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자유의 방패' 훈련에 뿔났다! 김여정 "가만 안 둬", 한미 "핵 포기해"
2025-03-05 11:46
북한 김여정이 한미 연합훈련과 미 전략자산 전개에 반발하며 "전략적 수준의 위협적 행동"을 검토하겠다고 위협했다. 이에 국방부는 "북한의 핵은 절대 용인될 수 없다"며 도발 시 압도적 응징을 경고했다.4일 김여정은 노동신문 담화를 통해 미국 해군 항공모함 칼빈슨함(CVN)의 부산 입항,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 한미일 연합 공중훈련, 한미 '쌍매훈련' 등을 비난하며 "미국의 반공화국 대결 책동"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주권 국가의 안전 우려를 무시하고 침해하는 미국과 추종 세력들의 망동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핵무력 강화 노선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특히 "미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가 악습화되면 우리도 적수국의 안전권에 대한 위협적 행동을 증대시키는 선택안을 심중하게 검토할 계획"이라고 위협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북한의 핵 개발 정당화와 도발 명분 쌓기 궤변"이라며 "북한이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생존의 길은 핵에 대한 집착과 망상을 버리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또한 "우리 군은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기반으로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철저히 대비하고 있으며, 도발 시 압도적으로 응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일, 미국 해군 제1항모강습단 소속 칼빈슨함, 순양함 프린스턴, 이지스구축함 스터렛이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기 행정부 출범 후 첫 미 해군 항공모함의 한국 입항이다. 칼빈슨함은 1982년 취역한 니미츠급(10만t급) 핵 항공모함으로, 통상 미 해군 항공모함 전단은 7500여 명의 병력, 80~90대의 항공기, 이지스 방공함, 구축함, 군수지원 보급함, 공격형 원자력 추진 잠수함 등으로 구성된다.
이번 김여정의 담화는 한미 연합 '자유의 방패(FS)' 연습을 앞두고 긴장을 고조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한미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연합훈련을 강화하고 있으며, 북한은 이를 '침략 전쟁 연습'으로 규정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5월 1일 '근로자의 날'이 61년 만에 '노동절'이라는 본래 명칭을 되찾으며 역사적인 전환점을 맞이한다. 정부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노동..


. 머리 구멍으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된 이 연적은 고려청자 특유의 은은한 비색과 어우러져 고려 문화의 품격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으며, 199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12세기에 제작된 이 작품이 국보가 되기까지의 과정은 일제강점기라는 격동의 시기를 거치며 순탄치 않았다. 당시 수많은 우리 문화유산이 약탈과 파괴의 위협에 놓여 있었으며, 이러한 위기 속에서 예술과 문화를 사랑한 이른바 '컬렉터'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우리 보물을 지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문화보국'의 신념으로 고미술품을 수집한 간송 전형필(1906~1962) 선생은 대표적인 인물로 손꼽히지만, 그는 사실 일제강점기 초반 경성을 중심으로 근대 미술 시장을 주도했던 선대 수장가들의 컬렉션을 집중적으로 매입하여 오늘날 '간송 컬렉션'을 완성한 '2세대 수장가'에 가깝다.'청자모자원숭이형연적' 또한 영국 출신 변호사 존 갯즈비가 일본에 머물며 수집했던 '고려청자 컬렉션'의 일부였다. 1937년 세계 정세가 불안정해지자 갯즈비는 고국으로 귀환하기 위해 소장품 처분에 나섰고, 이때 간송 전형필 선생이 직접 일본 도쿄로 건너가 '갯즈비 컬렉션' 20점을 매입하여 국내로 들여왔다. 이 컬렉션 중 4점은 국보로, 3점은 보물로 지정되는 등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간송 선생의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개인적인 수집 활동을 넘어,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기에 우리 민족의 문화적 자긍심을 지키고 후대에 귀중한 유산을 전승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의 탁월한 안목과 굳건한 신념이 없었다면, 오늘날 우리가 국보로 마주하는 여러 걸작들을 영원히 잃었을지도 모른다.현재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에서는 간송 선생이 수집한 보물들과 그에 얽힌 비화들을 함께 조명하는 기획전 '보화비장: 간송 컬렉션, 보화각에 담긴 근대의 안목'이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는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근대 수장가 7인의 컬렉션을 한자리에 선보이는 특별한 기회다. 존 갯즈비를 비롯하여 민영익, 오세창, 안종원, 이병직 등 간송 선생 이전에 활약했던 '1세대 수장가'들의 수장품 총 26건, 40점이 공개되어, 당시 우리 문화유산을 지키기 위한 다양한 인물들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전시는 단순히 유물을 전시하는 것을 넘어, 각 수장가들의 안목과 시대적 배경을 함께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관람객들에게 깊이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이번 전시에서 놓쳐서는 안 될 백미로는 존 갯즈비 컬렉션에 포함되었던 국보 도자들이 꼽힌다. 국보인 '청자모자원숭이형연적'을 비롯해 '청자기린유개향로', '청자오리형연적', '청자상감연지원앙문정병' 등이 한자리에 나란히 전시되어 고려청자의 절정기를 대표하는 걸작들의 아름다운 자태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추사 김정희 선생이 세상을 떠난 해인 1856년에 쓴 만년의 걸작 '대팽고회(大烹高會)'도 주목할 만하다. 중국 한나라 때 서체인 예서로 쓴 두 폭의 대련은 '최고의 반찬은 두부·오이·생강·나물이고, 가장 좋은 모임은 부부와 아들딸, 손자가 함께하는 자리'라는 따뜻한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병직 선생의 수장품을 간송 선생이 1937년 경매를 통해 확보한 작품이다. 이번 전시는 오는 11월 30일까지 간송미술관에서 계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