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바꾼 퓰리처상 사진전 대구에서 열려
2025-03-20 16:32
퓰리처상은 1917년에 제정되어 10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보도, 문학, 음악상을 아우르는 상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보도 부문은 '언론의 노벨상'으로 불리며, 언론인과 사진 기자들에게 최고의 영예로 인정받고 있다. 이 상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제도를 유연하게 변화시키면서도, 언론의 본질적인 가치를 중시하고, 탁월한 기자와 작품들을 격려하는 목적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퓰리처상 사진전은 그동안 수상한 최고의 사진 작품들을 소개하며, 언론 사진의 진수를 보여주는 전시이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일 작품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코로나 팬데믹 등 최근의 주요 사건들을 다룬 수상작들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세계적인 갈등과 위기 속에서 순간을 포착한 사진들이며,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것이다. 그 중 일부는 세계적인 충격을 준 사건들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굶주린 수단의 소녀와 그를 지켜보는 독수리의 모습이 담긴 사진은 절박한 상황 속에서 생명을 지키기 위한 사투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또 베트남전쟁 중 네이팜탄 폭격을 피해 달려가는 소녀의 사진은 전쟁의 참혹함과 그로 인한 피해를 강렬하게 전달한다. 이 외에도 베트콩의 즉결 처형 장면, 9·11 테러 당시의 충격적인 순간을 담은 사진들도 전시된다. 이 모든 사진들은 당시의 참혹함을 고스란히 기록하며, 그 순간을 보는 이들에게 깊은 충격과 교훈을 남긴다.
뿐만 아니라, 한국전쟁을 다룬 1951년 수상작도 포함된다. 이 작품은 중공군을 피해 폭파된 대동강 철교 위를 건너는 피난민들의 절박한 모습을 담고 있다. 전쟁의 참상과 생사의 기로에 선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이 작품은 한국전쟁이 남긴 상처와 그로 인한 고통을 고백하는 듯한 이미지로 관객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긴다. 또한, 2019년 퓰리처상 보도 사진 부문에서 수상한 김경훈 기자의 작품도 전시된다. 이 작품은 중남미 이민자 가족이 미국 국경 장벽을 넘으려는 절박한 순간을 포착한 사진으로, 한국인 최초의 퓰리처상 수상작으로 기록되었다. 김 기자의 작품은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고군분투하는 이민자들의 고통을 보여준다.
퓰리처상 사진전의 기획자 시마 루빈은 "이 전시는 단순히 과거의 기록을 보여주는 전시가 아니다. 퓰리처상 수상작들은 지금 현재와 깊은 연관이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미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며, 사진작가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최전선에서 현장을 지키는 이유를 설명했다. 사진작가들은 때로는 최루탄과 물리적 폭력에 희생되면서도, 세상을 향해 중요한 메시지를 담은 한 장의 사진을 포착한다. 그들의 헌신적 노력이 담긴 작품들은 전시장을 가득 채운다. 사진작가들이 담은 이미지들은 과거의 역사를 기록하는 것을 넘어서, 현재의 갈등과 위기를 고발하고, 미래를 위한 교훈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회는 단순히 사진을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는다. 각 사진에는 해당 사건과 취재 상황에 대한 풍성한 설명글이 함께 제공되며, 수상자 인터뷰 영상과 사진, 글 등이 어우러져 관람객들이 역사적인 여정을 함께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관람객들은 단순히 사진을 보는 것을 넘어서, 그 속에 담긴 이야기와 감정을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사진 한 장이 전달하는 메시지는 단순히 그 순간을 기록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관람객들은 사진을 통해 그 시대의 사람들의 고통, 희망, 절박함을 느끼며, 사진 속 순간들이 오늘날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깊이 고민하게 될 것이다.
'퓰리처상 사진전'은 10월 12일까지 대구 뮤씨엄에서 진행되며, 4월 25일부터 시작된다. 관람은 인터파크, 네이버 예매처 웹사이트를 통해 사전 구매할 수 있으며, 예매 시 최대 50%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관람객들은 전시에서 세상을 바꾼 사진들을 통해, 과거의 아픈 역사와 현재의 복잡한 국제 정세를 되돌아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전시는 단지 과거의 기록을 넘어서, 현재와 미래를 위한 중요한 메시지를 전하는 시간으로, 관람객들이 시대를 초월한 사진들이 담고 있는 깊은 의미를 되새기게 할 것이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으로 작성했으며, 동물들의 고통과 그들을 구하기 위한 노력을 그린다. 저자는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제목이 멸종 위기 동물들을 의미하는 것임을 설명하며, 특히 부모를 잃고 홀로 남은 동물들이 보호받고 있는 '동물 고아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은 인간 활동이 자연 환경을 얼마나 파괴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동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깊이 탐구한다.저자는 자연 생태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해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동물 고아원을 방문하고, 그곳에서 보호받고 있는 동물들을 취재했다. 이 책의 중요한 목적은 지구의 환경 파괴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현실을 대중에게 알리고, 우리가 이 문제에 대해 얼마나 진지하게 생각해야 하는지 일깨우는 것이다. 저자는 ‘기상 이변, 서식지 축소, 밀렵과 몰살’ 등으로 인해 수많은 동물들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목격했다고 밝히며, 멸종 위기 동물들의 보호를 위한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한다.책의 서두에서 저자는 남아공의 코뿔소 고아원을 방문하면서, ‘고아가 된 동물’들의 상황에 대해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저자는 그곳에서 보호받고 있는 새끼 코뿔소 잭과의 교감을 통해 동물들의 어려움과 그들의 보호소가 점점 더 중요한 존재가 되어가고 있음을 깨달았다. 이 경험을 계기로 저자는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프로그램을 제작했고, 그 내용을 책으로 엮어냈다.‘동물 고아원’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보호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동물 고아원에서는 밀렵이나 서식지 파괴로 부모를 잃은 동물들이 보호를 받고 치료를 받으며, 자연으로 돌아갈 기회를 얻는다. 저자는 동물 고아원에서 보호받는 동물들을 소개하고, 그들이 어떻게 치료를 받고 자연으로 돌아가고 있는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책에서는 남아공의 코뿔소 고아원 외에도 코스타리카의 나무늘보 보호소, 러시아의 불곰 보호소, 스리랑카의 코끼리 보호소, 대만의 흑곰 보호소 등 다양한 국가에서 운영되는 동물 고아원의 사례를 다룬다. 이 책은 단순히 동물들의 이야기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진지하게 성찰하게 한다. 저자는 자연 환경 파괴가 인간의 탐욕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경제적 이익을 위해 환경을 훼손하는 개발 행위가 지구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강조한다. 또한, 이러한 환경 변화가 동물들뿐만 아니라 우리 인간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경고한다. 특히 저자는 ‘인류세’라는 개념을 통해, 현재 지구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책의 주요 메시지는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구하는 일이 단지 동물들을 위한 일이 아니라, 우리의 미래를 위한 일이라는 것이다. 동물 고아원에서 보호받고 있는 동물들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고아가 되었으며, 그들의 보호와 치료는 단순히 동물들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우리가 환경 문제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지구의 환경 파괴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지금, 이 책은 우리가 자연과 동물을 보호하는 일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저자는 책을 마무리하면서,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제목을 통해 단순히 동물들의 문제를 넘어, 우리가 직면한 환경 위기와 그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책은 단지 동물 보호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중요한 성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