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경 70%는 여자 차지?"…경찰 시험 개편에 수험가 '발칵', 경찰청 진땀 해명

2025-09-04 11:52

 내년부터 경찰 순경 공채가 남녀 통합 선발 방식으로 전면 개편되는 가운데, '여성 합격자가 60~70%에 달할 것'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경찰청이 "실제 운영 결과와 다르다"며 공식 입장을 내고 진화에 나섰다.

 

논란의 핵심은 2026년부터 도입되는 '남녀 통합 선발'과 '순환식 체력검사'다. 기존에는 남녀 정원을 분리해 선발했지만, 앞으로는 성별 구분 없이 단일 기준으로 필기시험과 체력검사를 치러 최종 합격자를 가린다.

 

특히 체력검사 방식의 변화가 크다. 기존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등 종목별 점수제에서 '순환식' 합격/불합격(P/F) 방식으로 바뀐다. 남녀 모두 4.2kg 조끼를 입고 장애물 달리기, 장대 허들 넘기, 밀고 당기기 등 5개 코스를 4분 40초 안에 통과하면 '합격'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일부 학원가에서는 여성 수험생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구조라는 분석을 내놨다. 통상 필기시험 성적이 여성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남성이 강점을 보이던 체력검사는 기준 통과만 하면 되는 방식으로 바뀌어 변별력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한 유명 강사는 유튜브를 통해 "사실상 여성에게 메리트를 주는 것"이라며 "내년 순경 공채 합격자의 60~70%는 여성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며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에 경찰청은 3일 보도 설명자료를 통해 정면으로 반박했다. 경찰청은 2023년부터 경위 공채 등 일부 채용에서 순환식 체력검사를 시범 운영한 결과, 남성의 통과율은 90%대 후반, 여성은 70% 전후로 남성이 더 높았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 제도를 먼저 도입한 2023년 경위 공채 합격자 비율은 남성 72%(36명), 여성 28%(14명)였으며, 2024년에는 남성 80%(40명), 여성 20%(10명)로 오히려 남성 합격자 비율이 더 높았다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했다. 학원가의 예측이 기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경찰청은 "순환식 체력검사는 미국 뉴욕 경찰 등 선진국에서도 도입한 방식으로, 현장 직무수행에 더 적합하다"고 강조하며, 제도 변화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임시원 기자 Im_Siwon2@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넷플릭스에 다 뺏길 판…'티빙·웨이브' 합병 발목 잡는 '내부의 적'은 누구?

했다. 공개 한 달여 만에 누적 시청 수 2억 6600만 회를 돌파하며 넷플릭스 통합 1위에 올랐고, OST는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3주 연속 정상을 지키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이 눈부신 성공의 이면에는 글로벌 플랫폼에 대한 종속, 불공정한 수익 분배, 취약한 제작 환경이라는 K-콘텐츠 산업의 구조적 한계가 뚜렷하게 드러나며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이러한 문제의식은 최근 방영된 MBC '100분 토론'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영화 '범죄도시'의 강윤성 감독, 한예종 이동연 교수 등 각계 전문가들은 '케데헌'의 성공이 역설적으로 K-콘텐츠의 위기를 보여준다고 입을 모았다. 강윤성 감독은 "글로벌 플랫폼이 없었다면 흥행 자체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인정하면서도, "그 결과로 수익 독점 구조라는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했다"고 꼬집었다. 즉, 한국의 뛰어난 제작 역량이 만들어낸 과실을 글로벌 OTT가 독식하는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제작자들에게 지분을 나눠주는 방식으로 국내 플랫폼과 제작사를 함께 육성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가장 핵심적인 문제로 지적된 것은 바로 'IP(지식재산권) 저작권'의 불균형이다. 이동연 교수는 "콘텐츠 제작 시 IP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가 핵심 과제"라며, "설령 자본을 투입해 한국형 OTT를 만들어도, 창작자들이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하는 넷플릭스 대신 선택할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이는 단순히 자본의 문제를 넘어, 창작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재투자로 이어질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근본적인 환경 개선이 시급함을 시사한다.이러한 위기 속에서 토종 OTT의 경쟁력 확보는 생존을 위한 필수 과제가 되었다. 전문가들은 넷플릭스의 막강한 자본과 배급망을 따라잡기 어려운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대 문화평론가는 "넷플릭스를 활용하면서도 우리만의 콘텐츠를 발굴하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중소 제작사와 인재 육성에 집중해 봉준호, BTS와 같은 성공 사례가 계속 나올 수 있는 저변을 조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이처럼 절박한 상황에서 시장의 기대를 모았던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은 여전히 지지부진한 상태다. 양사의 역량이 결집되면 막강한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분석에도 불구하고, 일부 주주들의 이해관계와 합병 후 지분율 문제 등으로 실질적인 진척이 보이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단순한 기업 간의 문제를 넘어, K-콘텐츠 산업 전체의 미래가 걸린 중대한 사안으로 보고 있다. 조영신 미디어 평론가는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은 한국 미디어 산업의 돌파구이자, 글로벌 플랫폼에 대항해 '콘텐츠 주권'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망"이라며 신속한 추진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케데헌'의 성공에 마냥 취해있을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