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기고도 짠한 노인의 인생 담은 시집 큰 인기..1만 권 돌파
2025-02-14 12:08
2025년 1월에 출간된 ‘그 때 뽑은 흰머리 지금 아쉬워’(포레스트북스)는 노년의 희로애락을 재치 있게 풀어낸 시집으로, 출간 한 달 만에 1만 권을 판매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지난해 1월에 출간된 ‘사랑인 줄 알았는데 부정맥’에 이은 두 번째 시집으로, 두 책 모두 시집으로서는 이례적인 판매 기록을 세운 작품들이다.이번 책은 일본 사단법인 전국유료실버타운협회가 매년 주최하는 ‘실버 센류’ 공모전에서 수상한 최신작들을 모은 시집으로, 제목 역시 공모전 수상작에서 뽑았다. 센류는 일본 전통 시 형식으로, 5-7-5의 17개 음절로 구성되며 풍자와 익살을 담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에서는 2001년부터 ‘실버 센류’ 공모전이 매년 열리며, 2023년에는 1만 1000여 개의 작품이 출품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책을 모은 시집은 일본에서 이미 100만 권 이상 판매되며 독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이 책의 국내 출간을 주도한 서선행 포레스트북스 편집이사는 "첫 책이 예기치 않게 큰 사랑을 받으면서 후속작을 준비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사랑인 줄 알았는데 부정맥’이 예상보다 큰 반응을 얻었고, 이에 힘입어 ‘그 때 뽑은 흰머리 지금 아쉬워’도 빠른 시일 내에 1만 권을 돌파하며 인기 시리즈로 자리 잡았다. 번역은 일본 문학 전문가인 이지수 번역가가 맡아, 원작의 유머와 감성을 잘 살리며 독자들에게 다가갔다.

책의 내용은 주로 노년의 일상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사건과 감정을 유머러스하고 풍자적으로 풀어낸다. 최신작이기에 팬데믹, 인공지능(AI), 셀프 계산대 등 최근 사회의 변화가 반영된 작품도 눈에 띈다. 예를 들어 ‘코로나처럼/아내도 몇 번이나/변이했구나’, ‘AI에게/ 저세상 가는 길/물어본다’, ‘셀프 계산대 앞/얼어붙은 사람들/죄다 할배들’ 등의 시는 현재 시대의 풍경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노년의 삶을 다룬 시집이지만, 그 안에는 웃음과 슬픔이 공존하며 독자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치매 예방차/구입한 그 책/벌써 세 권째’, ‘자기소개 때/돌아가며 말한다/이름 고향 취미 지병’, ‘신경 쓰는 것/옛날에는 인맥/지금은 맥박’ 등은 노년의 현실을 웃음으로 승화시킨 예시다. 또 ‘손주에게 외친다/“마음껏 쓸어 담아!”/다이소에서’, ‘보이스 피싱/당할 정도의 돈이/내 통장엔 없다’ 등의 시는 경제적 변화와 세대 간의 차이를 익살스럽게 그려낸다.
책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주제는 ‘나이 듦’이다. ‘아 늙었네/하지만 괜찮아/다 늙었어’처럼 나이가 들면서 맞닥뜨리는 변화와 그것을 받아들이는 유머러스한 자세를 보여준다. 또한, 노년의 환상에 대해 일갈하는 시도 있다. ‘나이 들면/둥글어진다는 말/어쩌면 거짓말’은 나이 듦에 대한 사회적 환상을 뒤집으며, 현실을 담담하게 바라보는 시각을 전한다.
시집은 그 자체로 한바탕 웃음과 감동을 선사하는 동시에, 노년의 삶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센류는 웃음과 슬픔이 닿아 있다”고 서 이사는 설명하며, “그 감성에 공감하는 분들이 많다”고 덧붙였다. 이에 장석주 시인은 추천사에서 "한바탕 웃고 나니 차가운 심장은 더워지고 공허한 마음은 감동으로 충만해진다"고 했으며, 오은 시인은 “늙음을 한탄할 때조차 긍정적인 해학을 잃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이 책은 일본에서 시작된 ‘실버 센류’ 공모전의 수상작들을 모은 시집으로, 노년의 삶을 더욱 풍성하게 풀어낸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 뽑은 흰머리 지금 아쉬워’는 노년의 일상과 그들의 생각을 유머와 감동으로 그려내어,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으며, 후속작이 예정돼 있다. 서선행 편집이사는 이 시리즈의 성공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집을 준비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로 독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18년간 '베어스'의 상징과도 같았던 거포 김재환이 정든 유니폼을 벗고 시장에 나왔다. 두산 베어스는 26일, 김재환을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하며 사실..


IV'는 고전주의의 틀 안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던 청년 베토벤의 음악적 야심과 내면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무대로 꾸며진다. 임연실은 이번 독주회에서 베토벤의 초기 작품 중에서도 각기 다른 개성과 의미를 지닌 세 개의 소나타를 선정, 작품에 담긴 서정성과 실험 정신, 그리고 극적인 드라마를 그녀만의 섬세하고도 힘 있는 해석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관객들은 이번 공연을 통해 익숙한 명곡의 새로운 면모는 물론, 베토벤이 피아노라는 악기를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거대한 음악적 비전을 생생하게 마주하게 될 것이다.이번 공연의 포문은 베토벤의 초기 소나타 중에서도 정제된 서정성이 돋보이는 소나타 9번 E장조로 연다. 이 곡은 내면의 균형감과 함께 피아노의 음향적 가능성을 탐구하던 베토벤의 실험적 면모가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어지는 무대는 베토벤 스스로 '큰 소나타(Grande Sonata)'라고 명명했을 만큼 거대한 규모와 구성을 자랑하는 소나타 4번 E-flat장조가 장식한다. 약 28분에 달하는 연주 시간, 폭넓은 음역대와 다채로운 화성은 당시 통상적인 소나타의 규격을 뛰어넘는 것으로, 피아노 소나타를 교향곡에 버금가는 대규모 예술 형식으로 격상시키려 했던 베토벤의 의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고전적 형식미 속에 낭만주의적 감성의 싹을 틔운 초기 대작으로 평가받는 이 곡을 통해 관객들은 청년 베토벤의 뜨거운 열정과 야심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연주회의 대미는 대중에게 '비창(Pathétique)'이라는 이름으로 너무나도 유명한 피아노 소나타 8번 c단조가 장식한다. 이 곡은 베토벤이 직접 '비장하고 감정을 강하게 일으키는 대 소나타'라는 의미의 표제를 붙인 최초의 피아노 소나타로, 그의 초기 작품 세계에서 가장 극적인 서사와 강렬한 에너지를 분출하는 걸작이다. 폭풍우처럼 몰아치는 격정과 비극적인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이 작품은 고전주의 시대의 종언과 낭만주의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과도 같은 곡으로 평가받는다. 임연실은 이 곡을 통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감정의 소용돌이와 그것을 아우르는 견고한 구조적 완성도를 동시에 선보이며 베토벤 음악의 정수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처럼 다채로운 베토벤의 초기 세계를 그려낼 피아니스트 임연실은 이화여대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브레멘 국립예술대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최고성적으로 마치며 탄탄한 실력을 인정받은 정통파 연주자다. 현재 명지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객원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는 그는, 이번 연주회에서 학구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한 깊이 있는 해석과 탁월한 연주력을 통해 베토벤의 음악 세계를 더욱 풍부하고 입체적으로 전달할 것이다. 그의 손끝에서 재탄생할 베토벤의 초기 걸작들이 쌀쌀한 겨울밤, 관객들의 마음에 깊은 울림과 뜨거운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