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신화' 구자철, 그라운드 떠나 제주 유소년 키운다

2025-01-14 12:06

 2012년 런던 올림픽 동메달 신화의 주역이자 한국 축구 대표 미드필더로 활약했던 구자철이 정든 그라운드를 떠난다. 하지만 그가 사랑하는 축구와의 인연은 계속된다. 

 

14일 구자철은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은퇴 기자회견을 열고 현역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는 소회를 밝히며, 앞으로 친정팀 제주 유나이티드의 유소년 육성 전문가로서 제2의 축구 인생을 시작할 것을 알렸다.

 

2007년 고향팀 제주에서 프로에 첫 발을 내딛은 구자철은 데뷔 초기부터 뛰어난 활약을 선보이며 한국 축구의 미래를 짊어질 재목으로 평가받았다. 2011년 독일 분데스리가 볼프스부르크로 이적하며 유럽 무대에 진출한 그는 마인츠, 아우크스부르크 등에서 핵심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전성기를 보냈다. 이후 카타르 리그에서 뛰던 그는 2022년, 11년 만에 친정팀 제주로 돌아와 팬들의 뜨거운 환영을 받았다.

 

구자철은 태극마크를 달고서도 빛나는 업적을 남겼다. 2011년 아시안컵에서 5골을 터뜨리며 득점왕에 오르며 한국 축구의 저력을 아시아 전역에 알렸다. 특히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일본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쐐기골을 터뜨리며 한국 축구 역사상 첫 올림픽 메달 획득에 기여하며 '런던 신화'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했다. A매치 통산 76경기에 출전해 19골을 기록하며 한국 축구의 중원을 든든히 지켰다.

 


하지만 선수 생활 막바지에는 잦은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구자철은 지난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결심했고, 제주 유나이티드는 구자철의 업적을 기리며 유소년 육성 전문가 '유스 어드바이저'직을 제안했다. 구자철은 여러 제안에도 불구하고 제주의 미래를 위해 유소년 육성에 힘쓰기로 결정했다.

 

구자철은 앞으로 풍부한 유럽 경험을 바탕으로 제주의 유소년 시스템을 선진화하는 데 힘쓸 예정이다. 유럽 축구 유소년 시스템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훈련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유럽 클럽과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유소년 선수들의 해외 연수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유소년 선수들에게 직접 축구 기술뿐 아니라 프로 선수로서 갖춰야 할 마음가짐과 태도를 가르치는 멘토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구자철은 은퇴 기자회견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게 되어 시원섭섭하지만, 제주 유소년 육성에 기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유럽에서 보고 배운 선진 시스템을 제주에 접목시켜 한국 축구 발전에 이바지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한 "제주 유소년 선수들이 '제2의 런던 신화'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돕겠다"는 각오를 다짐했다.

 

문지안 기자 JianMoon@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대공황 시대의 절망과 사랑, 왜 지금 우리를 울리나…'보니 앤 클라이드'의 귀환

잊었다. 이처럼 암울하면서도 낭만적인 시대를 배경으로 한 두 편의 뮤지컬이 올겨울 나란히 한국 관객을 찾는다. 하나는 갱단에 쫓기는 남자들의 유쾌한 생존기를 그린 코미디 '슈가'이고, 다른 하나는 시대를 뒤흔든 실존 범죄자 커플의 비극적 사랑을 다룬 '보니 앤 클라이드'다. 전혀 다른 색깔의 두 작품은 같은 시대를 무대 삼아 관객들에게 웃음과 눈물을 동시에 선사할 예정이다.먼저, 국내 초연으로 막을 올리는 '슈가'는 1959년 개봉한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고전 '뜨거운 것이 좋아'를 원작으로 한 유쾌한 여장 코미디 뮤지컬이다. 갱단의 살인 현장을 목격한 두 재즈 뮤지션 '조'와 '제리'가 여자로 변장해 여성 재즈 밴드에 숨어들면서 벌어지는 좌충우돌을 그린다. 정체를 숨긴 채 밴드의 매력적인 가수 '슈가'에게 사랑을 느끼는 조, 그리고 여자인 줄 알고 끈질기게 구애하는 백만장자 때문에 곤경에 처하는 제리의 이야기가 시종일관 웃음을 유발한다. 재즈와 스윙 선율이 극을 채우는 가운데, 갱단의 총격전이 벌어지는 시카고의 어두운 차고에서 낙원 같은 마이애미 해변으로 전환되는 역동적인 무대 연출이 관람 포인트다. 엄기준, 이홍기, 남우현 등이 조 역을, 김법래, 김형묵 등이 제리 역을, 그리고 솔라, 양서윤 등이 슈가 역을 맡아 기대를 모은다.반면, '보니 앤 클라이드'는 대공황 시대의 불안과 절망이라는 어두운 정서를 정면으로 다룬다. 영화 같은 삶을 꿈꾸던 카페 종업원 보니와 교도소에서 막 출소한 클라이드가 만나 숙명적인 사랑에 빠지고, 은행과 상점을 털며 미국 전역을 떠들썩하게 만든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이들의 범죄 행각은 부패한 권력과 자본에 대한 저항으로 비치며 대중의 열광적인 지지를 받았고, 보니의 베레모와 클라이드의 중절모는 시대를 상징하는 스타일이 되었다. 결국 비극으로 끝난 이들의 파란만장한 삶은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작곡가' 프랭크 와일드혼의 손에서 재즈, 록, 블루스를 넘나드는 강렬하고 감미로운 음악으로 재탄생했다. 11년 만에 돌아오는 이번 무대에는 조형균, 윤현민, 옥주현, 이봄소리 등 실력파 배우들이 합류해 더욱 깊어진 감성을 선보인다.'보니 앤 클라이드'는 단순히 과거의 이야기를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오늘을 살아가는 청춘들의 현실과도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제작진은 끝없는 경쟁과 불안한 현실 속에서도 사랑과 자유, 성취를 꿈꾸는 젊은 세대의 감정이 작품 전반에 깊이 녹아 있다고 설명한다. 혹독했던 시대에 모든 것을 걸고 사랑과 자유를 좇았던 보니와 클라이드의 모습이 현대를 살아가는 관객들에게 깊은 공감과 울림을 주는 것이다. 같은 시대를 배경으로 하지만, 한 편은 유쾌한 웃음으로 현실의 고단함을 잊게 하고 다른 한 편은 치명적인 로맨스로 삶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두 작품의 등장이 올 연말 공연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