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젤렌스키 사퇴 요구.."군사지원 끊고 최후통첩 날려"

2025-03-04 14:0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결렬 이후 우크라이나에 대한 압박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퇴진 요구에 이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을 전면 중단하며, 미국의 계획대로 러시아와의 종전 협상을 가속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과의 관계 회복을 위해 한층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며 광물협정 서명 준비를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충돌한 후 우크라이나에 대한 모든 군사 지원을 일시 중단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우크라이나도 평화라는 목표에 집중해야 한다”며 “미국의 지원이 종전 해결에 기여하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지원을 중단한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 통신은 익명의 미 국방부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우크라이나 지도부가 평화에 대한 진정한 의지를 보인다고 판단할 때까지 군사 지원이 계속 중단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운송 중이거나 폴란드에서 대기 중인 무기, 항공기 및 선박을 통해 전달될 예정이었던 군사 장비도 지원이 보류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젤렌스키는 전쟁 종식이 멀다고 말하는데, 이는 최악의 발언이다. 미국은 이를 더 이상 참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사람은 미국의 지원이 있는 한 평화를 원하지 않는다”고 덧붙이며, 미국이 중재하는 종전 협정에 젤렌스키 대통령이 부정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은 미국이 군사 지원을 중단한 배경을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퇴진 요구까지 나오고 있다.

 

마이크 왈츠 백악관 안보보좌관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러시아와 협상을 통해 전쟁을 끝낼 수 있는 지도자가 필요하다”며 젤렌스키 대통령의 사임을 원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 역시 NBC 인터뷰에서 “뭔가 변화가 필요하다”며 “젤렌스키가 정신을 차리고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거나, 아니면 다른 지도자가 국가를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강한 압박을 가하며 종전 협상 참여를 강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의 지원을 강조하며 유화적인 태도로 전환했다. 그는 소셜미디어 엑스(X)를 통해 “우리는 미국과 유럽 파트너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평화로 가는 길에서 미국의 지원이 매우 절실하다”고 밝혔다. 또한 “진정한 평화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보장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며, 미국과의 협력 필요성을 다시 강조했다. 그는 런던에서 열린 긴급 유럽 정상회의 기자회견에서도 “우리는 광물협정에 서명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미국도 준비됐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군사 지원을 중단하면서도 미국이 중요하게 여기는 ‘광물협정’을 다시 추진할 뜻을 밝혔다. 그는 백악관에서 대만 TSMC의 대미 투자 계획 발표 후 질의응답에서 ‘광물협정 협상이 끝난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며 이를 부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거래”라며 “바이든 전 대통령이 3500억 달러를 전쟁을 벌이는 나라에 제공했지만, 우리는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 돈이 있었다면 미국 해군을 더 빠르게 재건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바이든 행정부의 지원 정책을 비판했다. 또한 “우리는 반도체와 희토류를 비롯해 여러 전략 자원이 필요하다”며 광물협정 체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 밤 9시(한국시간 5일 오전 11시) 예정된 미 의회 연설에서 광물협정과 관련한 새로운 발표를 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협상 재개를 위해 젤렌스키 대통령과 만날 필요가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젤렌스키가 더 미국에 감사해야 한다”면서도 “미국은 언제나 우크라이나를 지원해왔다”고 답했다. 이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과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종전 협상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압박은 군사 지원 중단과 젤렌스키 대통령 퇴진 압박, 그리고 광물협정 재협상이라는 세 가지 전략으로 진행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조속히 종결하고 러시아와의 협상을 추진하려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젤렌스키 대통령의 대응이 향후 우크라이나의 운명을 결정할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다.

 

팽민찬 기자 fang-min0615@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지휘자 국적 때문에…'전쟁' 터진 클래식계, 대체 무슨 일이?

연이 예정일(18일)을 코앞에 두고 돌연 취소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표면적인 이유는 단 하나, 지휘봉을 잡기로 한 라하브 샤니(36)가 이스라엘 태생이라는 점이었다. 차세대 거장으로 주목받으며 2026년부터 뮌헨 필하모닉의 상임지휘자로 부임할 예정인 샤니는 현재 로테르담 필하모닉 상임지휘자이자 이스라엘 필하모닉 음악감독을 겸하고 있는, 클래식계의 가장 뜨거운 인물 중 한 명이다.이번 공연을 주최한 플란더스 페스티벌 측은 성명을 통해 취소의 명분을 밝혔다. 그들은 샤니가 여러 차례 평화를 지지하는 발언을 해왔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그가 이스라엘 필하모닉의 음악감독이라는 직책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페스티벌 측은 샤니의 태도가 이스라엘 정권이 자행한 '집단 학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한 예술가의 국적과 그가 맡은 직책이 그의 예술 활동 전체를 옭아매는 족쇄가 된 순간이었다.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곧바로 거센 역풍에 직면했다. 뮌헨 시와 뮌헨 필하모닉은 즉각 공동 성명을 내고 "출신이나 종교를 이유로 예술가를 배제하는 행위는 유럽의 핵심 가치와 민주주의의 근본에 대한 공격"이라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샤니가 상임지휘자로 있는 로테르담 필하모닉 역시 "음악은 분열이 아닌 연결을 위한 것"이라는 원칙을 천명하며, "우리는 국적과 배경으로 예술가를 평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단호한 입장을 발표하며 샤니에 대한 굳건한 지지를 보냈다.논란은 기관 간의 대립을 넘어 음악계 전체의 연대 움직임으로 번져나갔다. 피아니스트 마르타 아르헤리치, 안드라스 쉬프,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 바이올리니스트 르노 카퓌송 등 이름만으로도 클래식 팬들을 설레게 하는 거장들이 대거 샤니 지지 의사를 밝혔고, 수백 명의 체임버 뮤지션과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온라인 청원 플랫폼을 통해 페스티벌 측의 공연 취소 결정을 철회하라는 서명 운동에 동참했다. 한 예술가에 대한 정치적 잣대가 오히려 전 세계 음악인들의 분노와 연대를 촉발시킨 셈이다. 이번 사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와 소프라노 안나 네트렙코가 '푸틴의 친구'라는 이유로 서방 무대에서 퇴출당했던 씁쓸한 선례를 떠올리게 한다. 전쟁의 포화가 멈추지 않는 한, 예술과 정치의 경계에서 벌어지는 이 위험한 줄타기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