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투알 10명이 줄섰다'..박세은 효과로 파리 발레단 '들썩'

2025-07-29 13:24

 프랑스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동양인 최초 에투알(수석 무용수) 박세은이 자신의 이름을 내건 세 번째 갈라 공연을 통해 한국 관객과 다시 만난다. ‘파리 오페라 발레 에투알 갈라 2025’는 오는 30일부터 3일간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열릴 예정이며, 박세은과 함께 다수의 동료 에투알 무용수들이 참여해 화려한 무대를 선사한다.

 

박세은은 2021년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에투알로 승급한 후 매년 동료 무용수들과 내한해 갈라 공연을 펼치고 있다. 출산으로 2023년 한 차례 쉬었지만, 2022년과 2024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갈라 무대다. 특히 이번 공연에는 점차 늘어난 에투알 무용수들이 참여해 눈길을 끈다. 2022년 첫 공연에는 박세은을 포함해 5명이었으나 지난해 6명, 올해는 10명으로 규모가 커졌다. 이 중에는 2004년부터 20년 넘게 에투알로 활약 중인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대표적 무용수 마티외 가니오도 포함돼 무대를 빛낸다.

 

지난 28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박세은은 “발레단 내에서 한국에서 열리는 갈라 공연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높아졌다”며 “에투알 무용수들이 모두 한국 공연에 참여하고 싶어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번 공연에 에투알 10명이 함께하며 그 인기를 실감케 했다. 함께 자리한 동료 에투알 기욤 디오프도 “이 갈라 공연 기획이 훌륭하고 단원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 한국 관객을 다시 만나게 되어 기쁘고 좋은 기억 때문에 다시 참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기욤 디오프는 이번이 한국 방문 세 번째이며,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갈라 공연에 참여했다. 그는 2023년에는 LG아트센터에서 열린 ‘지젤’ 전막 공연에 솔리스트(쉬제)로 무대에 올라 관객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또한 그 무대 직후 에투알로 승급되어 한국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무대와 승급을 동시에 경험했다며 “한국은 제게 아주 특별한 나라”라고 말했다.

 

이번 갈라 공연 프로그램들이 좋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박세은의 기획 의도와 파리 오페라 발레단 대표의 의지가 일치했기 때문이다. 박세은은 “아주 좋은 작품들은 저작권이 매우 비싸고 까다로운 조건이 많아 공연하기 쉽지 않다”며 “안무가를 직접 초청해 리허설을 해야 할 경우, 항공료와 숙박비도 모두 부담해야 하는데, 파리 오페라 발레단 대표도 ‘좋은 작품은 비싸더라도 관객들에게 보여주자’는 생각에 전폭적으로 지원해준다”고 밝혔다. 덕분에 박세은은 자신이 하고 싶은 작품들을 마음껏 선보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공연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A, B 두 가지 프로그램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30일과 31일에는 A 프로그램, 9월 1일에는 B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A 프로그램에서는 미국 안무가 제롬 로빈스의 ‘인 더 나이트’와 차이콥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2막의 그랑 파드되(2인무)가 포함된다. 박세은은 ‘인 더 나이트’ 공연에 대해 “첫 무대였던 2022년 이후 새로운 작품만 보여주고 싶었는데, 관객들이 다시 보고 싶어해 다시 선보이게 됐다”며 특별히 의상을 대여받아 준비한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B 프로그램에는 ‘실비아’ 중 실비아와 아민타의 파드되와 ‘잠자는 숲 속의 미녀’ 전막 하이라이트가 포함된다. 박세은은 “1년 동안 어떤 좋은 작품을 보여줄지 고민해 마음에 쏙 드는 프로그램들을 구성했다”며 “파리 오페라 발레단을 대표하는 훌륭한 작품들인 만큼 무척 설레고 행복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갈라 공연은 박세은이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은 실력과 기획력, 그리고 파리 오페라 발레단 내 최고 무용수들의 참여로 한국 발레 팬들에게 특별한 무대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시아 최초로 파리 오페라 발레단 에투알로 발탁된 박세은의 활약은 한국 문화예술계의 위상을 한층 더 높이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번 공연을 통해 박세은과 동료들이 펼치는 다채로운 무용 예술의 진수를 만날 수 있을 전망이다.

