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代 세습에도 살아남은 北 외교 거물…김영남 사망에 韓 정부가 보인 반응

2025-11-04 16:59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4일 김영남 전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사망에 대해 공식적인 애도의 뜻을 표명하면서, 얼어붙은 남북 관계에 미세한 파장이 일고 있다. 정 장관은 조의문을 통해 김 전 위원장이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북측 고위급 대표단을 이끌고 방남해 대화의 물꼬를 튼 공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2005년과 2018년 평양에서 두 차례 직접 만나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눴던 개인적 인연을 회고하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이번 조의문은 남북 간 직통 연락선이 모두 끊긴 상황을 고려해 언론을 통해 발표되는 이례적인 방식으로 전달되었다.

 

과거 남북은 고위 인사의 사망을 계기로 ‘조문 외교’를 펼치며 경색된 국면을 타개하려는 시도를 여러 차례 이어왔다. 2005년 연형묵 국방위 부위원장, 2006년 임동옥 통일전선부장, 2015년 김양건 통일전선부장 사망 당시 남측 통일부 장관은 각각 조전을 보내 애도를 표했다. 특히 2011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했을 때는 이희호 여사와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직접 방북해 조문했고, 이에 앞서 2009년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시에는 북측이 김기남 당 비서와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을 서울에 조문단으로 파견하며 화답한 바 있다. 이번 조의문 발표 역시 이러한 과거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단절된 대화 채널을 복원하려는 최소한의 의지 표명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북한은 김 전 위원장의 장례를 국장으로 치르며 최고의 예우를 갖추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새벽 1시에 시신이 안치된 빈소를 찾는 등 각별한 모습을 보였다. 김 전 위원장은 1959년부터 외교 분야에 몸담아 김일성·김정일·김정은 3대에 걸쳐 숙청 없이 자리를 지킨 북한 외교의 ‘산증인’으로 불리는 인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자신이 직접 조문 특사로 방북해 남북관계 개선의 돌파구를 열겠다며 공개적으로 요청하고 나섰다. 박 의원은 정동영 장관과 국정원에도 뜻을 전달하겠다며, 남북 양측이 자신의 특사 파견을 수용해달라고 간곡히 호소했다.

 

하지만 이번 조의 표명이 실질적인 남북 대화 재개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북한은 2023년 12월 남한을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한 이후 모든 대화와 협력의 통로를 차단하며 강경 노선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전 위원장이 과거 남북 대화에 기여한 상징적 인물이라는 점, 그리고 우리 정부가 과거 전례를 고려해 조의를 표명했다는 점은 의미가 있지만, 북한이 이를 대화 재개의 신호로 받아들이고 호응해 올 것이라고 낙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정 장관의 조의문과 박 의원의 특사 제안이라는 작은 불씨가 꺼져가는 남북 관계의 불을 다시 지필 수 있을지는 전적으로 북한의 태도에 달려있다.

 

변윤호 기자 byunbyun_ho@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덕수궁 한복판에 웬 벼와 기왓장?…알고보니 '이것'의 충격적 재탄생

장품으로 지정되지 못한 채 수장고에 잠들어 있던 비귀속 유물들을 전면으로 내세운다. 비귀속 유물은 보존 상태나 규모 등의 행정적 이유로 국보나 보물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당대의 생활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귀중한 사료다. 국가유산청은 '옛것에 현재를 담는다'는 의미의 발굴유물 역사문화공간 '예담고' 사업의 일환으로, 이 유물들이 지닌 가치를 재조명하고 새로운 쓸모를 찾아주기 위해 이번 전시를 기획했다.이번 전시는 발굴된 유물이 단순히 보존과 관람의 대상을 넘어, 현대적인 해석과 창작을 통해 오늘날의 문화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실험적인 장이다. 신라 금관처럼 보자마자 감탄을 자아내는 화려한 유물과 달리, 깨지고 마모된 토기 조각이나 기왓장은 그 자체만으로는 대중의 시선을 끌기 어렵다. 하지만 이 '쓸모를 다한' 유물들은 8인의 현대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작가들은 각자의 재료와 기술로 유물에 담긴 시간의 흔적을 해석하고, 이를 통해 유물이 과거의 흔적에 머무르지 않고 현재의 삶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조선 왕궁의 품격과 근대의 시간이 공존하는 덕수궁이라는 공간적 배경은 전시의 의미를 한층 더 깊게 만든다. 함녕전 행각을 따라 늘어선 작품들은 과거와 현재의 조화로운 만남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국가무형유산 궁중채화 보유자 최성우 작가는 거울 위에 깨진 유물과 연꽃을 함께 배치한 '발굴의 순간'을 통해 땅속에서 유물이 발굴되는 경이로운 순간을 표현했다. 또한 섬유공예가 김은하는 연꽃 형상의 공예품으로, 3D 프린팅 공예가 서은하는 친환경 소재 화병과 토기를 결합하여 전통과 현대 기술의 연결을 시도하는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이 유물의 결손된 부분을 자신만의 언어로 채워 넣었다.전시의 백미는 덕홍전 내부에 자리한 미디어아트와 식물 조형 작품 '시간의 겹에서 바라보다'이다. 국가대표 화예가 레오킴과 사진예술가 김유정은 추수가 끝난 뒤 다시 싹을 틔운 벼와 수십 점의 기와, 그리고 화려한 미디어아트를 거울 위에 함께 배치하여 '끝과 새로운 시작'이라는 순환의 메시지를 던진다. 이는 곧 낡고 쓸모없어진 것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는 전시의 주제와도 맞닿아 있다. 이번 전시는 관람객이 유물을 직접 만져보고 석고 조각에 색을 입혀보는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하여, 박제된 유물이 아닌 살아 숨 쉬는 문화유산으로서 대중에게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를 만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