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무신사 고속 성장 이면에 소상공인 '눈물'

2025-04-28 12:27

 생활용품점 다이소와 온라인 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문어발식' 사업 확장에 나서면서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두 기업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고속 성장하는 이면에는 영세 소상공인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이소는 연평균 60개씩 매장을 늘려 2023년 기준 1천519개까지 확장했다. 균일가 생활용품 중심에서 나아가 의류, 화장품, 건강식품 등으로 품목을 빠르게 확장하며 소상공인과 직접 경쟁하는 양상이다. 월평균 600개 이상의 신상품을 선보이며 소비 트렌드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한다.

 

무신사 역시 온라인 편집숍 29CM를 통해 패션 외 가구, 전자제품, 식품 등 종합몰 형태로 확장했으며, 비패션 매출 비중이 50%에 육박한다. 최근에는 문구류에 힘을 쏟아 오프라인 문구 페어를 개최하기도 했다. 자체 브랜드 무신사 스탠다드와 29CM의 오프라인 매장도 빠르게 늘려 전국 주요 상권에 진출하고 있다.

 

이러한 확장세는 두 기업의 역대 최대 실적으로 이어졌다. 무신사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조2천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첫 1조원을 돌파했고, 다이소는 3조9천689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하지만 이들의 폭풍 성장 뒤에는 영세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있다. 특히 지방 상권의 위기감이 크다. 대구 동성로의 경우, 지난해 무신사 매장들이 잇따라 들어선 후 주변 의류 상점들의 매출이 급감하며 폐업이 속출했다. 동성로상점가상인회 회장은 "무신사가 자리 잡은 이후 매출이 급감했다는 상점들이 많다"고 토로했다.

 

다이소의 영업점 확대는 문구 상점들에 직격탄이 되어, 업계 통계에 따르면 10곳 중 9곳에서 매출 감소를 겪었다. 아울러 최근 성장하는 반려동물용품 시장에 다이소가 '펫존'을 마련하며 진출하자, 한국펫산업연합회는 다이소가 제조사에 납품가 인하를 요구하면서 인근 펫샵들이 매출 급감 등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나 기업형 슈퍼마켓(SSM)처럼 다이소, 무신사 같은 대규모 전문점도 유통산업발전법에 포함해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 전문위원은 "매출과 매장 수가 빠르게 늘고 있는 만큼, 규모가 큰 전문점을 유통법에 포함해 규제 사각지대를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이소와 무신사의 고속 성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들의 사업 확장이 영세 소상공인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는 논란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며, 관련 규제 도입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황이준 기자 yijun_i@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책 '지구의 고아들'..'동물 고아들의 절규' 귀 기울여야..

으로 작성했으며, 동물들의 고통과 그들을 구하기 위한 노력을 그린다. 저자는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제목이 멸종 위기 동물들을 의미하는 것임을 설명하며, 특히 부모를 잃고 홀로 남은 동물들이 보호받고 있는 '동물 고아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은 인간 활동이 자연 환경을 얼마나 파괴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동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깊이 탐구한다.저자는 자연 생태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해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동물 고아원을 방문하고, 그곳에서 보호받고 있는 동물들을 취재했다. 이 책의 중요한 목적은 지구의 환경 파괴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현실을 대중에게 알리고, 우리가 이 문제에 대해 얼마나 진지하게 생각해야 하는지 일깨우는 것이다. 저자는 ‘기상 이변, 서식지 축소, 밀렵과 몰살’ 등으로 인해 수많은 동물들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목격했다고 밝히며, 멸종 위기 동물들의 보호를 위한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한다.책의 서두에서 저자는 남아공의 코뿔소 고아원을 방문하면서, ‘고아가 된 동물’들의 상황에 대해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저자는 그곳에서 보호받고 있는 새끼 코뿔소 잭과의 교감을 통해 동물들의 어려움과 그들의 보호소가 점점 더 중요한 존재가 되어가고 있음을 깨달았다. 이 경험을 계기로 저자는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프로그램을 제작했고, 그 내용을 책으로 엮어냈다.‘동물 고아원’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보호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동물 고아원에서는 밀렵이나 서식지 파괴로 부모를 잃은 동물들이 보호를 받고 치료를 받으며, 자연으로 돌아갈 기회를 얻는다. 저자는 동물 고아원에서 보호받는 동물들을 소개하고, 그들이 어떻게 치료를 받고 자연으로 돌아가고 있는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책에서는 남아공의 코뿔소 고아원 외에도 코스타리카의 나무늘보 보호소, 러시아의 불곰 보호소, 스리랑카의 코끼리 보호소, 대만의 흑곰 보호소 등 다양한 국가에서 운영되는 동물 고아원의 사례를 다룬다. 이 책은 단순히 동물들의 이야기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진지하게 성찰하게 한다. 저자는 자연 환경 파괴가 인간의 탐욕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경제적 이익을 위해 환경을 훼손하는 개발 행위가 지구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강조한다. 또한, 이러한 환경 변화가 동물들뿐만 아니라 우리 인간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경고한다. 특히 저자는 ‘인류세’라는 개념을 통해, 현재 지구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책의 주요 메시지는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구하는 일이 단지 동물들을 위한 일이 아니라, 우리의 미래를 위한 일이라는 것이다. 동물 고아원에서 보호받고 있는 동물들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고아가 되었으며, 그들의 보호와 치료는 단순히 동물들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우리가 환경 문제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지구의 환경 파괴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지금, 이 책은 우리가 자연과 동물을 보호하는 일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저자는 책을 마무리하면서, 지구의 고아들이라는 제목을 통해 단순히 동물들의 문제를 넘어, 우리가 직면한 환경 위기와 그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책은 단지 동물 보호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중요한 성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