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심포니, '세계적인 지휘자' 아바도와 미래 열다
2025-04-15 14:35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는 15일, 제8대 예술감독으로 로베르토 아바도(70)를 임명했다고 밝혔다. 그의 임기는 2024년 1월 1일부터 시작해 3년간 지속될 예정이다. 아바도는 이탈리아 밀라노 출신으로, 음악적으로 깊은 유산을 지닌 집안에서 태어났다. 세계적인 지휘자인 클라우디오 아바도의 조카로 잘 알려져 있으며, 밀도 높은 시즌 기획력과 성숙한 해석력, 방대한 레퍼토리를 지닌 지휘자로 인정받고 있다.아바도는 그동안 많은 음악계에서 활발히 활동해 왔다. 현재는 볼로냐 시립극장 필하모닉의 상임지휘자로 활동 중이며, 이전에는 뮌헨 방송교향악단, 파르마 베르디 페스티벌, 소피아 여왕 예술 궁전의 음악감독을 역임한 바 있다. 또한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빈 심포니,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LA 필하모닉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에서 활발히 활동을 펼쳤다.
그는 오케스트라의 명장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특히 1992년에 음악감독이 부재했던 뮌헨 방송교향악단에 부임하여 7년 동안 악단을 이끌었다. 이 시기에 힌데미트의 ‘세계의 조화’와 다리우스 미요의 ‘스크라무슈’ 모음곡 등을 통해 레퍼토리를 확장하고, 차별화된 음악적 정체성을 확립하며 악단의 재도약을 이끌었다. 또한 아바도는 RCA 레코드와 협업해 총 14종의 디스코그라피를 발매했으며, 로시니와 푸치니의 오페라 음반으로 주목을 받았다. 특히 로시니 오페라 ‘탄크레디’로 1997년 에코 클래식 독일 음반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벨리니 오페라 ‘카풀레티 가문과 몬테키 가문’으로 1999년 BBC 매거진에서 ‘올해 최고의 음반상’ 후보에 올랐다.
아바도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와도 이전에 여러 차례 협연을 진행한 바 있다. 2023년에는 오페라 ‘노르마’와 3월에는 국립심포니 제255회 정기연주회에서 베르디의 ‘레퀴엠’으로 호흡을 맞췄다. 그의 경험과 지휘력은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와의 협연에서도 큰 시너지를 일으켰다.
그는 또한 오케스트라뿐만 아니라 극음악과 페스티벌 운영에도 폭넓은 경험을 쌓아왔다. 특히 관현악, 오페라, 발레에 정통한 그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예술감독으로서 새로운 예술적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 음악 레퍼토리 확장에도 앞장서 왔으며, 찰스 워리넨, 파스칼 뒤사팽, 루카 프란체스코니, 실비아 콜라산티 등의 작품을 초연하며 음악적 지평을 넓혀왔다. 이러한 경험은 그가 국립심포니와 함께 한국 작곡가들의 작품을 어떻게 조명할지에 대한 큰 기대감을 자아낸다.
로베르토 아바도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에 대해 “음악적 역량과 새로운 길을 탐색하려는 호기심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이들과 함께 만들어갈 음악이 매우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는 국립심포니의 예술적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며, 그와 함께 새로운 음악적 지평을 여는 데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는 아바도와 함께 지난 40년간 쌓아온 국립심포니의 가치를 더욱 빛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국립심포니는 국민의 오케스트라로서 국립예술단체의 품격에 맞는 무대를 선보일 계획이며, 아바도의 지휘 아래 더욱 깊이 있는 음악적 성취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이번 임명은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예술적 성장과 글로벌한 명성을 이어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로베르토 아바도의 지휘 아래, 국립심포니는 새로운 음악적 비전을 향해 나아가며, 관객들에게 더욱 풍성한 음악적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중요임무종사 및 위증 등 혐의로 기소된 사건의 1심 결심공판이 오늘(26일) 열린다. 검..


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한국 관객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지휘자 가렛 키스트가 지휘봉을 잡고, 빈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제1악장인 바이올리니스트 안톤 소로코프가 특별 협연자로 나서 기대를 모은다. 국내외를 오가며 왕성한 활동을 펼치는 카메라타 솔의 예술감독 김응수 역시 직접 바이올린을 들고 무대에 올라 두 명의 비르투오소가 선보일 음악적 시너지에 관심이 집중된다.‘겹의 미학’은 카메라타 솔이 2025년부터 야심 차게 시작한 시리즈 프로젝트다. 과거의 역사와 예술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와 만나는 지점에서 음악의 본질과 마주하겠다는 깊이 있는 목표를 담고 있다. 첫 번째 공연이었던 ‘겹의 미학 I’에서는 바흐의 엄격한 질서, 베토벤의 불굴의 의지, 브람스의 깊은 낭만을 차례로 탐색하며 ‘음악은 어떻게 시대를 넘어 우리에게 이어지는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던져 호평을 받았다. 이들은 단순한 연주를 넘어, 음악 속에 겹겹이 쌓인 시간의 흔적과 인류의 정신을 탐구하는 음악적 고고학자와 같은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이번 두 번째 시리즈는 음악이 어떻게 서로 다른 시대의 정신과 개인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이 되는지에 주목한다. 프로그램은 모순으로 가득 찬 세상 속에서도 희망을 노래한 번스타인의 ‘캔디드’ 서곡으로 유쾌하게 문을 연다. 이어 인간관계와 조화에 대한 고대 철학자의 고뇌를 담은 플라톤의 ‘향연’을 번스타인이 음악으로 재해석한 세레나데가 연주된다. 후반부에서는 작곡가 브루흐의 가장 순수한 낭만성이 빛나는 바이올린 협주곡 1번과, 사랑하는 대상을 향한 애틋한 그리움을 녹여낸 스코틀랜드 환상곡을 통해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감정을 노래하며 깊은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이 특별한 무대를 준비한 ‘카메라타 솔’은 2019년 바이올리니스트 김응수를 중심으로 창단된 이래, 음악의 가치를 끊임없이 확장하며 독자적인 길을 걸어온 앙상블이다. 팀의 이름인 ‘솔(SOL)’은 바이올린의 네 현 중 가장 낮은 소리를 내는 G선(솔)을 의미한다. 이는 언제나 처음의 마음으로, 가장 낮은 곳에서부터 진심을 다해 관객과 소통하겠다는 그들의 겸손하면서도 단단한 음악적 신념을 보여준다. 이번 공연 역시 그들의 이름에 담긴 뜻처럼, 화려한 기교를 넘어 음악의 가장 깊은 본질을 길어 올려 관객에게 진솔하게 건네는 무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