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독점 깨고 대체거래소 개장, '12시간 거래 시대 열다'
2025-03-04 13:28
넥스트레이드의 개장식에서 김학수 넥스트레이드 대표는 “넥스트레이드가 우리 자본시장의 요청에 맞춰 기민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안정적인 거래시스템 안착을 통해 자본시장의 효율성 및 거래 편의성 증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번 넥스트레이드 출범을 축하하며, “시장 접근성 향상과 유동성 개선 등 밸류업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건전한 경쟁과 철저한 관리로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해외에서는 복수 거래소가 이미 일반화됐고, 이번 출범은 선진 자본시장 진입을 위한 필수 과제”라며, “경쟁과 활력을 통해 자본시장 혁신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이번 출범으로 건전한 경쟁이 촉진될 것이며, 투자자에게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기업에는 원활한 자금 조달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넥스트레이드의 출범은 단순히 새로운 거래소의 탄생에 그치지 않는다. 거래 시간의 확장도 큰 변화다. 기존 한국거래소의 주식 거래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6시간 30분에 불과했지만, 넥스트레이드와 함께 거래 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확대됐다. 프리마켓(오전 8시~8시 50분)과 애프터마켓(오후 3시 30분~8시)을 도입함으로써, 투자자들은 글로벌 이슈가 발생한 오후 3시 30분 이후에도 즉시 대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부여하며, 두 거래소 간의 경쟁을 통해 투자자들의 편익이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넥스트레이드는 개장 초기에는 거래 종목을 제한할 예정이다. 첫 2주 동안 거래 가능한 종목은 롯데쇼핑, 제일기획, 코오롱인더, LG유플러스, S-Oil 등 코스피 종목 5개와 골프존, 동국제약, 에스에프에이, YG엔터테인먼트, 컴투스 등 코스닥 종목 5개로 한정된다. 17일부터는 거래 종목이 110개로 확대되며, 24일부터는 350개, 31일부터는 800개로 점차적으로 늘어날 계획이다. 이는 초기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며, 넥스트레이드는 개장 후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과 운영 상황 점검을 통해 거래 환경을 안정시킬 예정이다.
이번 넥스트레이드 출범은 한국 자본시장의 큰 변화를 의미한다. 60여 년 동안 한국거래소가 독점해온 시장에 복수 거래소가 도입되면서, 자본시장의 경쟁구도가 전환점을 맞이했다.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대체거래소 설립이 “60~70년간의 거래소 독점 체제를 깨고 새로운 경쟁 구도를 마련하는 역사적인 계기”라고 평가했다. 그는 대체거래소가 증권 시장의 활성화와 투자자, 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국회 차원에서도 상생하는 시장 확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넥스트레이드의 출범은 단기적인 변화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주식 거래 시간 확대와 더불어, 경쟁적인 시장 환경이 형성되면서 한국 자본시장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더 나은 거래 기회를 얻게 되고, 기업들도 보다 원활한 자금 조달 환경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넥스트레이드와 한국거래소(KRX)의 경쟁은 두 거래소가 시장 감시와 투자자 보호에 더욱 철저히 신경을 쓰도록 만들 것이다. 한국 자본시장의 미래가 더욱 경쟁적이고 효율적인 환경으로 변화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 셈이다.
황이준 기자 yijun_i@trendnewsreaders.com
년 라인업을 공개했다. 이로써 한국 뮤지컬계에서 두 작품이 갖는 의미와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서편제’는 소설가 이청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작품이다. 2010년 초연 이후 한국 창작뮤지컬의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꾸준히 사랑받아왔다. 원작 계약 만료로 인해 2022년 막을 내린 뒤 4년 만에 계약을 새롭게 체결하며 재공연을 확정했다. 이번 시즌 공연은 관객들의 지속적인 재공연 요청에 힘입어 성사된 것으로, 작품에 대한 높은 관심과 사랑을 방증한다. ‘서편제’는 한 소리꾼 가족의 삶과 그들이 품은 ‘소리’에 대한 집착과 고통을 섬세하게 그려내며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작품은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시대적 배경을 토대로, 윤일상 작곡가의 음악을 중심으로 애절한 발라드부터 강렬한 록 사운드까지 다양한 음악적 색채를 조화롭게 결합해 감정을 극대화한다. 특히 대표 넘버 ‘살다 보면’은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명곡으로 자리 잡았다.2026년 ‘서편제’ 공연은 4월부터 7월까지 서울 광림아트센터 BBCH홀에서 펼쳐진다. 이번 시즌에는 오랫동안 작품과 함께 호흡해 온 창작진이 다시 모여 높은 완성도를 기대하게 한다. 작품의 감성과 메시지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세밀한 연출과 배우들의 깊이 있는 연기가 조화를 이룰 예정이다. 한편, 2016년 초연된 ‘곤 투모로우’는 내년으로 10주년을 맞아 네 번째 시즌을 준비 중이다. ‘곤 투모로우’는 조선 말기 격변기인 갑신정변과 김옥균 암살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작품은 조선 개화기의 대표 인물인 김옥균과 고뇌하는 왕 고종, 그리고 가상의 인물 한정훈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들 세 인물을 통해 개혁과 보수, 이상과 현실, 신념과 희생 등 다양한 인간 군상을 입체적으로 그려내며 당시 혼란스러운 시대 상황을 깊이 있게 조명한다. 특히 김옥균과 고종의 갈등, 한정훈의 내면적 고민을 통해 격변의 시기를 살아가는 인간들의 복합적인 심리를 섬세하게 담아낸 점이 돋보인다.‘곤 투모로우’는 2026년 9월부터 11월까지 서울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된다. 이번 시즌 역시 탄탄한 연출진과 배우들의 호흡으로 역사적 사건의 무게와 드라마를 생생하게 구현할 예정이다.PAGE1 측은 “두 작품은 한국 창작뮤지컬의 가능성과 지속성을 다시 한 번 입증하는 중요한 작품들”이라며 “앞으로도 수준 높은 창작뮤지컬을 통해 관객들에게 감동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는 단순히 한 시즌 공연을 넘어 한국 뮤지컬 산업의 발전과 문화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는 강한 의지로 해석된다.이번 ‘서편제’와 ‘곤 투모로우’의 복귀는 한국 창작뮤지컬의 대표작들이 다시 한 번 관객들의 사랑을 확인하고 새로운 감동을 선사할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두 작품 모두 각각의 독특한 역사적 배경과 인간 내면의 깊은 갈등을 다룸으로써 관객들에게 시대를 초월한 공감과 통찰을 제공할 전망이다. 관객들은 오랫동안 기억해온 명작을 통해 한국 창작뮤지컬의 힘과 감동을 재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이처럼 ‘서편제’와 ‘곤 투모로우’는 각각의 서사와 음악, 연출을 통해 한국 뮤지컬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으며, 2026년 한 해 뮤지컬 팬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는 대작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앞으로 공연 일정과 세부 캐스팅 등 추가 정보도 점차 공개되면서 국내외 관객들의 관심과 기대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