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반 위의 구도자' 백건우, 모차르트 3부작 마침표... 초등생 그림으로 '순수' 담다
2025-03-05 16:36
이번 앨범에는 백건우가 피아니스트로서 처음 마주했던 모차르트 작품인 '론도 A단조 (K.511)'를 비롯해, 모차르트 피아노 작품 중 가장 드라마틱하면서도 심오한 감정을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 '환상곡 C단조 (K.475)', 경쾌하고 활기찬 '6개의 독일 무곡 (K.509)', 신비롭고 몽환적인 분위기의 '글라스 하모니카를 위한 아다지오 C장조 (K.356/617a)', 장엄하고 비극적인 '작은 장례식 행진곡 C단조 (K.453a)' 등 모차르트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들이 엄선되어 담겼다.
백건우는 지난해 5월과 11월, 각각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6번',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2번, 13번'을 발매하며 모차르트 음악에 대한 깊은 애정과 존경심을 표현해왔다. 이번 앨범은 그가 오랜 시간 동안 심혈을 기울여 준비해 온 모차르트 피아노 작품 녹음 3부작의 마지막 결과물로, 그의 음악 인생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모차르트의 음악이 겉으로는 단순하고 명료해 보이지만, 그 안에는 깊은 슬픔과 고뇌, 그리고 순수한 기쁨과 희망이 공존하고 있다는 백건우의 해석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어린아이들의 순수한 시선과 창의적인 표현 방식을 통해 모차르트 음악의 본질을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했다.
공모전을 통해 최종 선정된 작품은 놀랍게도 초등학교 3학년 이진형 군의 그림이었다. 이진형 군은 모차르트의 음악을 듣고 떠오르는 이미지들을 자유롭고 다채로운 색감으로 표현해냈으며, 전문가들은 그의 작품이 모차르트 음악의 순수함과 천진난만함을 잘 담아냈다고 평가했다. 더욱 특별한 점은, 세 장의 앨범 표지 모두 이진형 군의 작품으로 채워졌다는 것이다. 이는 3부작 시리즈의 통일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백건우가 추구하는 '순수함'이라는 주제를 일관되게 강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백건우는 이번 앨범 발매를 기념하여 이달부터 10월까지 전국 각지에서 모차르트 리사이틀 순회공연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에서는 새 앨범에 수록된 모차르트 작품들을 중심으로, 백건우만의 깊이 있는 해석과 섬세하고 정교한 연주를 선보일 예정이다. 오랜 시간 모차르트 음악에 천착해 온 거장의 연주를 직접 감상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가을 파리가 세계적인 미술 축제 '아트 바젤 파리 2025'로 물들었다. 지난 10월 22일부터 26일까지 파리 그랑 팔레에서 열린 이 행사는 4회째를 맞아 41..
리가 참여하며 글로벌 미술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파리의 유서 깊은 예술 생태계와 아방가르드 유산을 조명한 이번 페어는, 세계 4위 규모(글로벌 미술 시장 매출의 7%, 유럽연합(EU) 미술 시장 매출의 절반 이상)를 자랑하는 프랑스 미술 시장의 저력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페어는 메인 섹터인 '갤러리즈(Galeries)', 신흥 갤러리와 작가를 위한 '이머전스(Emergence)', 그리고 기존 관점을 벗어난 작업을 선보이는 '프레미스(Premise)' 등 세 부문으로 구성되어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제공했다.특히 한국 갤러리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국제갤러리는 첫회부터 4회 연속 참가한 유일한 한국 갤러리로, '갤러리즈' 섹터에서 김윤신, 양혜규, 최재은, 함경아 등 한국 여성 작가와 로버트 메이플소프 등 해외 거장의 작품을 선보였다. 티나 킴 갤러리도 한국 1세대 섬유미술 작가 이신자의 초기작부터 대표작까지 12점을 전시하며 그의 깊이 있는 예술 세계를 재조명했다.VIP 프리뷰 첫날부터 작품 판매 열기가 뜨거웠다. 국제갤러리는 이우환의 'Response'(약 12억 원대), 하종현의 'Conjunction 24-52'(약 3억 원대) 등 한국 거장들의 작품을 판매했다. 타데우스 로팍 갤러리에서는 알베르토 부리의 'Sacco e oro'(약 70억 원), 게오르그 바젤리츠의 'Cowboy'(약 58억 원) 등 고가 작품이 새 주인을 찾았다. 나마드 컨템포러리는 파블로 피카소 작품 9점을 성공적으로 거래했으며, 티나 킴 갤러리 또한 이신자 작가의 작품 4점을 판매하며 글로벌 섬유 예술 시장에서 한국 작가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타데우스 로팍 대표는 "아트 바젤은 전 세계 컬렉터들이 방문하는 가장 중요한 페어"라며 역사적 작품과 스튜디오 신작의 균형 있는 소개를 강조했다. 티나 킴 대표는 "파리에서 이신자 작가를 처음 선보여 기쁘다"며 글로벌 섬유 예술 흐름 속 작가의 위치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밝혔다. 파리의 가을을 수놓은 이번 아트 바젤은 세계 미술 시장의 활력과 한국 미술의 약진을 동시에 보여주는 중요한 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