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실버 쇼크... 65세 이상 1천만명 돌파, 생산인구는 계속 감소
2025-07-30 11:53
주목할 점은 내국인과 외국인 인구의 상반된 추세다. 내국인은 4976만3천명으로 전년 대비 7만7천명(-0.2%) 감소했으나, 외국인은 204만3천명으로 10만8천명(5.6%) 증가해 총인구 감소세를 막았다. 내국인 인구는 2021년 이후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부터 2년간 감소했다가 2022년부터 증가세로 전환, 작년에는 처음으로 200만명을 돌파했다. 고용허가제 확대와 지역 유학생 유치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국적별로는 중국(한국계)이 53만8천명(26.3%)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28만5천명·14.0%), 중국(22만3천명·10.9%) 순이었다.
연령대별로는 심각한 인구구조 변화가 확인됐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626만3천명으로 전년보다 28만3천명 감소했고, 0~14세 유소년 인구도 542만1천명으로 19만9천명 줄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51만3천명 증가한 1012만2천명을 기록, 처음으로 1천만명을 넘어섰다.
고령인구 비중은 18.6%에서 19.5%로 상승해 초고령사회(노령인구 20%)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중위연령은 46.2세로 전년보다 0.6세 높아졌으며,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 지수는 186.7명으로 2019년(122.3명)보다 64.4명 증가했다.
229개 시군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15세 미만 인구보다 많은 곳은 216개로 94.3%에 달했다. 이는 전년(211개·92.1%)보다 5곳이 증가한 수치다.
가구 현황을 보면, 작년 11월 1일 기준 총가구 수는 2299만7천 가구로 1.2%(26만9천 가구) 증가했다. 1인 가구는 804만5천 가구(36.1%)로, 전년 대비 21만6천 가구(2.8%) 늘었다. 반면 친족가구는 1366만9천 가구로 3만 가구(-0.2%) 감소했다. 1인 가구 증가로 평균 가구원 수는 전년보다 0.03명 줄어든 2.19명을 기록했다.
임시원 기자 Im_Siwon2@trendnewsreaders.com
데헌)'의 인기로 인해 박물관을 찾는 이들이 급증하면서, 대구박물관만의 독특한 전시물과 굿즈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30일 오후, 경기도에서 대구로 휴가를 온 서민(11) 양은 복식문화실에 전시된 전통 모자인 ‘갓’ 앞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함께 온 어머니 박수연(43) 씨는 “국립중앙박물관도 인기가 많다고 들어 대구에도 들러봤는데, 아이가 지루해하지 않고 흥미로워해 기대 이상”이라고 말했다.국립대구박물관은 국내 유일의 복식문화 전문 박물관으로, 섬유산업을 기반으로 성장한 대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해 복식문화실을 갖추고 있다. 이곳은 의복뿐만 아니라 갓, 자수, 장신구 등 다채로운 복식 전시품을 통해 한국 전통의 미를 선보이며, 관람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2년 전 새롭게 리뉴얼된 복식문화실은 '케데헌'의 주인공 ‘진우’가 착용한 갓이 전시돼 있어, 이를 실제로 보려는 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이 작품 속 갓은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고, 이를 계기로 전통 쓰개류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졌다. 울산에서 가족과 함께 방문한 이지영(44) 씨는 “모자부터 예복, 장신구까지 다양한 복식들을 볼 수 있는 전시라 정말 신선했다”며 “아이들이 전통 의상에 대해 자연스럽게 배우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해외 관광객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대구를 방문한 엘리사 베트로네(18) 씨는 “케데헌은 아직 보지 못했지만, 한국 사극 ‘연모’에서 갓을 본 적 있다”며 “이곳에 오니 옛 문화와 세련된 K-콘텐츠가 결합된 느낌을 받아 매우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박물관의 또 다른 인기 요인은 바로 관련 굿즈다. 전시를 보고 나온 관람객들이 몰리는 곳은 박물관 상품관으로, 이곳에서는 ‘흑립 갓끈 볼펜’, ‘갓 키링’, ‘전통 복식 자석 세트’ 등 복식 관련 특화 상품들이 진열돼 있다. 이 중에서도 흑립 갓끈 볼펜은 인기를 끌며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품절 상태다. 국립박물관 문화상품 온라인 스토어에서도 해당 상품은 ‘일시 품절’로 표시돼 있으며, 상품관 측은 현재 추가 생산에 돌입한 상태라고 전했다. 한 직원은 “케데헌이 공개된 이후 갑자기 관람객들이 몰려들며 굿즈 수요도 급증했다”며 “복식문화실과 연계된 상품들이 특히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이 같은 인기에 힘입어 박물관은 자체적인 이벤트도 열고 있다. 복식문화실 내 갓 전시품 앞에서 사진을 찍은 뒤, 인스타그램에 올리는 인증샷 이벤트다. 참여자 중 일부에게는 갓 키링이나 갓 펜 등 전통 굿즈가 경품으로 제공된다. 단순히 관람에서 그치지 않고 관객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을 통해, 박물관은 전통문화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이번 여름, 국립대구박물관은 단순한 문화유산 보존의 공간을 넘어, 케이팝 콘텐츠와의 결합을 통해 현대 관람객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있다. 전통 의복과 쓰개류, 특히 갓이라는 전통 소재가 대중문화와 만났을 때 얼마나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 사례다. 박물관을 찾은 시민들과 관광객들은 "그저 무거운 전시물만 있을 줄 알았는데, 볼거리와 체험 요소가 많아 뜻밖의 즐거움을 느꼈다"고 입을 모은다.국립대구박물관의 사례는 지역박물관이 가진 정체성을 현대적 방식으로 해석하고, 대중문화와 접목시켜 관람객과의 접점을 늘릴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특히 청소년 관람객들에게는 전통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번 복식문화실의 갓 전시와 연계 굿즈, 그리고 SNS 이벤트는 전통이 ‘과거’에 머물지 않고 ‘현재’와 함께 살아 숨 쉬는 문화임을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