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명 관중 앞 ‘기적의 셧아웃’…김연경의 원더독스, 최강 흥국생명 무너뜨리며 ‘해피엔딩’
2025-11-24 17:45
MBC 예능 프로그램 ‘신인감독 김연경’이 아마추어 팀의 프로 챔피언 격파라는 드라마 같은 결말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지난 23일 방송된 최종회에서 김연경 감독이 이끈 ‘필승 원더독스’는 약 2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김 감독의 친정팀이자 2024-2025시즌 통합우승팀인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를 상대로 세트 스코어 3대 0의 셧아웃 승리를 거두는 이변을 연출했다. 선수 시절 몸담았던 팀을 상대로 감독으로서 코트에 선 김연경의 모습과, 팬들의 폭발적인 함성 속에서 마지막 도전에 나서는 원더독스 선수들의 투혼이 시청자들에게 짜릿한 감동을 선사했다.경기는 한 편의 각본 없는 드라마였다. 1세트 초반, 원더독스는 표승주의 서브 에이스와 문명화의 재치 있는 공격을 앞세워 기세를 잡았지만, 챔피언 흥국생명의 저력도 만만치 않았다. 흥국생명의 노련한 경기 운영과 원더독스 세터 이나연의 컨디션 난조가 겹치며 순식간에 동점과 역전을 허용했다. 흐름이 넘어갈 수 있는 위기의 순간, 김연경 감독은 심판 판정에 섣불리 확신한 선수에게 “미쳤어?”라며 불호령을 내리는 등 특유의 카리스마로 팀의 긴장감을 다잡았다. 결국 치열한 접전 끝에 25:23으로 1세트를 따내며 승리의 발판을 마련했다.

방송은 경기 이후의 이야기까지 담아내며 깊은 여운을 남겼다. 최종 성적 5승 2패, 승률 71.4%로 도전을 마친 김연경 감독은 “해냈다!”고 외치며 감격했다. 특히 입스(Yips) 증후군으로 돌연 은퇴를 선언했던 세터 이나연이 프로그램을 통해 재기에 성공, 흥국생명에 복귀하게 되었다는 인터뷰 장면은 분당 최고 시청률 7.7%까지 치솟으며 시청자들의 눈시울을 붉혔다. 또한 프로그램의 최종 목표였던 ‘제8구단 창단’과 관련해 제작진과 대화를 나누는 김연경의 모습이 그려졌으나, 결정적인 내용은 묵음 처리된 채 열린 결말로 마무리되어 향후 행보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켰다.
문지안 기자 JianMoon@trendnewsreaders.com

청각장애라는 한계를 넘어 음악에 대한 순수한 열정으로 가득 찬 특별한 무대가 펼쳐졌다. 청각장애 유소년들로 구성된 ‘사랑의달팽이 클라리넷앙상블’이 우리..


미래재단의 후원 아래 스무 번째 정기연주회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허무는 감동의 선율을 선사했다. 지난 22일 여의도 KBS홀에서 열린 이번 연주회는 ‘히스토리(History)’라는 주제에 걸맞게 앙상블의 지난 20년 역사를 대표하는 다채로운 곡들로 채워졌다. 관객들은 청각장애가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만큼 완벽한 하모니를 만들어내는 단원들의 모습에 찬사를 아끼지 않았으며, 이들의 연주는 장애가 결코 꿈을 가로막는 장벽이 될 수 없음을 증명하는 감동적인 순간이었다.이번 무대에서 35명의 청각장애 유소년 단원들은 아스토르 피아졸라의 ‘리베르탱고’, 드보르자크의 ‘신세계 교향곡 9번’과 같은 고난도의 클래식 명곡을 완벽하게 소화하며 음악적 재능을 뽐냈다. 보청기와 인공달팽이관을 통해 소리를 듣고, 수많은 재활 치료를 거쳐 세상과 소통하는 이들이 만들어내는 깊고 풍부한 클라리넷 소리는 그 자체로 하나의 울림이었다. 여기에 사랑의달팽이 홍보대사인 뮤지컬 배우 배다해와 가수 김태우가 게스트로 참여해 무대를 더욱 빛냈다. 특히 김태우는 앙상블 단원들과 함께 자신의 히트곡 ‘사랑비’와 ‘촛불하나’를 협연하며, 어려움을 겪는 모든 이들에게 희망과 응원의 메시지를 전했다. 방송인 안현모의 사회를 포함한 이들의 참여는 모두 재능 기부로 이루어져 그 의미를 더했다.관객들은 클래식부터 대중가요까지 폭넓은 장르를 아우르는 단원들의 연주 실력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다른 연주자와 호흡을 맞춰야 하는 앙상블의 특성상 청각장애인에게는 더욱 큰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예상을 완전히 뒤엎는, 빈틈없는 최고의 연주였다는 평가가 쏟아졌다. 이러한 완벽한 무대 뒤에는 학생이라는 본분에도 불구하고 주말과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연습에 매달린 단원들의 피나는 노력이 있었다. 또한, 2023년부터 ‘우리루키(Look&Hear) 프로젝트’를 통해 저소득층 청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을 지원해 온 우리금융미래재단의 든든한 후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재단은 지난 2년간 335명에게 수술 및 치료를 지원하고 앙상블 운영을 도우며 아이들의 꿈을 응원해왔다.사랑의달팽이 이행희 회장은 “20년 전 앙상블을 처음 창단할 때만 해도 음악을 연주하는 청각장애인을 상상하는 이는 많지 않았다”고 회고하며, “수천 명의 관객에게 음악으로 한계를 넘을 수 있음을 보여준 단원들이 자랑스럽다”는 소감을 밝혔다. 그는 앞으로도 앙상블 활동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에 대한 편견 없이 소통하고 화합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덧붙였다. 불가능에 가까워 보였던 도전을 현실로 만들어낸 청각장애 유소년들의 기적 같은 연주, 그 스무 번째 이야기는 우리 사회에 깊은 감동과 함께 편견 없는 세상을 향한 희망의 메시지를 던졌다. 연주회 전체 영상은 다음 달 사랑의달팽이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시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