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렛보다 싸다!… '오프프라이스 스토어' 2030 꽉 잡은 이유
2025-02-18 11:08
지난 16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의 한 백화점 오프프라이스 스토어. 매장 곳곳에 붙은 '30~80% OFF' 가격표를 바라보는 손님들의 눈빛에는 놀라움과 설렘이 가득했다. 엄마 손 잡고 온 10대 소녀부터 친구와 나들이 나온 20대, 알뜰 쇼핑에 나선 중년 부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저마다의 '득템'을 위해 분주히 매장을 누볐다.
오프프라이스 스토어는 유명 브랜드의 이월 상품을 백화점이 직접 매입해 아울렛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는 매장이다. 불황 속에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는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알뜰 쇼핑족들의 새로운 성지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가성비를 중시하는 MZ세대 사이에서는 '보물찾기' 명소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실제로 이날 매장에서 만난 20대 직장인 A씨는 "인터넷 최저가보다 싸게 폴로 니트를 득템했다"며 환하게 웃었다. 그는 "정가 생각하면 믿기 어려운 가격"이라며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에 이만한 쇼핑 천국이 없다"고 엄지를 치켜세웠다.
이처럼 오프프라이스 스토어가 인기를 끄는 가장 큰 이유는 단연 '가격 경쟁력'이다. 백화점이 직접 상품을 매입하고, 유통 단계를 최소화하면서 아울렛보다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선보일 수 있는 것이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백화점의 오프프라이스 스토어 '팩토리스토어'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 현대백화점의 '오프웍스' 역시 같은 기간 30%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이랜드리테일의 '팩토리아울렛'도 지난해 영업이익이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에 백화점들은 오프프라이스 스토어를 더욱 확대하고, MZ세대를 사로잡기 위한 전략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2030세대가 선호하는 해외 컨템포러리 브랜드를 강화하고, 트렌디한 상품을 발 빠르게 선보이며 젊은 고객층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고물가 시대에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오프프라이스 스토어가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상품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MZ세대를 사로잡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황이준 기자 yijun_i@trendnewsreaders.com
코스피 지수가 사상 최초로 3,400선 고지를 밟으며 국내 증시가 뜨거운 축포를 쏘아 올렸지만, 시장의 속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
외출’(변영주 감독)을 비롯해 웨이브 ‘S라인’(안주영 감독), 넷플릭스 ‘당신이 죽였다’(이정림 감독) 등 주요 스릴러 작품들이 모두 여성 감독의 손에서 탄생했다. 이는 과거 로맨스나 가족 드라마에 주로 참여했던 여성 감독들이 대형 프로젝트와 스릴러 장르로 활동 영역을 넓히는 뚜렷한 변화다.특히 여성 감독들은 스릴러 장르에서 사건 자체보다는 인물의 내면 심리를 섬세하게 다루는 강점을 보여주고 있다. 충남대 윤석진 교수는 "통상 여성의 장르로 여겨지지 않던 스릴러에서 여성 감독의 강점이 드러나고 있다"고 평했다. 대중문화 평론가 김헌식은 "기존 스릴러가 사건 중심이었다면, 여성 감독의 스릴러는 여성 서사나 내면 심리 묘사에 충실해 좋은 결과를 내며 기회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사마귀: 살인자의 외출’은 연쇄 살인마 엄마와 형사 아들의 심리적 공조를, ‘북극성’은 한반도 정세 스릴러에 로맨스를, ‘S라인’은 히키코모리 주인공의 심리를 깊이 있게 다룬다.이러한 변화에는 OTT 플랫폼의 영향도 크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넷플릭스 등 OTT 여성 가입자가 늘면서 과거의 잔인하고 거친 스릴러보다 심리 묘사가 풍부한 작품들이 인기를 얻게 된 것이다. 윤석진 교수는 스릴러가 감성과 정서가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장르임을 강조하며, 여성 연출자들의 성공 사례가 누적되며 업계 인식이 변화했다고 설명했다.대중문화 평론가 하재근은 "사람 간의 관계가 섬세하고 깊이 있게 표현되는 한국형 스릴러 탄생에 여성 감독들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며, 국내 대중문화 산업에서 여성들의 지위 향상과 함께 다양한 시각과 감성의 작품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만, 김헌식 평론가는 기존 스릴러 문법과의 상호 보완을 통해 특정 성별의 서사에 치우치지 않는 보편적 스토리를 추구해야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여성 감독들의 활약은 국내 스릴러 장르의 지평을 넓히고 K-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