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은 '현상 유지', 미래 먹거리는 '이것'…LG, 전장·에어컨 사업부장에 '사장' 직함 달아줬다
2025-11-27 18:05
LG전자가 대대적인 세대교체와 함께 미래 사업에 힘을 싣는 2026년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가장 큰 변화는 그룹의 새로운 수장으로 '가전 전문가' 류재철 사장이 선임된 것이다. 지난 4년간 회사를 이끌며 B2B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이끌었던 조주완 사장은 미래 성장 기반을 닦은 성과를 뒤로하고 용퇴했다. 이번 인사는 사장 2명, 부사장 2명, 전무 9명 등 총 34명이 승진하는 등 변화의 폭이 컸으며, 안정 속에서 미래 준비에 속도를 내겠다는 LG전자의 의지가 명확히 드러났다는 평가다.새로운 CEO로 낙점된 류재철 사장은 1989년에 입사해 재직 기간의 절반 이상을 연구개발(R&D)에 쏟아부은 정통 '기술형 리더'다. 세탁기 엔지니어로 시작해 LG전자의 상징과도 같은 생활가전 사업 전반을 섭렵한 그는, 2021년부터 H&A(생활가전)사업본부장을 맡아 LG 생활가전을 단일 브랜드 기준 글로벌 1위의 반석 위에 올려놓은 주역이다. LG전자는 류 신임 CEO가 생활가전 사업부에서 증명한 '1등 DNA'를 회사 전체로 확산시켜 질적 성장을 이끌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류 사장이 맡았던 H&A사업본부장 자리는 글로벌 생산지 전략을 정교화하며 성과를 낸 백승태 키친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이 이어받는다.

이 외에도 구독 서비스, D2C(소비자 직접 판매)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서 성과를 낸 젊은 리더들이 대거 전무로 승진했으며, 신흥 시장의 핵심인 인도 법인의 영업, 생산, R&D 책임자들이 상무로 발탁되는 등 미래 준비를 위한 포석이 엿보였다. LG전자는 기존 4개 사업본부 체제는 그대로 유지하되, 급변하는 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냉난방공조, webOS 등 핵심 성장 동력의 실행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조직을 정비했다. 이번 인사는 결국 '선택과 집중'을 통해 불확실한 미래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LG전자의 중장기 전략을 인적 쇄신을 통해 구체화한 셈이다.
황이준 기자 yijun_i@trendnewsreaders.com

18년간 '베어스'의 상징과도 같았던 거포 김재환이 정든 유니폼을 벗고 시장에 나왔다. 두산 베어스는 26일, 김재환을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하며 사실..


IV'는 고전주의의 틀 안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던 청년 베토벤의 음악적 야심과 내면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무대로 꾸며진다. 임연실은 이번 독주회에서 베토벤의 초기 작품 중에서도 각기 다른 개성과 의미를 지닌 세 개의 소나타를 선정, 작품에 담긴 서정성과 실험 정신, 그리고 극적인 드라마를 그녀만의 섬세하고도 힘 있는 해석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관객들은 이번 공연을 통해 익숙한 명곡의 새로운 면모는 물론, 베토벤이 피아노라는 악기를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거대한 음악적 비전을 생생하게 마주하게 될 것이다.이번 공연의 포문은 베토벤의 초기 소나타 중에서도 정제된 서정성이 돋보이는 소나타 9번 E장조로 연다. 이 곡은 내면의 균형감과 함께 피아노의 음향적 가능성을 탐구하던 베토벤의 실험적 면모가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어지는 무대는 베토벤 스스로 '큰 소나타(Grande Sonata)'라고 명명했을 만큼 거대한 규모와 구성을 자랑하는 소나타 4번 E-flat장조가 장식한다. 약 28분에 달하는 연주 시간, 폭넓은 음역대와 다채로운 화성은 당시 통상적인 소나타의 규격을 뛰어넘는 것으로, 피아노 소나타를 교향곡에 버금가는 대규모 예술 형식으로 격상시키려 했던 베토벤의 의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고전적 형식미 속에 낭만주의적 감성의 싹을 틔운 초기 대작으로 평가받는 이 곡을 통해 관객들은 청년 베토벤의 뜨거운 열정과 야심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연주회의 대미는 대중에게 '비창(Pathétique)'이라는 이름으로 너무나도 유명한 피아노 소나타 8번 c단조가 장식한다. 이 곡은 베토벤이 직접 '비장하고 감정을 강하게 일으키는 대 소나타'라는 의미의 표제를 붙인 최초의 피아노 소나타로, 그의 초기 작품 세계에서 가장 극적인 서사와 강렬한 에너지를 분출하는 걸작이다. 폭풍우처럼 몰아치는 격정과 비극적인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이 작품은 고전주의 시대의 종언과 낭만주의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과도 같은 곡으로 평가받는다. 임연실은 이 곡을 통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감정의 소용돌이와 그것을 아우르는 견고한 구조적 완성도를 동시에 선보이며 베토벤 음악의 정수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처럼 다채로운 베토벤의 초기 세계를 그려낼 피아니스트 임연실은 이화여대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브레멘 국립예술대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최고성적으로 마치며 탄탄한 실력을 인정받은 정통파 연주자다. 현재 명지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객원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는 그는, 이번 연주회에서 학구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한 깊이 있는 해석과 탁월한 연주력을 통해 베토벤의 음악 세계를 더욱 풍부하고 입체적으로 전달할 것이다. 그의 손끝에서 재탄생할 베토벤의 초기 걸작들이 쌀쌀한 겨울밤, 관객들의 마음에 깊은 울림과 뜨거운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