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악재에도 韓 1인당 국민소득 '선방'..세계 6위 수준 유지
2025-03-05 15:42
1인당 GNI는 2014년 처음으로 3만 달러를 돌파한 이후 11년째 3만 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다. 2021년 3만 7,898달러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정체기를 겪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의 영향으로 달러 환산 기준 성장률이 원화 기준 성장률보다 낮게 나타나면서 소폭 상승에 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1인당 GNI 규모는 주요국 가운데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 이어 일본과 대만 수준을 뛰어넘는 성과를 거두었다.
강창구 한은 국민소득부장은 "인구 5,000만 명 이상 국가만 비교하면 우리나라보다 1인당 GNI 규모가 큰 나라는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뿐"이라고 설명했다. 아직 이탈리아의 1인당 GNI 발표 자료가 나오지 않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약 3만 8,500달러)를 고려하면 우리나라가 6위권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달러 기준 1인당 GNI는 환율 변동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국 통화 가치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원화, 일본 엔화, 대만 달러화의 절하율(가치 하락률)은 각각 4.3%, 7.4%, 3.0%였다.
IMF는 우리나라가 2027년이면 1인당 국민소득 4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강 부장은 "명목 GNI 증가율은 계속 증가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IMF 외환위기나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상황, 그리고 환율 변동에 따른 미 달러화 기준 변동 폭이 커 향후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한편,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은 2.6%로 집계됐다. 이는 속보치와 동일한 수준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는 증가세를 보였으나, 민간소비는 1.8% 증가에 그치며 더딘 회복세를 나타냈다.
황이준 기자 yijun_i@trendnewsreaders.com
팬데믹 이후 영화산업은 예상보다 더딘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25년 상반기 한국 영화관 누적 관객수는 4249만 명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
4495만 명)보다도 적으며, 지난해 상반기(6293만 명)에 비해 2000만 명 이상 감소했다. 이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글로벌 영화산업 리포트 FOCUS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영화관 관객수는 약 48억 명으로 전년 대비 9% 감소했고,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68% 수준에 그쳤다.코로나19 직전인 2019년은 한국 극장가의 정점이었다. 총 관객수 2억2668만 명, 1인당 극장 관람 횟수 4.37회로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발생 이후 총 관객수는 5952만 명으로 급감했고, 1인당 극장 관람 횟수도 1.15회로 떨어졌다. 한국 영화 수익률은 전년의 10.9%에서 -30.4%로 추락했다.코로나19 이후 3년(2022~2024년) 동안 한국 극장가는 '1조2000억원대 매출액, 1억2000만명대 관객'이라는 새로운 박스권을 형성했다. 이는 2019년에 비해 약 1억 명이 감소한 수치다. 관객 감소와 함께 '영화 흥행의 문법'도 변화했다. 성수기와 비수기의 경계가 흐려졌고, 2024년에는 전통적인 성수기가 아닌 2월과 4월에 개봉한 〈파묘〉와 〈범죄도시 4〉가 각각 1000만 관객을 돌파했다.영화 시장의 양극화도 가속화되었다. 중박 영화(100만~500만 명 관객)는 코로나19 이전 25편 이상에서 팬데믹 이후 10편대로 절반가량 감소한 반면, 500만 명 이상의 대작은 3~4편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영화 시장의 허리를 받쳐주는 중소 영화들이 약화되면서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제작비는 10년 새 큰 폭으로 상승했다. 2015년 평균 순제작비 37억 원에서 2023년에는 100억 원대로 증가했다. 넷플릭스 등 OTT의 영향으로 배우 개런티가 상승했고, 주 52시간 노동제 도입 등으로 스태프 인건비가 늘어난 것이 원인이다. 그러나 극장이라는 주요 수익원이 위축되면서 영화 수익은 악화됐다. 코로나19 이후 한국 영화 수익률은 2020년 -30.4%부터 2024년 -16.4%까지 계속해서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수익 악화는 투자 위축으로 이어졌다. 재무적 투자자들이 대거 이탈하고, 전통적 투자배급사도 투자를 보수적으로 하거나 중단한 상황이다. 코로나19 이전 연간 60~80편이던 한국 영화 제작 편수는 현재 20편 내외로 감소했다. 영화 공급이 부족해지자 극장들은 재개봉작 상영이나 공연 콘텐츠 영화화 등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2024년 재개봉 편수는 228편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OTT 서비스 의존도 증가도 극장 관람 회복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가정에서 IPTV, VOD, OTT로 영화를 본다는 응답이 2019년 54.1%에서 2024년 69.8%로 크게 증가했다. 이로 인해 '홀드백' 기간도 급격히 짧아지는 등 붕괴 현상이 나타났다.하반기에는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브래드 피트 주연의 〈F1 더 무비〉,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슈퍼맨〉 등 할리우드 대작과 제작비 300억 원의 〈전지적 독자 시점〉, 〈좀비딸〉, 〈악마가 이사왔다〉 등 한국 영화가 개봉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8월경 영화관에서 회당 6000원 할인된 관람료로 영화를 볼 수 있는 쿠폰 450만 장(271억 원 규모)을 지급할 예정이다.그러나 영화산업 전문가들은 "올해보다 앞으로 2~3년이 더 문제"라고 전망하며, 제작사나 감독들이 차기작 제작에 위축되어 있고 우수 인력 유입이 감소하는 문제를 지적한다. 홀드백, 객단가, 정책 자금 집행 방향 등 해법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지만, 접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