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거킹'부터 '악마 사냥꾼'까지…트럼프 금관 선물에 美 코미디언들 총출동

2025-10-31 17:3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9일 이재명 대통령으로부터 선물 받은 천마총 금관 모형에 대해 큰 만족감을 표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국 현지에서도 이 금관 선물에 대한 관심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미국의 주요 방송사에서 방영되는 인기 토크쇼들은 이 금관을 주요 풍자 소재로 다루며 시청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ABC 방송의 지미 키멀, NBC의 지미 팰런과 세스 메이어스, CBS의 스티븐 콜베어 등 정상급 진행자들이 이끄는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정치적, 사회적 이슈를 풍자하는 데 주력하며, 민주당 지지 성향이 강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자주 드러내 왔다. 이번 금관 선물 역시 이들 프로그램의 주요 풍자 대상이 되면서 다양한 해석과 유머가 쏟아져 나왔다. 이러한 반응은 단순히 선물의 의미를 넘어, 미국 정치와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하나의 현상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미 키멀은 자신의 토크쇼에서 한국 정부가 금관을 선물한 배경에 대해 재치 있는 해석을 내놓았다. 그는 "한국 정부가 수백만 명이 왕을 원하지 않는다며 외친 '노킹스(No Kings)' 시위를 보고 보석으로 장식된 왕관이 선물로 딱 좋겠다고 생각한 것 같다"고 비꼬았다. 이어서 그는 "대통령이란 사람이 얼마나 쉽게 조종당하는 건지 정말로 창피하다. 마치 아이들에게 포켓몬 카드를 쥐여주는 것과 같은데 그냥 한국에서 왕이나 해보는 게 어떠냐"며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을 비판적으로 풍자했다. 또한 키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당신은 어떤 악마 사냥꾼(demon hunter)입니까"라는 질문을 했을 것이라는 농담을 던지며, 최근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넷플릭스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언급해 시청자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이는 한국 문화 콘텐츠에 대한 미국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는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의 캐릭터를 엮어 유머를 만들어낸 것이다.

 


CBS의 '더 레이트 쇼'를 진행하는 스티븐 콜베어 역시 금관 선물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를 이어갔다. 그는 "나는 한국인들이 트럼프에게 아부했다고 말하려는 건 아니다"라고 전제하면서도 "지금 트럼프에게 유일하게 부족한 커다란 황금 왕관을 줬다"고 말해 청중의 공감을 얻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 기간 중 경주 힐튼호텔에서 햄버거를 주문하며 케첩을 많이 달라고 요청한 것이 미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 것을 언급하며, 콜베어는 "말 그대로 한국인들이 트럼프를 버거킹(Burger King)으로 만들었다"는 비유로 또 한 번 웃음을 선사했다. NBC의 세스 메이어스도 "트럼프는 특별 대우를 받을 때를 좋아하고 아시아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언급하며, "카메라가 사라지자마자 금관을 써볼 수 있냐고 묻더라. 오래된 왕관을 쓰면 오래전에 죽은 왕의 분노를 살 위험이 항상 따르지만 말이다"라는 농담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권력욕을 풍자했다.

 

아울러 미국 케이블 채널의 대표적인 정치 풍자 프로그램인 '더 데일리 쇼'에서도 진행자 데시 리딕은 금관 선물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그는 "한국은 뭐 하는 거냐. 우리나라는 지금 대통령이 왕 놀음에 빠지지 않지 않게 하느라 애쓰고 있다"고 말하며, "정말 멋지고 사려 깊은 선물"이라고 비꼬았다. 리딕은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가상 걸그룹 '헌트릭스'가 실존 인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실망했을 것이라는 농담을 덧붙이며, 한국의 대중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풍자를 이어갔다. 이처럼 미국의 주요 토크쇼와 풍자 프로그램들은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선물한 천마총 금관 모형을 단순한 외교적 선물로 보지 않고,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과 미국 정치 상황을 엮어 다양한 방식으로 풍자하며 대중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이는 미국 사회 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복합적인 시각을 반영하는 동시에, 정치 풍자의 역할과 영향력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팽민찬 기자 fang-min0615@trendnewsreaders.com

컬쳐라이프

차가운 새벽 바다, 뜨거운 예술로… 서진은 작가, 제주를 담다

앞바다에서 경험한 깊은 어둠과 거친 자연의 풍경을 담아낸 사진 작품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작가는 사물을 식별하기 어려운 새벽녘의 어둠과 강한 바람, 파도의 울림 속에서 마주한 바다의 모습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이는 그의 작업 세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전시는 제주 바다의 심연이 가진 비현실적인 아름다움과 그 속에서 작가가 발견한 내면의 이야기를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풀어낸다.전시의 중심이 되는 '나는 바다이고' 시리즈는 한밤중 심연의 깊고 푸른색을 특징으로 한다. 깊은 어둠 속 바다와 하늘 사이에서 별처럼 반짝이는 미세한 빛, 그리고 새벽이 밝아오며 하나의 거대한 수평선으로 갈라지는 풍경은 자연의 숭고함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정명주 아트스페이스펄 대표는 서진은 작가의 푸른색이 "거친 바닷바람과 마주한 제주살이 한 달의 결과물"이라고 설명하며, 작가가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낮아지는 시간, 적막한 어둠 속에서 깊은 침묵과 검푸른 빛을 통해 바다와 하나 되고자 했던 순간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또한 "이번 전시의 주제가 된 '나는 바다이고' 작품은 나와 바다가 하나가 된 정화(catharsis)의 순간을 역설적으로 아주 고요하게 드러낸다"고 덧붙였다.이번 전시에서는 '나는 바다이고' 시리즈와 함께 '돌(The Stone)'과 '폴라_고산63-7' 작품도 선보인다. '돌'은 7겹의 투명 필름을 설치하여 서로 다른 돌의 이미지를 중첩시켜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탐색하는 작품이다. 작가는 "작은 돌멩이들이 품고 있을 어마어마한 시간과 이야기들을 생각하면 단단함에서 품어 나오는 엄청난 에너지가 느껴진다"며, 제주의 돌이 가진 블랙홀 같은 마력에 매료되었음을 전했다. '폴라_고산63-7'은 폴라로이드 사진 위에 크레용이나 물감으로 채색한 작품으로, 작가의 작업실 주소를 제목으로 하여 작가의 주관적인 생각과 환경을 반영한다. 작가는 자신의 작업이 "평범한 일상의 것들에서 시작된다"고 밝히며, 소소한 일상 관찰을 통해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고 익숙함 속에서 새로운 힘을 얻는다고 설명했다.서진은 사진전 '나는 바다이고'는 오는 11월 15일까지 아트스페이스펄에서 계속되며, 매주 일요일과 월요일은 휴관한다. 전시 기간 중인 11월 8일 오후 3시에는 전시장에서 작가와의 대화가 마련되어 관람객들이 작품 세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얻을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전시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053-651-6958로 가능하다. 이번 전시는 제주 자연의 숭고함과 작가의 내면이 교차하는 지점을 탐색하며, 관람객들에게 일상 속에서 놓치기 쉬운 아름다움과 성찰의 시간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