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에서 즐기는 7일간의 시간여행
2025-04-14 14:53
‘묘현례(廟見禮)’는 조선시대 혼례를 마친 왕비나 세자빈이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가 모셔진 종묘에 인사를 드리는 의식으로, 국가의례 중 유일하게 여성이 종묘에 참여할 수 있었던 예식이다. 종묘가 왕실의 정신적 중심지였던 만큼, 이 의식은 왕실 여성의 지위와 역할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중요한 예 ceremonial 로 평가된다. 이번 행사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창작 뮤지컬과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에게 살아 숨 쉬는 유산의 가치를 전달하고자 기획됐다.
행사의 중심 프로그램은 창작 뮤지컬 ‘묘현, 왕후의 기록’이다. 1703년 숙종의 세 번째 왕비였던 인원왕후의 묘현례를 바탕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역사적 고증을 기반으로 당시 의례의 정황과 인물들의 내면을 무대 위에 펼쳐낸다. 특히 인원왕후와 그의 부친 김주신의 애틋한 부녀 관계가 극의 중심을 이룬다. 공연은 4월 26일부터 30일까지 5일간 하루 두 차례(오후 1시, 4시) 영녕전에서 진행되며, 회당 350명씩 총 700명이 관람할 수 있다. 관람은 무료이며, 온라인 사전 예매 200명과 현장 접수 150명을 통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조선시대 향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조선 왕실의 향, 부용향 만들기’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이 체험은 종묘 정전의 악공청에서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조선 왕실 의례에 사용됐던 부용향을 직접 만들어볼 수 있다. 악공청은 과거 제례 시 악공과 무용수들이 대기하던 장소로, 전통의 공간에서 왕실 문화를 오감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체험은 행사 기간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상설 운영되며, 온라인 사전 예매(175명)와 현장 접수(105명)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영녕전 악공청에서는 ‘세자·세자빈이 되어 사진 찍기’ 체험이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대례복 등 전통 복식을 착용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선착순 200명에게는 즉석 인화된 사진이 제공된다. 이 체험 역시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상시 운영되며, 현장 접수를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지난해 동일 행사에서 외국인 관광객들도 큰 관심을 보인 바 있어, 이번 행사에서도 국내외 관람객들의 높은 참여가 기대된다.
‘묘현, 왕후의 기록’과 ‘부용향 만들기’ 체험의 사전 예매는 4월 15일 오후 2시부터 티켓링크를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된다.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로 운영되며, 사전 신청이 어려운 경우에도 현장에서 접수해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이번 종묘 묘현례 행사는 조선시대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역할, 나아가 전통 국가의례의 진면목을 체험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라며, “시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및 국가유산진흥원 홈페이지 또는 궁능 활용 프로그램 전화상담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으로 작성했으며, 동물들의 고통과 그들을 구하기 위한 노력을 그린다. 저자는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제목이 멸종 위기 동물들을 의미하는 것임을 설명하며, 특히 부모를 잃고 홀로 남은 동물들이 보호받고 있는 '동물 고아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은 인간 활동이 자연 환경을 얼마나 파괴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동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깊이 탐구한다.저자는 자연 생태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해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동물 고아원을 방문하고, 그곳에서 보호받고 있는 동물들을 취재했다. 이 책의 중요한 목적은 지구의 환경 파괴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현실을 대중에게 알리고, 우리가 이 문제에 대해 얼마나 진지하게 생각해야 하는지 일깨우는 것이다. 저자는 ‘기상 이변, 서식지 축소, 밀렵과 몰살’ 등으로 인해 수많은 동물들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목격했다고 밝히며, 멸종 위기 동물들의 보호를 위한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한다.책의 서두에서 저자는 남아공의 코뿔소 고아원을 방문하면서, ‘고아가 된 동물’들의 상황에 대해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저자는 그곳에서 보호받고 있는 새끼 코뿔소 잭과의 교감을 통해 동물들의 어려움과 그들의 보호소가 점점 더 중요한 존재가 되어가고 있음을 깨달았다. 이 경험을 계기로 저자는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프로그램을 제작했고, 그 내용을 책으로 엮어냈다.‘동물 고아원’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보호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동물 고아원에서는 밀렵이나 서식지 파괴로 부모를 잃은 동물들이 보호를 받고 치료를 받으며, 자연으로 돌아갈 기회를 얻는다. 저자는 동물 고아원에서 보호받는 동물들을 소개하고, 그들이 어떻게 치료를 받고 자연으로 돌아가고 있는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책에서는 남아공의 코뿔소 고아원 외에도 코스타리카의 나무늘보 보호소, 러시아의 불곰 보호소, 스리랑카의 코끼리 보호소, 대만의 흑곰 보호소 등 다양한 국가에서 운영되는 동물 고아원의 사례를 다룬다. 이 책은 단순히 동물들의 이야기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진지하게 성찰하게 한다. 저자는 자연 환경 파괴가 인간의 탐욕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경제적 이익을 위해 환경을 훼손하는 개발 행위가 지구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강조한다. 또한, 이러한 환경 변화가 동물들뿐만 아니라 우리 인간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경고한다. 특히 저자는 ‘인류세’라는 개념을 통해, 현재 지구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책의 주요 메시지는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구하는 일이 단지 동물들을 위한 일이 아니라, 우리의 미래를 위한 일이라는 것이다. 동물 고아원에서 보호받고 있는 동물들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고아가 되었으며, 그들의 보호와 치료는 단순히 동물들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우리가 환경 문제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지구의 환경 파괴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지금, 이 책은 우리가 자연과 동물을 보호하는 일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저자는 책을 마무리하면서,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제목을 통해 단순히 동물들의 문제를 넘어, 우리가 직면한 환경 위기와 그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책은 단지 동물 보호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중요한 성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