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韓 근로자 300명 구금 사태에 이재명 맹폭

2025-09-08 16:42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의 대규모 구금 사태가 한미 관계의 민감한 뇌관을 건드린 가운데,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현 정부의 대미 외교 정책을 향해 전례 없이 날 선 비판을 쏟아내며 정국에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그는 이번 사태가 예견된 참사였으며, 실속 없이 겉치레에만 집중한 '질소 외교'의 필연적 결과라고 직격했다.

 

이 대표는 7일 자신의 SNS를 통해 "우방국에게 할 수 있는 처분이 아니다"라며 미국 이민 당국의 조치에 강한 유감을 표하는 동시에, 비판의 칼날을 정부의 무능과 안일함으로 돌렸다. 그는 최근 열린 한미정상회담을 문제의 핵심으로 지목했다. "우리가 목도한 것은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현안에 대한 진지한 대화를 한다기보다는, '젤렌스키처럼 안 되기'만을 목표로 하는 듯한 모습이었다"고 꼬집으며, 회담의 본질이 실리 외교가 아닌 생존을 위한 '읍소 외교'에 가까웠다고 평가절하했다.

 

그는 "이번 한미 외교의 목적이 통상 분쟁이나 투자 문제를 다루기보다는, 사실상의 책봉식을 바라고 칭신(臣下로서 임금을 섬김)하고 온 것이 아닌가"라는 원색적인 표현까지 동원하며 정상회담의 성과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이민 정책으로 인해 미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비자 발급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은 이미 주지의 사실이었음에도, 비공개 회담에서 이에 대한 해결책을 받아내지 못한 것이 이번 사태를 더욱 키웠다는 지적이다. 만약 정부가 수백조 원에 달하는 대미 투자에 상응하는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과 편의 제공을 당당히 요구하고 답을 얻어냈다면, 지금처럼 속수무책으로 당하고만 있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게 이 대표의 주장이다.

 


이 대표는 현 정부의 외교를 '질소 과자'에 비유하며 비판의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그는 "과자가 10%뿐인데 90%를 질소로 충전해 국민에게 내놓으려 한다면 곤란하다"며, 정부가 내세우는 외교적 성과가 대부분 거품이며 실체가 없다고 맹비난했다.

 

나아가 그는 "외교를 대국적으로 하라"고 일갈하며, 정권의 입맛에 맞는 인사가 아닌, 미국을 깊이 연구하고 폭넓은 인맥을 구축해 온 실력 있는 외교관들을 중용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그는 "권력이 외교·안보에 실력주의 외에 붕당을 끌어들이면 그 결과는 칠천량"이라며, 편 가르기 인사가 국가적 재앙을 불러올 수 있다는 섬뜩한 경고까지 날렸다.

 

이 대표는 박정희, 노무현 전 대통령의 실리 외교 사례를 거론하며 현 정부의 무능을 더욱 부각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베트남 파병이라는 뼈아픈 선택 속에서도 주한미군 감축 저지, 파병 비용 전액 외화 수령, 베트남 건설 특수 참여 보장 등 국익을 철저히 관철시켰으며, 노무현 대통령 역시 이라크 파병 당시 의료·공병 중심 파병과 재건 사업 참여라는 양해를 끝내 받아냈다는 것이다. 그는 "역대 대통령들은 뼈아픈 선택 속에서도 보장받을 것은 확실히 보장받고 이끌어내려 했다"며, 주고받기의 기본조차 지키지 못한 현 정부의 외교력에 깊은 개탄을 표했다.

 

한편, 이번에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은 현지 시각으로 10일경 한국행 전세기를 통해 사실상의 추방 조치를 당할 것으로 보여, 이번 사태가 한미 관계에 적지 않은 상처를 남길 전망이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카이로 오페라 하우스 발칵 뒤집은 '한국어 노래'의 정체…조수미, 이집트 심포니와 선보인 역사적 협연

기념하여, 조수미가 데뷔 후 처음으로 이집트 카이로에서 역사적인 공연을 펼친다. 이번 공연은 단순한 음악회를 넘어,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두 문명권의 화합과 우정을 상징하는 문화 외교의 정점이 될 전망이다.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현지 시간으로 12일, 이집트 문화의 심장부인 카이로 오페라하우스에서 '조수미 & 카이로 심포니 협연' 음악회가 열린다고 밝혔다. '신이 내린 목소리'라 불리며 세계 최정상의 무대를 누벼온 조수미에게도 이번 이집트 공연은 처음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특별하다.이날 무대에서 조수미는 이집트 최고의 오케스트라인 카이로 심포니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과 완벽한 호흡을 맞춘다. 관객들에게 친숙한 주요 오페라 아리아를 통해 클래식 음악의 정수를 선보이는 한편, 한국인의 정서가 깃든 가곡을 통해 K-클래식의 아름다움을 이집트 관객들에게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그리움의 정서를 담은 '가고파'나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꽃구름 속에' 중 한 곡이 연주될 계획이어서, 수천 년 역사의 땅에 우리의 가락이 어떻게 울려 퍼질지 기대를 모은다. 또한, 현지 카이로 오페라단 단원들과의 협연 무대도 마련되어 있어 양국 음악가들이 만들어낼 하모니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음악회뿐만 아니라, 양국의 30년 우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특별한 전시도 함께 열린다. 11일부터 28일까지 카이로 이슬람 예술박물관에서는 '함(HAAM): 함께함을 담다'라는 제목의 특별 전시회가 개최된다. 이 전시에는 지난 30년간 양국이 주고받은 외교 공식 문서와 기록물, 양국 정상이 나눈 선물 등 귀중한 사료 17점이 대중에게 공개된다. 더불어 한국 전통 공예의 미를 느낄 수 있는 공예품 8점도 함께 전시되어, 이집트 국민들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보다 깊이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한국 정부는 이번 30주년 기념행사를 발판 삼아 이집트와의 문화 교류를 더욱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다음 달 카이로에서 열리는 대규모 현대미술 축제 '카이로 인터내셔널 아트 디스트릭'에 한국이 '주빈국'으로 참여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다. 조수미의 공연으로 시작된 문화 교류의 물결이 미술, 공예 등 다방면으로 퍼져나가며 양국의 우정을 더욱 돈독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