쇄가 된 순간이었다.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곧바로 거센 역풍에 직면했다. 뮌헨 시와 뮌헨 필하모닉은 즉각 공동 성명을 내고 "출신이나 종교를 이유로 예술가를 배제하는 행위는 유럽의 핵심 가치와 민주주의의 근본에 대한 공격"이라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샤니가 상임지휘자로 있는 로테르담 필하모닉 역시 "음악은 분열이 아닌 연결을 위한 것"이라는 원칙을 천명하며, "우리는 국적과 배경으로 예술가를 평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단호한 입장을 발표하며 샤니에 대한 굳건한 지지를 보냈다.논란은 기관 간의 대립을 넘어 음악계 전체의 연대 움직임으로 번져나갔다. 피아니스트 마르타 아르헤리치, 안드라스 쉬프,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 바이올리니스트 르노 카퓌송 등 이름만으로도 클래식 팬들을 설레게 하는 거장들이 대거 샤니 지지 의사를 밝혔고, 수백 명의 체임버 뮤지션과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온라인 청원 플랫폼을 통해 페스티벌 측의 공연 취소 결정을 철회하라는 서명 운동에 동참했다. 한 예술가에 대한 정치적 잣대가 오히려 전 세계 음악인들의 분노와 연대를 촉발시킨 셈이다. 이번 사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와 소프라노 안나 네트렙코가 '푸틴의 친구'라는 이유로 서방 무대에서 퇴출당했던 씁쓸한 선례를 떠올리게 한다. 전쟁의 포화가 멈추지 않는 한, 예술과 정치의 경계에서 벌어지는 이 위험한 줄타기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