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걸그룹 1위 '소녀시대·블랙핑크'

2024-09-06 14:42

 21세기 가장 사랑받은 걸그룹은 소녀시대와 블랭핑크였다. 

 

스타뉴스가 리서치 전문업체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 '21세기 가장 사랑받은 K팝 걸그룹'으로 4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소녀시대와 블랙핑크가 공동 1위로 선정되었다. 

 

2007년 데뷔한 소녀시대는 K팝의 대표 걸그룹으로 자리매김해 오며 여전히 강력한 팬층을 보유하고 있다. 소녀시대는 '다시 만난 세계', 'Gee', '소원을 말해봐' 등 히트곡을 배출하며 대중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최근에는 데뷔 17주년을 맞아 앨범 'FOREVER 1'을 발매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소녀시대는 30대와 60대에서 특히 높은 지지를 받았다.

 

2016년에 데뷔한 블랙핑크는 글로벌 히트곡 '휘파람', '붐바야', '뚜두뚜두', '킬 디스 러브'로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이들은 K팝 걸그룹 최초로 미국 최대 음악 페스티벌 코첼라 무대에 오르는 등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최근에는 더블 밀리언 셀러를 달성했다. 블랙핑크는 19~29세, 30대, 40대에서 고른 득표율을 기록했다.

 

2022년에 데뷔한 뉴진스는 3위로 선정되며 2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뉴진스는 '어텐션', '하입 보이'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특히 힙합과 레트로 감성의 곡들로 각 연령대에서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 

 

기타 순위로는 21%로 원더걸스, 13% 트와이스, 10% 투애니원 10%, 아이브 7%,  에스파·카라·레드벨벳 5%, 에이핑크·마마무·씨스타 4%, 티아라·(여자)아이들 3%, 브라운아이드걸스·포미닛 2%, 에프엑스·미쓰에이·시크릿 1%를 각각 차지했다. 

 

한편 조사는 2024년 8월 19일~2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전국 만 19세 이상 69세 이하 1052명을 대상으로 했다. 설문은 2개 복수응답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사 결과는 K팝 걸그룹의 시대별 인기를 반영하고 있다.

 

권시온 기자 kwonsionon35@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진주서 만나는 한국 채색화 대서사시.. 200점 작품 한자리에

최된다.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과 복합문화공간 차량정비고(진주창창) 두 곳에서 동시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총 200여 점에 달하는 작품을 통해 한국 채색화의 전통부터 현대까지의 흐름을 시대별로 조명한다. 2022년부터 시작된 기획 시리즈의 세 번째 전시로, 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이원복과 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 정준모가 공동 예술감독을 맡아 전시의 깊이와 방향성을 견고히 했다.이성자미술관에서는 전통 채색화의 뿌리와 발전을 보여주는 1부와 2부로 나뉘어 전시가 진행된다. 1부는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채색화를 다루며, 고대 벽화, 고려 불화, 조선 궁중화와 민화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소개한다. 특히 조선 후기의 김홍도, 신윤복, 강세황 등 대표 작가들의 작품과 함께 작자 미상의 작품까지 약 130여 점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영모도(새와 짐승을 그린 그림)의 계보를 포함해 한국 채색화의 뿌리를 다각도로 조망하며 전통 회화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재확인하는 자리다.2부는 대한제국기부터 해방 후 근대기까지 채색화의 변화와 발전을 집중 조명한다. 김은호, 이상범, 박생광, 김기창 등 한국 근대 채색화의 대표 작가 18인의 작품을 통해 전통 채색화와 서양화 기법이 융합되면서 탄생한 다양한 표현 실험들을 선보인다. 이 시기 채색화가 단순한 전통 계승에서 벗어나 새로운 예술적 시도를 모색한 과정을 엿볼 수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천경자의 ‘아열대 II’(1978), 이숙자의 ‘푸른 보리밭-황소’(2010) 등이 전시되어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넘나드는 채색화의 미학을 보여준다.한편, 복합문화공간 차량정비고에서는 ‘오늘의 채색화’를 주제로 현대 채색화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한다. 1970년대 이후 전통 채색화가 현대적으로 해석되고 확장되어 온 흐름을 반영하여 김병종, 황창배, 이왈종, 김선두, 정종미 등 현역 작가 17인이 참여했다. 이들은 전통 문양과 색채, 매체 기법을 해체하거나 새롭게 해석하는 작업을 통해 채색화의 물성, 상징성, 회화적 표현 영역을 확장하는 실험적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황창배의 ‘무제’(1992) 등은 한지에 아크릴릭을 사용해 전통적인 소재에 현대적 감각을 입힌 예시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작품 전시를 넘어 관람객의 참여와 학습을 도모하는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시민미술학교’는 7월 29일과 8월 12일 두 차례 진주시청에서 열리며, 채색화 전문가 4인의 강연을 통해 채색화의 이해를 돕는다. 7월 23일부터 8월 31일까지 매주 수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하루 세 차례 진행되는 ‘시민도슨트 해설 프로그램’은 관람객에게 작품의 배경과 미술사적 가치를 쉽고 흥미롭게 설명한다. 또한 7월 26일부터 8월 23일까지 매주 실시되는 ‘한국 채색화 그리기’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관람객들이 직접 채색화 기법을 체험하며 전통 기법의 매력을 몸소 느낄 수 있다.이처럼 ‘한국 채색화의 흐름’ 시리즈는 지역 미술의 저변 확대와 대중적 관심을 끌어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22년 첫 번째 전시 ‘참眞 색과 참 빛이 흐르는 고을晉州’에는 약 7만 명이 방문했으며, 2023년 ‘꽃과 새, 곁에 두고 즐기다, 낙이망우 꽃향기, 새소리’ 역시 8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기록해 지역 문화 예술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공동 예술감독 정준모는 “이번 전시는 한국 채색화의 시간적·공간적 층위를 보다 입체적으로 구성해 전통과 현대, 지역성과 예술성을 아우르는 전시로 기획되었다”며 “진주의 풍부한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전통 채색화를 현대적으로 조명하며, 진주를 한국 문화 예술의 발신지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이번 전시는 한국 미술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채색화의 아름다움과 변천사를 한 자리에서 체험할 수 있는 뜻깊은 기회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지는 채색화의 예술적 흐름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추천할 만하다. 경남 진주에서 펼쳐지는 이번 대규모 전시는 한국 전통미술과 현대미술의 조화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문화 예술 행사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