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00% 관세 폭탄’ 피했다…안도의 한숨 내쉰 K바이오, 하지만 진짜 속내는?

2025-10-30 17:17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가슴을 쓸어내렸다. 특히 미국이 제네릭(복제약)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하면서,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했다는 안도감이 업계 전반에 확산하고 있다. 이번 협상을 통해 제네릭 외 의약품은 유럽연합(EU)이나 일본과 비슷한 15%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는 최혜국 대우를 확보했다. 이는 한때 100%에 달하는 관세 폭탄이 예고되었던 상황과 비교하면 상당한 성과로, 불확실성이라는 가장 큰 리스크를 걷어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이번 협상이 더욱 의미 있는 이유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고조되었던 ‘관세 공포’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내에 생산 시설을 두지 않은 기업의 의약품에 대해 100%의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하며 국내 업계를 압박해왔다. 실제로 대미 수출 비중이 큰 셀트리온은 미국 현지에 생산 거점을 마련하는 방안을 추진했고, SK바이오팜 역시 미국령인 푸에르토리코에 위탁생산 시설을 확보하는 등 선제 대응에 나서야만 했다. 이번 타결로 이러한 극단적인 상황은 피하게 되면서, 기업들은 한숨 돌리며 다음 전략을 구상할 여유를 얻게 되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즉각 논평을 내고 정부의 외교적 노력을 높이 평가하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협회는 이번 협상 타결이 국내 기업들의 대미 수출 불확실성을 제거한 매우 의미 있는 성과라고 강조했다. 제네릭 의약품의 무관세 유지는 물론, 다른 주요국과 비교해 불리하지 않은 관세 조건을 보장받게 되면서 우리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긍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관세 장벽이라는 큰 짐을 덜어낸 만큼, 이제는 기술력과 품질로 세계 시장에서 정면 승부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는 것이다.

 

다만 모든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은 아니라는 신중론도 존재한다. 당장 국내 기업들의 핵심 수출 품목 중 하나인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가 구체적으로 어떤 관세 범위에 포함될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관세 부과 기준이 완제의약품인지, 아니면 원료의약품인지에 따라서도 기업들의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 업계는 일단 최악의 상황은 면했다는 데 의의를 두면서도, 향후 이어질 후속 협상에서 바이오시밀러 등 주력 품목에 대해서도 무관세 혜택이 계속 유지되기를 기대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황이준 기자 yijun_i@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20대 두 천재의 '절친 케미', 악보에 없는 전율을 만든다

메켈레(29), 북유럽이 낳은 이 두 명의 반짝이는 별이 오는 6일 롯데콘서트홀에서 로열콘세르트헤바우오케스트라와 함께 무대에 오르는 것이다. 20대라는 젊은 나이가 무색하게 이미 세계 최정상의 무대를 누비고 있는 이들은, 단순한 협연자를 넘어 깊은 음악적 교감을 나누는 파트너로서 한국 관객들에게 잊지 못할 순간을 선사할 준비를 마쳤다. 특히 아홉 살에 데뷔해 열다섯에 세계적인 음반사 도이체 그라모폰과 최연소 전속 계약을 맺으며 '신동'으로 불렸던 로자코비치의 한층 깊어진 음악 세계에 기대가 모인다.이번 무대에서 로자코비치가 선택한 곡은 막스 브루흐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이다. 멘델스존, 브람스, 베토벤의 작품과 함께 '독일 낭만주의 4대 협주곡'으로 꼽히는 명곡으로, 서정적인 선율과 극적인 구성이 특징이다. 로자코비치는 이 곡을 일부에서 '작은 브람스 협주곡'이라 부르는 평가에 단호히 선을 그으며, 그 자체로 완벽하게 독립적인 위대한 작품이라고 힘주어 말한다. 그는 브루흐 음악의 정수는 작곡가가 탐구한 '아름다움'의 본질과 오케스트라와의 조화 속에서 폭발하는 강렬한 에너지에 있으며, 특히 로열콘세르트헤바우와 같은 세계 최고 수준의 악단과 함께할 때 그 진가가 드러난다고 설명했다. 그에게 이 곡은 4대 협주곡 중에서도 가장 매혹적인 작품으로, 그의 섬세한 해석을 통해 새로운 생명력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이번 공연의 또 다른 관전 포인트는 로자코비치와 메켈레가 선보일 '절친 케미스트리'다. 로자코비치에게 메켈레는 단순한 동료 지휘자를 넘어, 무대 안팎에서 깊은 영감을 주고받는 소중한 친구이자 음악적 파트너다. 바이올리니스트와 첼리스트로서 함께 실내악 무대에서 호흡을 맞추며 다져온 두 사람의 끈끈한 유대감은, 지휘자와 솔리스트라는 관계로 확장되어 더욱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할 예정이다. 무대 위에서 서로의 음악을 깊이 이해하고 교감할 수 있는 친구가 있다는 것은 연주자에게 가장 큰 축복이자 선물이라는 그의 말처럼, 두 사람이 만들어낼 음악적 대화는 악보 이상의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어린 시절의 기교를 넘어 자신만의 음악적 해석을 구축하는 데 집중하고 있는 로자코비치는 최근 슈만의 음악에 깊이 빠져있다. 특히 슈만이 온전한 정신과 광기의 경계에서 싸우며 써 내려간 마지막 바이올린 협주곡에 매료되었다고 고백한다. 슈만 스스로 '천사들의 속삭임'이라 표현했던 그 선율에서 마치 작별 인사를 건네는 듯한 처연함을 느낀다는 그의 모습은, 한 명의 테크니션을 넘어 깊이 사유하는 예술가로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과거 한국 관객들의 뜨거운 열정을 '특별한 하이라이트'로 기억한다는 그가 오랜 친구 메켈레, 그리고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와 함께 돌아와 어떤 감동의 무대를 펼쳐 보일지, 클래식 팬들의 심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