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사 회원국 총출동 '한반도 자유와 평화 지킨다'.. 北에 강력 경고!

2024-09-11 11:06

 '제2회 한국·유엔군사령부 회원국 국방장관회의'에서 한국과 유엔사 회원국들이 한반도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한 협력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 회의에서는 북한의 불법적인 핵 개발과 최근 북·러 간 군사 협력에 대한 대응 방안이 주요 의제로 다루어졌다.

 

10일 김용현 국방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유엔군사령부가 대한민국 안보를 지키는 3대 핵심축 중 하나로, '우리 군의 압도적 국방태세'와 '한미 동맹'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회의가 북한에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가치 공유국들 간의 견고한 연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김 장관은 북·러 군사 협력을 겨냥해 국제질서와 규범을 훼손하고 전 세계를 위험에 빠뜨리는 무모한 행동이라고 비판하며 자유와 민주주의 같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이 강력한 연대를 구축해 함께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6·25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아 처음 개최된 이후 두 번째로 열린 회의로 한국과 캐나다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회의에는 미국, 호주, 프랑스, 그리스, 이탈리아 등 18개 유엔사 회원국의 국방 장·차관과 대표들이 참석했으며, 폴 러캐머라 유엔군사령관도 함께했다.

 

본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되었으며, '한반도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하나의 깃발, 하나의 정신 아래 함께 싸운다'는 주제 아래 유엔군사령부의 역할과 한반도 전쟁 억제 및 평화 유지 방안이 논의되었다. 또한 한국과 유엔사 회원국 간의 협력과 연대를 강화하는 방안이 중점적으로 다뤄졌으며, 참석국들은 북·러 간 무기 거래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OTT에 빼앗긴 관객, 6000원 할인쿠폰으로 되찾을 수 있을까?

4495만 명)보다도 적으며, 지난해 상반기(6293만 명)에 비해 2000만 명 이상 감소했다. 이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글로벌 영화산업 리포트 FOCUS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영화관 관객수는 약 48억 명으로 전년 대비 9% 감소했고,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68% 수준에 그쳤다.코로나19 직전인 2019년은 한국 극장가의 정점이었다. 총 관객수 2억2668만 명, 1인당 극장 관람 횟수 4.37회로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발생 이후 총 관객수는 5952만 명으로 급감했고, 1인당 극장 관람 횟수도 1.15회로 떨어졌다. 한국 영화 수익률은 전년의 10.9%에서 -30.4%로 추락했다.코로나19 이후 3년(2022~2024년) 동안 한국 극장가는 '1조2000억원대 매출액, 1억2000만명대 관객'이라는 새로운 박스권을 형성했다. 이는 2019년에 비해 약 1억 명이 감소한 수치다. 관객 감소와 함께 '영화 흥행의 문법'도 변화했다. 성수기와 비수기의 경계가 흐려졌고, 2024년에는 전통적인 성수기가 아닌 2월과 4월에 개봉한 〈파묘〉와 〈범죄도시 4〉가 각각 1000만 관객을 돌파했다.영화 시장의 양극화도 가속화되었다. 중박 영화(100만~500만 명 관객)는 코로나19 이전 25편 이상에서 팬데믹 이후 10편대로 절반가량 감소한 반면, 500만 명 이상의 대작은 3~4편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영화 시장의 허리를 받쳐주는 중소 영화들이 약화되면서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제작비는 10년 새 큰 폭으로 상승했다. 2015년 평균 순제작비 37억 원에서 2023년에는 100억 원대로 증가했다. 넷플릭스 등 OTT의 영향으로 배우 개런티가 상승했고, 주 52시간 노동제 도입 등으로 스태프 인건비가 늘어난 것이 원인이다. 그러나 극장이라는 주요 수익원이 위축되면서 영화 수익은 악화됐다. 코로나19 이후 한국 영화 수익률은 2020년 -30.4%부터 2024년 -16.4%까지 계속해서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수익 악화는 투자 위축으로 이어졌다. 재무적 투자자들이 대거 이탈하고, 전통적 투자배급사도 투자를 보수적으로 하거나 중단한 상황이다. 코로나19 이전 연간 60~80편이던 한국 영화 제작 편수는 현재 20편 내외로 감소했다. 영화 공급이 부족해지자 극장들은 재개봉작 상영이나 공연 콘텐츠 영화화 등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2024년 재개봉 편수는 228편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OTT 서비스 의존도 증가도 극장 관람 회복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가정에서 IPTV, VOD, OTT로 영화를 본다는 응답이 2019년 54.1%에서 2024년 69.8%로 크게 증가했다. 이로 인해 '홀드백' 기간도 급격히 짧아지는 등 붕괴 현상이 나타났다.하반기에는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브래드 피트 주연의 〈F1 더 무비〉,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슈퍼맨〉 등 할리우드 대작과 제작비 300억 원의 〈전지적 독자 시점〉, 〈좀비딸〉, 〈악마가 이사왔다〉 등 한국 영화가 개봉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8월경 영화관에서 회당 6000원 할인된 관람료로 영화를 볼 수 있는 쿠폰 450만 장(271억 원 규모)을 지급할 예정이다.그러나 영화산업 전문가들은 "올해보다 앞으로 2~3년이 더 문제"라고 전망하며, 제작사나 감독들이 차기작 제작에 위축되어 있고 우수 인력 유입이 감소하는 문제를 지적한다. 홀드백, 객단가, 정책 자금 집행 방향 등 해법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지만, 접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