 

서성민 기자 sung55min@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굿즈 줄만 100m..K-팬심 폭발한 국립대구박물관

데헌)'의 인기로 인해 박물관을 찾는 이들이 급증하면서, 대구박물관만의 독특한 전시물과 굿즈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30일 오후, 경기도에서 대구로 휴가를 온 서민(11) 양은 복식문화실에 전시된 전통 모자인 ‘갓’ 앞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함께 온 어머니 박수연(43) 씨는 “국립중앙박물관도 인기가 많다고 들어 대구에도 들러봤는데, 아이가 지루해하지 않고 흥미로워해 기대 이상”이라고 말했다.국립대구박물관은 국내 유일의 복식문화 전문 박물관으로, 섬유산업을 기반으로 성장한 대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해 복식문화실을 갖추고 있다. 이곳은 의복뿐만 아니라 갓, 자수, 장신구 등 다채로운 복식 전시품을 통해 한국 전통의 미를 선보이며, 관람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2년 전 새롭게 리뉴얼된 복식문화실은 '케데헌'의 주인공 ‘진우’가 착용한 갓이 전시돼 있어, 이를 실제로 보려는 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이 작품 속 갓은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고, 이를 계기로 전통 쓰개류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졌다. 울산에서 가족과 함께 방문한 이지영(44) 씨는 “모자부터 예복, 장신구까지 다양한 복식들을 볼 수 있는 전시라 정말 신선했다”며 “아이들이 전통 의상에 대해 자연스럽게 배우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해외 관광객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대구를 방문한 엘리사 베트로네(18) 씨는 “케데헌은 아직 보지 못했지만, 한국 사극 ‘연모’에서 갓을 본 적 있다”며 “이곳에 오니 옛 문화와 세련된 K-콘텐츠가 결합된 느낌을 받아 매우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박물관의 또 다른 인기 요인은 바로 관련 굿즈다. 전시를 보고 나온 관람객들이 몰리는 곳은 박물관 상품관으로, 이곳에서는 ‘흑립 갓끈 볼펜’, ‘갓 키링’, ‘전통 복식 자석 세트’ 등 복식 관련 특화 상품들이 진열돼 있다. 이 중에서도 흑립 갓끈 볼펜은 인기를 끌며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품절 상태다. 국립박물관 문화상품 온라인 스토어에서도 해당 상품은 ‘일시 품절’로 표시돼 있으며, 상품관 측은 현재 추가 생산에 돌입한 상태라고 전했다. 한 직원은 “케데헌이 공개된 이후 갑자기 관람객들이 몰려들며 굿즈 수요도 급증했다”며 “복식문화실과 연계된 상품들이 특히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이 같은 인기에 힘입어 박물관은 자체적인 이벤트도 열고 있다. 복식문화실 내 갓 전시품 앞에서 사진을 찍은 뒤, 인스타그램에 올리는 인증샷 이벤트다. 참여자 중 일부에게는 갓 키링이나 갓 펜 등 전통 굿즈가 경품으로 제공된다. 단순히 관람에서 그치지 않고 관객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을 통해, 박물관은 전통문화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이번 여름, 국립대구박물관은 단순한 문화유산 보존의 공간을 넘어, 케이팝 콘텐츠와의 결합을 통해 현대 관람객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있다. 전통 의복과 쓰개류, 특히 갓이라는 전통 소재가 대중문화와 만났을 때 얼마나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 사례다. 박물관을 찾은 시민들과 관광객들은 "그저 무거운 전시물만 있을 줄 알았는데, 볼거리와 체험 요소가 많아 뜻밖의 즐거움을 느꼈다"고 입을 모은다.국립대구박물관의 사례는 지역박물관이 가진 정체성을 현대적 방식으로 해석하고, 대중문화와 접목시켜 관람객과의 접점을 늘릴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특히 청소년 관람객들에게는 전통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번 복식문화실의 갓 전시와 연계 굿즈, 그리고 SNS 이벤트는 전통이 ‘과거’에 머물지 않고 ‘현재’와 함께 살아 숨 쉬는 문화임을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