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사벽' 안세영, 또 27분 컷! 오를레앙 마스터스 8강 '가볍게' 안착
2025-03-07 10:58
'배드민턴 여제' 안세영(23·삼성생명)이 거침없는 연승 행진을 이어가며 2025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월드 투어 슈퍼 300 오를레앙 마스터스 8강에 가볍게 안착했다. 올 들어 12경기 연속 단 한 게임도 내주지 않는 '퍼펙트' 경기력을 과시하며 세계랭킹 1위의 위엄을 뽐냈다.안세영은 지난 6일(한국시간) 프랑스 오를레앙에서 열린 대회 여자 단식 16강전에서 폰피차 쯔이끼웡(태국·39위)을 단 27분 만에 2-0(21-8, 21-4)으로 완파했다. 마치 연습 경기를 하듯 압도적인 기량 차이를 선보이며 상대를 코트 구석구석으로 몰아붙였다.
1세트 초반부터 안세영은 특유의 정교한 스트로크와 넓은 수비 범위를 바탕으로 쯔이끼웡을 압도했다. 빠른 템포의 공격과 허를 찌르는 드롭샷으로 득점을 쌓아 올리며 21-8로 가볍게 기선을 제압했다.
2세트에서도 안세영의 독주는 계속됐다. 쯔이끼웡은 안세영의 변화무쌍한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며 좀처럼 점수를 얻지 못했다. 안세영은 21-4라는 압도적인 스코어로 경기를 마무리하며 8강 진출을 확정 지었다.
이번 승리로 안세영은 올 시즌 놀라운 기록을 이어가게 됐다. 지난 1월 말레이시아 오픈(5경기)과 인도 오픈(5경기)에서 연달아 우승을 차지하며 쾌조의 스타트를 끊은 안세영은 이번 대회 32강전에서 운나티 후다(인도·55위)를 2-0으로 꺾은 것을 포함, 올해 치른 12경기에서 23게임을 따내는 동안 단 1게임도 내주지 않았다. (말레이시아 오픈 8강전은 1-0 기권승)

3연속 우승을 향해 순항 중인 안세영의 8강전 상대는 세계랭킹 7위 미야자키 토모카(일본)로 결정됐다. 만만치 않은 상대지만, 현재 안세영의 기세라면 충분히 승리를 기대해 볼 만하다.
안세영은 오를레앙 마스터스를 마친 뒤, 다음 주인 11일부터 영국 버밍엄에서 열리는 최고 권위 대회인 전영오픈(슈퍼 1000)에 출전한다. 전영오픈은 배드민턴 선수라면 누구나 우승을 꿈꾸는 '꿈의 무대'다.
안세영은 2년 전인 2023년 이 대회 여자 단식에서 한국 선수로는 1996년 방수현 이후 27년 만에 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뤘다. 올해 대회에서도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히는 안세영이 전영오픈 2연패라는 또 하나의 역사를 쓸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배드민턴 여제' 안세영의 거침없는 질주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그녀의 다음 경기를 기대해 보자.
문지안 기자 JianMoon@trendnewsreaders.com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중요임무종사 및 위증 등 혐의로 기소된 사건의 1심 결심공판이 오늘(26일) 열린다. 검..


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한국 관객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지휘자 가렛 키스트가 지휘봉을 잡고, 빈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제1악장인 바이올리니스트 안톤 소로코프가 특별 협연자로 나서 기대를 모은다. 국내외를 오가며 왕성한 활동을 펼치는 카메라타 솔의 예술감독 김응수 역시 직접 바이올린을 들고 무대에 올라 두 명의 비르투오소가 선보일 음악적 시너지에 관심이 집중된다.‘겹의 미학’은 카메라타 솔이 2025년부터 야심 차게 시작한 시리즈 프로젝트다. 과거의 역사와 예술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와 만나는 지점에서 음악의 본질과 마주하겠다는 깊이 있는 목표를 담고 있다. 첫 번째 공연이었던 ‘겹의 미학 I’에서는 바흐의 엄격한 질서, 베토벤의 불굴의 의지, 브람스의 깊은 낭만을 차례로 탐색하며 ‘음악은 어떻게 시대를 넘어 우리에게 이어지는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던져 호평을 받았다. 이들은 단순한 연주를 넘어, 음악 속에 겹겹이 쌓인 시간의 흔적과 인류의 정신을 탐구하는 음악적 고고학자와 같은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이번 두 번째 시리즈는 음악이 어떻게 서로 다른 시대의 정신과 개인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이 되는지에 주목한다. 프로그램은 모순으로 가득 찬 세상 속에서도 희망을 노래한 번스타인의 ‘캔디드’ 서곡으로 유쾌하게 문을 연다. 이어 인간관계와 조화에 대한 고대 철학자의 고뇌를 담은 플라톤의 ‘향연’을 번스타인이 음악으로 재해석한 세레나데가 연주된다. 후반부에서는 작곡가 브루흐의 가장 순수한 낭만성이 빛나는 바이올린 협주곡 1번과, 사랑하는 대상을 향한 애틋한 그리움을 녹여낸 스코틀랜드 환상곡을 통해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감정을 노래하며 깊은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이 특별한 무대를 준비한 ‘카메라타 솔’은 2019년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를 중심으로 창단된 이래, 음악의 가치를 끊임없이 확장하며 독자적인 길을 걸어온 앙상블이다. 팀의 이름인 ‘솔(SOL)’은 바이올린의 네 현 중 가장 낮은 소리를 내는 G선(솔)을 의미한다. 이는 언제나 처음의 마음으로, 가장 낮은 곳에서부터 진심을 다해 관객과 소통하겠다는 그들의 겸손하면서도 단단한 음악적 신념을 보여준다. 이번 공연 역시 그들의 이름에 담긴 뜻처럼, 화려한 기교를 넘어 음악의 가장 깊은 본질을 길어 올려 관객에게 진솔하게 건네는 무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