밉보이면 수갑, 공개하면 파행… 국감이 예능을 이겼다

2025-10-15 11:04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국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자신의 체포 과정을 “대통령 한 사람에게 밉보이면 이렇게 되나 싶었다”고 규정하며 현 정부를 “비상식이 뉴노멀”이라고 정면 비판했다.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지난 2일 경찰에 체포됐다가 법원의 체포적부심 인용으로 이틀 만에 석방된 그는 “면직 이틀 뒤, 정확히는 하루 만에 수갑을 채워 압송당한 건 상상 밖이었다”며 “권력이 주는 메시지는 명백했다”고 주장했다. 특검 조사 후 숨진 양평군 공무원 사례를 언급하며 “강압적 조사 환경이 얼마나 극심했을지 안타깝다”고도 했다.

 

이 전 위원장은 이재명 대통령 부부의 JTBC ‘냉장고를 부탁해’ 출연을 겨냥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저는 방통위 여름휴가를 절차대로 신청했는데 당시 대통령실 대변인이 ‘재난 중 휴가 신청’이라며 반려했다고 브리핑했다”며 형평성 문제를 제기했다.

 

한편 과방위 국감은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보낸 욕설 문자 공개로 파행을 빚었다. 김 의원이 “에휴 이 찌질한 놈아”라는 문자를 공개하자 박 의원은 “개인적으로 보낸 걸 여기서 공개하나. 너 나가”라며 고성을 질렀다. 공개 화면에 박 의원의 전화번호까지 노출되자 국민의힘은 “강성 지지층이 좌표를 찍었을 것”이라며 반발했고, 최민희 위원장은 정회를 선포했지만 회의장은 한동안 아수라장이 됐다.

 


박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김 의원이 회의장에 전화를 하며 들어와 나가라 하자 욕하며 멱살을 잡았다. 다음 날 가족 관련 영상을 틀어 모욕감을 느껴 밤에 문자를 보냈고, 김 의원도 욕설로 답장했다”고 주장했다. 국감 재개 후 최 위원장이 박 의원 퇴장을 명령하자 국민의힘은 “응할 이유가 없다”며 버텼고 소란이 이어졌다. 국민의힘은 김 의원의 개인정보 공개를 문제 삼아 형사 고발과 국회 윤리위 제소 방침을 밝혔다.

 

이날 국감은 권력형 수사 공정성, 공직 윤리, 개인정보 보호와 품위 유지 의무 등 중대한 의제보다 정쟁과 막말이 의사 진행을 잠식했다. 핵심 증인 발언은 파편화됐고, 제도 개선 논의는 공회전에 그쳤다. 피해 최소화를 위한 수사 절차 투명화, 증거기반 조사 원칙 강화, 개인정보 비공개 관행 확립 등 실질적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에반게리온인 줄?\" 옥승철 '프로토타입'전, 당신의 무표정을 해킹!

상시키는 익숙한 듯 낯선 캐릭터들은 현실보다 가상에 가까운 분위기를 만든다. 서울 잠실 롯데뮤지엄에서 열리는 옥승철 개인전 ‘프로토타입’의 장면이다. 2017년 인디밴드 아도이(ADOY) 앨범 커버로 이름을 알린 옥승철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세대의 시각 감수성을 팝아트 어법으로 번안해왔다. 첫 개인전인 이번 전시에서 그는 이미지의 복제·변형·유통·삭제를 키워드로 약 80점의 회화와 조각을 선보이며 ‘원본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작가의 회화는 정교한 마스킹과 매끈한 표면 처리가 두드러진다. 광택을 머금은 색면은 붓질의 자취를 지우고 평면성 자체를 전면화한다. 화면 속 인물들은 대치 상황의 긴장감 속에서도 감정을 표출하지 않는다. 노출 과잉의 디지털 환경에서 감각이 무뎌지고, 불안은 상시화되는 동시대 정서를 담아낸 셈이다. ‘타이레놀’은 반복 노출된 자극에 둔감해지는 감각의 내성을 약물 은유로 그려낸 작품이다. 반면 ‘라쇼몽’ 연작은 동일 사건을 서로 다르게 지각·해석하는 인간의 인지 편차를 시각화해, 알고리즘이 분절시킨 정보 환경의 단면을 드러낸다.입체 작업은 이러한 정서를 한층 명징하게 한다. 높이 2.8m에 달하는 대형 조각 ‘프로토타입’은 머리가 잘린 메두사를 모티프로 삼되, 공포나 격정을 삭제한 채 무표정으로 서 있다. 복제 가능성을 전제하는 ‘프로토타입(시제품)’이라는 제목처럼, 언제든 대체 가능한 익명적 존재가 된 현대인의 자화상이다. 표정과 굴곡을 최소화한 형태는 공업적 질감과 교차하며, 감정의 삭제를 시각적 규격화로 환원한다.전시장 연출도 메시지를 보강한다. 복도는 크로마키 촬영을 연상시키는 초록색으로 채워져, 관람자가 ‘클라우드’ 내부를 통과하는 듯한 체험을 만든다. 움직임과 시선이 곧 데이터가 되는 디지털 세계에서, 이미지는 저장되고 복제되며 필요에 따라 삭제된다. 관람 동선 자체가 그 과정의 은유가 된다.이번 전시는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서 흔들리는 정체성을 미학적 언어로 번역하려는 시도로 읽힌다. 선명한 색채, 하이폴리곤을 연상시키는 매끈한 화면, 캐릭터성 강한 인물 등 ‘디지털 네이티브’의 시각 문법을 능숙하게 호출해 20·30대 관객의 호응을 이끌어낸다. 동시에 원작과 2차 창작이 뒤섞인 동시대 이미지 생태계에서 ‘원본’의 의미가 무엇인지 되묻는다. 복제는 더 이상 모방의 종속이 아니라, 끝없이 갱신되는 규격과 프로토콜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생시키는 생산의 한 방식일 수 있다는 점도 시사한다.옥승철의 ‘프로토타입’은 낯익은 감각을 빌려 불안을 가시화한다. 매끈함과 무표정, 규격화된 이미지 사이에서 관람자는 자신의 스크린을 떠올리게 된다. 전시는 서울 잠실 롯데뮤지엄에서 26일까지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