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 황제는 다르다" 르브론, NBA 최초 5만 득점 찍었다!

2025-03-06 11:09

 '킹' 르브론 제임스(40·LA 레이커스)가 미국프로농구(NBA) 역사에 길이 남을 불멸의 이정표를 세웠다. 누구도 넘보지 못했던 5만 득점 고지를 최초로 정복하며 농구 황제의 위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제임스는 5일(한국시간) LA 크립토닷컴 아레나에서 펼쳐진 뉴올리언스 펠리컨스와의 2024-2025 NBA 정규리그 홈 경기에서 34득점 8리바운드 6어시스트를 기록, 레이커스의 136-115 완승을 견인했다.

 

이날 득점을 더해 제임스는 정규리그(41,871점)와 플레이오프(8,162점)를 합산, NBA 역사상 처음으로 통산 5만 득점을 넘어선 선수(50,033점)가 됐다. 2003년 NBA 데뷔 이래 22시즌 만에 이룬,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대기록이다.

 

지난해 12월, 불혹의 나이에 접어들었음에도 제임스는 여전히 코트를 지배하고 있다. 40세 이후 28경기에서 평균 26.4점, 8.2리바운드, 8.1어시스트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쏟아내며 리그 최정상급 스타임을 증명하고 있다. 최근에는 서부 콘퍼런스 2월 '이달의 선수'에 선정, 종전 칼 말론(37세)을 넘어 역대 최고령 수상자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제임스는 "최고의 리그에서, 훌륭한 동료들과 함께 이뤄낸 5만 득점은 정말 특별하고 축복받은 일"이라며 감격스러운 소감을 전했다.

 

'킹'의 활약에 힘입은 레이커스는 파죽의 7연승을 달리며 서부 콘퍼런스 2위(39승 21패)로 뛰어올랐다. 루카 돈치치 역시 3점슛 6개 포함 30점 15어시스트 8리바운드의 트리플-더블급 활약으로 제임스와 함께 승리를 합작했다.

 

한편,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는 시카고 불스를 139-117로 꺾고 11연승을 질주, NBA 전체 승률 1위(0.836, 51승 10패)를 질주했다. 도너번 미첼(28점)과 재럿 앨런(25점 17리바운드)이 승리의 주역이 됐다.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는 스테픈 커리(28점)의 활약을 앞세워 뉴욕 닉스를 114-102로 제압하고 2연승을 달렸다. 서부 콘퍼런스 6위(34승 28패)를 유지한 골든스테이트는 플레이오프 진출을 향한 희망을 이어갔다.

 

문지안 기자 JianMoon@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피카소’ 보러 KTX 안 타도 된다…우리 동네로 찾아온 명화, 대체 무슨 일?

역전시 활성화 사업’이 바로 그것으로, 서울 유수의 미술관과 갤러리에서 기획되어 시장의 인정을 받은 우수 전시 콘텐츠를 전국 각지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경남 거제도의 복합문화공간 ‘아그네스파크’에서는 서울 토탈미술관이 기획한 ‘더 쇼 머스트 고 온’ 전시가 열리고, 한강 너머 북한 땅이 보이는 김포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에서는 멸종위기 동식물을 주제로 한 ‘자연의 영토 함께’ 전시가 관람객을 맞이하는 등, 이제는 먼 길을 나서지 않아도 지역의 일상 공간에서 수준 높은 예술을 만나는 것이 가능해졌다.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수도권에 극심하게 편중된 미술계의 불균형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3년 미술시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미술관 278곳 중 서울의 비중은 16.5%(46곳)에 불과하지만, 연간 미술관별 평균 관람객 수는 서울이 12만 2,133명으로 서울 외 지방(4만 3,715명)의 세 배에 육박했다. 화랑은 전국 895개 중 절반이 훌쩍 넘는 513개(57.3%)가, 경매회사는 12곳 중 10곳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2023년에 열린 아트페어 82개 중 35개(42.7%)가 서울에서 개최되는 등 인프라와 콘텐츠의 쏠림 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다. 이는 곧 지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가 원천적으로 제약받고 있음을 의미한다.정부와 유관 기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전시 활성화 사업’의 규모를 대폭 확대하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24년 30억 원의 예산으로 19개 전시를 지원하며 시작된 이 사업은 올해 46억 원(56곳)을 거쳐 내년에는 76억 원으로 예산이 증액될 예정으로, 불과 2년 만에 예산 규모가 2.5배 이상 성장했다. 사업은 크게 세 갈래로 나뉜다. 주요 미술관의 소장품을 순회 전시하는 ‘미술관 콘텐츠 활용’, 인구감소 지역을 직접 찾아가는 ‘지역 특화전시’, 그리고 우수 콘텐츠와 지역 공간을 연결하는 ‘매칭 지원’을 통해 전국 곳곳의 미술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실제로 ‘피카소와 동시대 화가’ 전시는 충남 서천에서, 사비나미술관의 ‘조던매터’ 사진전은 부산에서 열리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지역전시 활성화 사업’은 단순히 서울의 전시를 지방으로 옮겨 놓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예술가에게는 새로운 활동 무대를, 지역 전시 공간에는 양질의 콘텐츠 확보 기회를, 그리고 지역민에게는 수준 높은 문화 향유의 장을 제공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전북 군산의 한 전시에 참여한 작가는 “지역 전시 공간과 협력하고 다른 작가들과 교류할 기회가 생겨 뜻깊었다”고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이처럼 서울의 우수한 전시 콘텐츠가 지역으로 확산되는 선순환 구조는 지역의 사립미술관, 화랑, 기획사들이 자체적인 기획 및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고 한 단계 더 성장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