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플’로 재탄생한 남산골한옥마을 & 운현궁, 힙한 프로그램 대공개

2025-03-07 14:45

서울시가 올해 남산골한옥마을과 운현궁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선보인다고 7일 밝혔다. 이 두 전통문화명소는 MZ세대와 외국인 관광객을 겨냥한 새로운 프로그램들을 대폭 확장하여, 전통과 현대를 잇는 매력적인 콘텐츠로 시민과 관광객들의 발길을 끌 계획이다.

 

운현궁은 올해 '운현궁에서 쉬라궁' 프로젝트를 통해 시민들이 운현궁에서 자유롭게 쉬고, 누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점심시간을 활용한 미니 콘서트도 개최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바쁜 일상 속에서 지친 시민들이 잠시나마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현궁을 재조명하는 취지다. 또한 '운현유람기'와 '운현궁 인물열전'이라는 이야기(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새롭게 도입해, 운현궁의 역사와 그곳에 얽힌 인물들을 생동감 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남산골한옥마을은 예술에 관심이 많은 MZ세대를 겨냥하여 전통 가옥을 활용한 '남산골 하우스 뮤지엄'과 전통공예관에서 '남산골 HOME(HanOkMaEul)' 전시를 새롭게 기획했다. 이 전시에서는 전통 생활문화와 전통공예 예술인들의 작품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통해 전통문화의 새로운 면모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3년 연속 전석 매진을 기록한 '남산골 한옥콘서트'는 올해도 계속된다. 판소리와 민요 등 전통 음악 공연을 중심으로, 신진 아티스트와 중견 아티스트들이 함께하는 세대 간 융합 공연으로 더욱 풍성한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공연은 6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첫째·셋째 금요일 저녁 7시 30분에 진행되며, 총 8회 정기공연과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 공연 2회도 예정돼 있다.

 

 

 

운현궁에서는 '별 헤는 밤 운현궁', '구름재 다실', '운현궁 한옥콘서트' 등의 프로그램이 계속해서 진행된다. 고즈넉한 운현궁을 배경으로 천체 관측, 다도 체험, 국악 공연 등을 즐기며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운현궁에서는 조선 후기 도성과 왕실을 수비하던 훈련도감 군사들이 익혔던 '무예도보통지'에 등장하는 무예와 활쏘기 체험도 4~6월, 9~11월 동안 진행된다. 이는 전통 무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시민들에게 역사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두 문화명소는 전통 세시풍속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설, 한가위, 동지 등 주요 절기에는 전통 세시 행사뿐만 아니라 전통 혼례 체험과 전통 예절 교실도 운영되어,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한국의 전통 문화를 깊이 있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남산골한옥마을은 하절기인 4월부터 10월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되며, 동절기인 11월부터 3월까지는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문을 연다. 운현궁은 하절기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동절기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된다. 두 곳 모두 월요일은 휴관한다.

 

서울시 문화유산활용과 경자인 과장은 "앞으로도 전통 문화를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전통문화가 단순히 과거의 것이 아닌 오늘날에도 살아 숨 쉬는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소리 없는 세상’에서 울려 퍼진 기적…세상에서 가장 특별했던 ‘촛불하나’ 협연 무대

미래재단의 후원 아래 스무 번째 정기연주회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허무는 감동의 선율을 선사했다. 지난 22일 여의도 KBS홀에서 열린 이번 연주회는 ‘히스토리(History)’라는 주제에 걸맞게 앙상블의 지난 20년 역사를 대표하는 다채로운 곡들로 채워졌다. 관객들은 청각장애가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만큼 완벽한 하모니를 만들어내는 단원들의 모습에 찬사를 아끼지 않았으며, 이들의 연주는 장애가 결코 꿈을 가로막는 장벽이 될 수 없음을 증명하는 감동적인 순간이었다.이번 무대에서 35명의 청각장애 유소년 단원들은 아스토르 피아졸라의 ‘리베르탱고’, 드보르자크의 ‘신세계 교향곡 9번’과 같은 고난도의 클래식 명곡을 완벽하게 소화하며 음악적 재능을 뽐냈다. 보청기와 인공달팽이관을 통해 소리를 듣고, 수많은 재활 치료를 거쳐 세상과 소통하는 이들이 만들어내는 깊고 풍부한 클라리넷 소리는 그 자체로 하나의 울림이었다. 여기에 사랑의달팽이 홍보대사인 뮤지컬 배우 배다해와 가수 김태우가 게스트로 참여해 무대를 더욱 빛냈다. 특히 김태우는 앙상블 단원들과 함께 자신의 히트곡 ‘사랑비’와 ‘촛불하나’를 협연하며, 어려움을 겪는 모든 이들에게 희망과 응원의 메시지를 전했다. 방송인 안현모의 사회를 포함한 이들의 참여는 모두 재능 기부로 이루어져 그 의미를 더했다.관객들은 클래식부터 대중가요까지 폭넓은 장르를 아우르는 단원들의 연주 실력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다른 연주자와 호흡을 맞춰야 하는 앙상블의 특성상 청각장애인에게는 더욱 큰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예상을 완전히 뒤엎는, 빈틈없는 최고의 연주였다는 평가가 쏟아졌다. 이러한 완벽한 무대 뒤에는 학생이라는 본분에도 불구하고 주말과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연습에 매달린 단원들의 피나는 노력이 있었다. 또한, 2023년부터 ‘우리루키(Look&Hear) 프로젝트’를 통해 저소득층 청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을 지원해 온 우리금융미래재단의 든든한 후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재단은 지난 2년간 335명에게 수술 및 치료를 지원하고 앙상블 운영을 도우며 아이들의 꿈을 응원해왔다.사랑의달팽이 이행희 회장은 “20년 전 앙상블을 처음 창단할 때만 해도 음악을 연주하는 청각장애인을 상상하는 이는 많지 않았다”고 회고하며, “수천 명의 관객에게 음악으로 한계를 넘을 수 있음을 보여준 단원들이 자랑스럽다”는 소감을 밝혔다. 그는 앞으로도 앙상블 활동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에 대한 편견 없이 소통하고 화합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덧붙였다. 불가능에 가까워 보였던 도전을 현실로 만들어낸 청각장애 유소년들의 기적 같은 연주, 그 스무 번째 이야기는 우리 사회에 깊은 감동과 함께 편견 없는 세상을 향한 희망의 메시지를 던졌다. 연주회 전체 영상은 다음 달 사랑의달팽이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시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