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신화' 구자철, 그라운드 떠나 제주 유소년 키운다
2025-01-14 12:06
14일 구자철은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은퇴 기자회견을 열고 현역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는 소회를 밝히며, 앞으로 친정팀 제주 유나이티드의 유소년 육성 전문가로서 제2의 축구 인생을 시작할 것을 알렸다.
2007년 고향팀 제주에서 프로에 첫 발을 내딛은 구자철은 데뷔 초기부터 뛰어난 활약을 선보이며 한국 축구의 미래를 짊어질 재목으로 평가받았다. 2011년 독일 분데스리가 볼프스부르크로 이적하며 유럽 무대에 진출한 그는 마인츠, 아우크스부르크 등에서 핵심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전성기를 보냈다. 이후 카타르 리그에서 뛰던 그는 2022년, 11년 만에 친정팀 제주로 돌아와 팬들의 뜨거운 환영을 받았다.
구자철은 태극마크를 달고서도 빛나는 업적을 남겼다. 2011년 아시안컵에서 5골을 터뜨리며 득점왕에 오르며 한국 축구의 저력을 아시아 전역에 알렸다. 특히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일본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쐐기골을 터뜨리며 한국 축구 역사상 첫 올림픽 메달 획득에 기여하며 '런던 신화'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했다. A매치 통산 76경기에 출전해 19골을 기록하며 한국 축구의 중원을 든든히 지켰다.
구자철은 앞으로 풍부한 유럽 경험을 바탕으로 제주의 유소년 시스템을 선진화하는 데 힘쓸 예정이다. 유럽 축구 유소년 시스템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훈련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유럽 클럽과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유소년 선수들의 해외 연수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유소년 선수들에게 직접 축구 기술뿐 아니라 프로 선수로서 갖춰야 할 마음가짐과 태도를 가르치는 멘토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구자철은 은퇴 기자회견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게 되어 시원섭섭하지만, 제주 유소년 육성에 기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유럽에서 보고 배운 선진 시스템을 제주에 접목시켜 한국 축구 발전에 이바지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한 "제주 유소년 선수들이 '제2의 런던 신화'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돕겠다"는 각오를 다짐했다.
문지안 기자 JianMoon@trendnewsreaders.com
가 되는 '국악'은 연주자 중심의 한계에 갇혀 새로운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위기감 속에서, 그 돌파구로 '작곡가'를 전면에 내세우는 파격적인 선언이 나온 것이다. 이 담대한 변화의 중심에는 올해로 3회째를 맞는 '2025 대한민국국악관현악축제'가 있다. 이 축제는 단순히 기존의 명곡을 재연하는 무대를 넘어, K-컬처가 지속 가능한 인프라를 갖추기 위해선 새로운 곡을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창작의 샘'이 필수적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연주 기량만으로는 더 이상 새로운 관객을 사로잡을 수 없으며, 국악의 미래는 새로운 레퍼토리를 양산할 작곡가들의 손에 달려있다는 것이다.이러한 비전을 증명하듯, 다음 달 15일부터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열리는 이번 축제에는 고(故) 황병기 명인과 같은 거장부터 서양음악 전공자, 아시아 주변국 작곡가, 그리고 20~30대의 젊은 피에 이르기까지 무려 40여 명의 작곡가가 대거 참여하여 국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다채로운 작품들을 쏟아낸다. 전국 10개의 국공립 관현악단이 참여하는 이번 축제는 그야말로 국악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의 장이 될 전망이다. 첫 무대를 여는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가 황병기 명인의 가야금 곡을 하프와 기타 협주곡으로 재탄생시키는가 하면, KBS국악관현악단은 독일계 일본인 바이올리니스트 타카시 로렌스 바슈카우와 협연하며 서구의 이성과 동양의 감성이 어우러지는 새로운 사운드를 탐색한다. 이는 국악관현악이 더 이상 한국만의 음악이 아닌, 세계와 호흡하는 현대음악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이번 축제에서는 국악계의 '음악 DNA'가 대를 이어 흐르는 흥미로운 장면도 포착된다. KBS국악관현악단이 선보이는 이상규 작곡가의 작품에 이어, 그의 딸인 이경은 작곡가가 전주시립국악단과 함께 거문고 협주곡 '유현의 춤'을 선보이며 부녀 작곡가가 나란히 한 축제에 이름을 올린다. 또한, 창단 2년차의 평택시립국악관현악단은 '아시아의 소리'를 주제로 일본,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각국의 민속 악기와의 협연을 통해 국악의 외연을 확장하는 시도를 이어간다. 창극 '리어'의 소리꾼 이광복, 밴드 '서도'의 보컬 서도 등 장르를 넘나드는 아티스트들과의 협업 역시 국악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을 증명하는 무대가 될 것이다. 박범훈 축제추진위원장이 "전국의 프로 국악관현악단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창작곡 중심의 축제를 여는 것은 역사상 유일무이하다"고 강조했듯이, 이번 축제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K-컬처의 미래를 위한 가장 중요한 창작 기반을 다지는 혁명적인 움직임으로 기록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