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백반 7만원, 가격보다 식당주인 반응에 더 놀라
2025-03-10 14:53
영상에 따르면, 해당 유튜버는 지인들과 함께 경북 울릉군을 여행하면서 한 식당을 방문해 백반 정식 6인분을 주문했다. 이들은 메뉴에 대해 물었고, 식당 주인은 "메뉴는 없고 그냥 밑반찬과 김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이후 나온 밑반찬은 어묵, 김치, 메추리알, 멸치볶음, 미역무침, 나물, 버섯볶음, 오징어 내장 등으로, 백반의 가격은 1인당 1만2000원, 총 7만2000원에 달했다.
하지만 유튜버는 밑반찬이 부실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반찬이 이게 끝이냐"고 항의했다. 이에 식당 주인은 "여기 울릉도다"며 "우리가 반찬 제일 많이 나오는 곳이다. 다른 데 가면 5개밖에 안 준다"고 대답했다. 유튜버는 황당한 대답에 헛웃음을 지으며 "반찬도 3명씩 나눠 먹으라고 조금씩 나왔다"고 언급했다. 식사는 끝났고, 유튜버는 계산을 하며 "울릉도 올 때마다 당연하다는 태도가 너무 싫다. '섬이니까 비싸다', '울릉도는 다르다', '울릉도는 자연의 물을 먹어 더 맛있다'는 이런 태도가 너무 싫다"고 비판했다. 또한, "울릉도 오면 항 근처에서는 먹지 마라. 어제 민박집 할머니가 소개해 준 다른 음식점은 친절하게 잘해주더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 영상은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급속히 퍼졌고, 수많은 누리꾼들이 식당 측의 태도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저게 울릉도 오지 말라는 거지", "음식값과 서비스가 저 모양이면 누가 또 찾아가고 싶을까?", "기가 막히네", "저런 사람이 있으면 서서히 망한다"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또 "손님을 봉으로 본다", "울릉도 언젠가 한 번 가보려 했는데 다른 곳 알아봐야겠다", "차라리 외국으로 가는 이유가 있다"는 등의 의견도 있었다.
울릉도는 대부분의 공산품과 식재료를 육지에서 공수해야 하기 때문에 물류비가 높고, 이로 인해 다른 지역보다 물가가 높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식당에서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바가지 요금’을 부과하는 경우가 많아 ‘바가지 섬’이라는 오명도 따라왔다. 이에 울릉군은 물가 안정을 위해 지난해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했다. 특히 관광 성수기에는 가격 표시제를 점검하고, 물가 안정 계도 활동을 하며 ‘착한 가격’ 업소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이번 사건은 울릉도의 일부 식당들이 여전히 부적절한 서비스와 과도한 가격 책정을 하는 사례를 여실히 드러내며 큰 논란을 일으켰다.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소중한 정보 감사하다", "관광 오지 말라고 홍보 제대로 한다", "기가 막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해당 영상은 10일 오전 8시 기준으로 조회수 48만 회를 넘기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울릉도는 '바가지 요금'이라는 낙인을 벗기기 위해 물가 안정에 더욱 힘쓸 계획이다. 지난해 '지방물가 안정관리 평가'에서 우수 지자체로 선정되었으나,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울릉도의 관광 산업이 더욱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임시원 기자 Im_Siwon2@trendnewsreaders.com
으로 작성했으며, 동물들의 고통과 그들을 구하기 위한 노력을 그린다. 저자는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제목이 멸종 위기 동물들을 의미하는 것임을 설명하며, 특히 부모를 잃고 홀로 남은 동물들이 보호받고 있는 '동물 고아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은 인간 활동이 자연 환경을 얼마나 파괴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동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깊이 탐구한다.저자는 자연 생태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해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동물 고아원을 방문하고, 그곳에서 보호받고 있는 동물들을 취재했다. 이 책의 중요한 목적은 지구의 환경 파괴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현실을 대중에게 알리고, 우리가 이 문제에 대해 얼마나 진지하게 생각해야 하는지 일깨우는 것이다. 저자는 ‘기상 이변, 서식지 축소, 밀렵과 몰살’ 등으로 인해 수많은 동물들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목격했다고 밝히며, 멸종 위기 동물들의 보호를 위한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한다.책의 서두에서 저자는 남아공의 코뿔소 고아원을 방문하면서, ‘고아가 된 동물’들의 상황에 대해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저자는 그곳에서 보호받고 있는 새끼 코뿔소 잭과의 교감을 통해 동물들의 어려움과 그들의 보호소가 점점 더 중요한 존재가 되어가고 있음을 깨달았다. 이 경험을 계기로 저자는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프로그램을 제작했고, 그 내용을 책으로 엮어냈다.‘동물 고아원’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보호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동물 고아원에서는 밀렵이나 서식지 파괴로 부모를 잃은 동물들이 보호를 받고 치료를 받으며, 자연으로 돌아갈 기회를 얻는다. 저자는 동물 고아원에서 보호받는 동물들을 소개하고, 그들이 어떻게 치료를 받고 자연으로 돌아가고 있는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책에서는 남아공의 코뿔소 고아원 외에도 코스타리카의 나무늘보 보호소, 러시아의 불곰 보호소, 스리랑카의 코끼리 보호소, 대만의 흑곰 보호소 등 다양한 국가에서 운영되는 동물 고아원의 사례를 다룬다. 이 책은 단순히 동물들의 이야기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진지하게 성찰하게 한다. 저자는 자연 환경 파괴가 인간의 탐욕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경제적 이익을 위해 환경을 훼손하는 개발 행위가 지구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강조한다. 또한, 이러한 환경 변화가 동물들뿐만 아니라 우리 인간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경고한다. 특히 저자는 ‘인류세’라는 개념을 통해, 현재 지구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책의 주요 메시지는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구하는 일이 단지 동물들을 위한 일이 아니라, 우리의 미래를 위한 일이라는 것이다. 동물 고아원에서 보호받고 있는 동물들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고아가 되었으며, 그들의 보호와 치료는 단순히 동물들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우리가 환경 문제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지구의 환경 파괴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지금, 이 책은 우리가 자연과 동물을 보호하는 일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저자는 책을 마무리하면서,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제목을 통해 단순히 동물들의 문제를 넘어, 우리가 직면한 환경 위기와 그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책은 단지 동물 보호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중요한 성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