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行 전세기, 승객 없이 이륙..필리핀에 갇힌 170명 ‘패닉’
2025-03-06 13:24
5일 제주도관광공사 등에 따르면 당초 3월 3일 현지시간 오후 4시 30분에 필리핀 마닐라에서 출발해 제주로 돌아올 예정이었던 로얄에어 전세기가 예정보다 4시간 앞선 낮 12시 30분에 승객 없이 출발했다. 이로 인해 지난달 28일부터 3박 4일간 여행을 마친 후 해당 전세기를 타고 제주로 귀국할 예정이었던 여행객 170여 명이 현지에서 발이 묶였다. 이들 여행객 대부분은 제주도민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행사 측은 대체 항공편을 마련해 여행객들의 귀국을 도왔다. 이들은 애초 계획됐던 귀국일보다 이틀이 지난 5일 현지시간 낮 12시 30분 마닐라에서 출발한 대체편을 타고 제주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승객들은 항공사로부터 일정 변경과 관련해 ‘마닐라 출발’이 아닌 ‘제주 도착’ 시간으로 착각했다는 해명을 들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여행객들은 사전 고지 없이 항공 일정이 변경되었으며, 이로 인해 경제적 손실과 일정 차질을 겪었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번 전세기 운항은 제주도와 제주도관광공사가 지난해 12월 마닐라에서 진행한 제주 관광 세일즈 활동의 결과물로, 제주 직항 국제노선 전세기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형태로 추진되었다. 하지만 이번 사고로 인해 제주-필리핀 전세기 운항의 신뢰도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갑작스러운 일정 변경으로 인해 피해를 본 여행객들의 사연도 다양했다.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다녀온 김모(54·제주시 애월읍) 씨는 “오전에 마지막 관광을 마치고 공항으로 이동하던 중 갑자기 항공편이 취소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황당했다”면서 “공사 장비를 임대하는 일을 하고 있는데 일정 변경으로 인해 예정된 일을 하지 못해 수백만 원의 손해를 봤다”고 말했다.
가족 단위 여행객들도 피해를 봤다. 특히 많은 학생들이 입학식과 개학식에 참석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했다.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있던 한 어린이는 “생애 첫 입학식을 놓쳐서 너무 속상하다”고 말했다. 한 50대 여성은 “남편과 아버지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이틀 동안 더 머물러야 해서 걱정했다”면서도 “함께 여행한 사람들이 서로 북돋아 주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려 했다”고 전했다. 또한, 공항에서 가족과 재회한 한 어린이는 어머니를 보자마자 달려가 안기며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이번 사태의 원인은 항공사와 현지 여행사, 제주 지역 여행사 간의 소통 오류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제주지역 여행사는 모객을 담당하고, 현지 여행사가 여행 일정과 항공사의 운항 시간을 조율하는 역할을 맡았는데, 이 과정에서 일정 착오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행사 측은 항공사로부터 받은 일정표에 따라 움직였다고 주장하며 인쇄물을 증거로 제시했다. 반면 항공사 측은 전세기 일정 변경이 없었으며, 여행사 측이 시간을 잘못 인지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따라 책임 소재를 놓고 양측 간의 진실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제주도관광공사 관계자는 “추가 체류로 인해 발생한 비용은 여행사 측에서 부담했다”며 “현재 승객을 태우지 않고 항공기가 운항한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제주도와 필리핀 간 전세기 운항의 운영 방식과 관리 체계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임시원 기자 Im_Siwon2@trendnewsreaders.com
으로 작성했으며, 동물들의 고통과 그들을 구하기 위한 노력을 그린다. 저자는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제목이 멸종 위기 동물들을 의미하는 것임을 설명하며, 특히 부모를 잃고 홀로 남은 동물들이 보호받고 있는 '동물 고아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은 인간 활동이 자연 환경을 얼마나 파괴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동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깊이 탐구한다.저자는 자연 생태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해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동물 고아원을 방문하고, 그곳에서 보호받고 있는 동물들을 취재했다. 이 책의 중요한 목적은 지구의 환경 파괴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현실을 대중에게 알리고, 우리가 이 문제에 대해 얼마나 진지하게 생각해야 하는지 일깨우는 것이다. 저자는 ‘기상 이변, 서식지 축소, 밀렵과 몰살’ 등으로 인해 수많은 동물들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목격했다고 밝히며, 멸종 위기 동물들의 보호를 위한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한다.책의 서두에서 저자는 남아공의 코뿔소 고아원을 방문하면서, ‘고아가 된 동물’들의 상황에 대해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저자는 그곳에서 보호받고 있는 새끼 코뿔소 잭과의 교감을 통해 동물들의 어려움과 그들의 보호소가 점점 더 중요한 존재가 되어가고 있음을 깨달았다. 이 경험을 계기로 저자는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프로그램을 제작했고, 그 내용을 책으로 엮어냈다.‘동물 고아원’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보호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동물 고아원에서는 밀렵이나 서식지 파괴로 부모를 잃은 동물들이 보호를 받고 치료를 받으며, 자연으로 돌아갈 기회를 얻는다. 저자는 동물 고아원에서 보호받는 동물들을 소개하고, 그들이 어떻게 치료를 받고 자연으로 돌아가고 있는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책에서는 남아공의 코뿔소 고아원 외에도 코스타리카의 나무늘보 보호소, 러시아의 불곰 보호소, 스리랑카의 코끼리 보호소, 대만의 흑곰 보호소 등 다양한 국가에서 운영되는 동물 고아원의 사례를 다룬다. 이 책은 단순히 동물들의 이야기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진지하게 성찰하게 한다. 저자는 자연 환경 파괴가 인간의 탐욕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경제적 이익을 위해 환경을 훼손하는 개발 행위가 지구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강조한다. 또한, 이러한 환경 변화가 동물들뿐만 아니라 우리 인간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경고한다. 특히 저자는 ‘인류세’라는 개념을 통해, 현재 지구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책의 주요 메시지는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구하는 일이 단지 동물들을 위한 일이 아니라, 우리의 미래를 위한 일이라는 것이다. 동물 고아원에서 보호받고 있는 동물들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고아가 되었으며, 그들의 보호와 치료는 단순히 동물들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우리가 환경 문제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지구의 환경 파괴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지금, 이 책은 우리가 자연과 동물을 보호하는 일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저자는 책을 마무리하면서,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제목을 통해 단순히 동물들의 문제를 넘어, 우리가 직면한 환경 위기와 그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책은 단지 동물 보호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중요한 성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